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이전
2024.05.21
다음
1
"중산층도 입주 못한다" 순자산 4억원 이상 있어야 [시니어하우스]

"중산층도 입주 못한다" 순자산 4억원 이상 있어야

중산층 노인은 어떤 사람을 말할까. 자산과 수입의 기준은 어느 정도 선일까. 우리나라 노인들의 경제적 수준을 파악해야 이에 맞는 노인주거 대책을 세울 수 있다. 어르신들의 소득 실체를 파악하기 위해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의 문을 두드렸다. 13년 동안 은퇴자들의 금융 생활을 담당해 온 김진웅 소장은 "원래 중산층은 가구를 소득순으로 세운 뒤 중위소득의 50~150%로 정의하지만 이렇게 하면 범위가 매우 넓어진다는

2
'실버타운 실패' 후 사업자도, 노인도 등 돌렸다[시니어하우스]

'실버타운 실패' 후 사업자도, 노인도 등 돌렸다

우리나라에서도 '실버타운'이 주목받던 때가 있었다. "늙으면 물 좋고 공기 좋은 곳에 살아야 한다"는 바람을 타고 1990년대 말부터 2000년대 초반 지방에 전원형 실버타운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났다. 유행은 오래가지 못했다. 무엇보다 병원이 멀고, 교통이 불편했다. 노인들에겐 전원형 실버타운은 '경치 좋은 감옥'이었다. 당시 건설사들도 문제였다. 건설사가 생각하는 실버타운의 핵심은 운영이 아니라 분양이었다. 짓고 팔고

3
"밥도 청소도 다 해주니" 살던 집 월세로 돌리고 들어왔다[시니어하우스]

"밥도 청소도 다 해주니" 살던 집 월세로 돌리고 들어왔다

서울 도심 한가운데 있는 7600㎡(2300평) 규모 피트니스 센터. 머리가 하얗게 센 80대 할아버지 회원들이 운동기구 앞에 섰다. 옆에는 전문 트레이너가 1대 1로 붙어 자세를 잡아주고 설명하는 데 여념이 없었다. 같은 시간, 회원전용 공용식당인 ‘레스떼르’에는 홈드레스 차림의 할머니들이 메뉴를 살폈다. 이날 점심 반찬은 한방 찜닭과 돌문어 해초 부침. 직원들이 정갈하게 준비한 도시락을 건네자 할머니들은 천천히 걸음을

4
장윤정이 120억에 판 나인원한남…30대가 전액 현금 매수

장윤정이 120억에 판 나인원한남…30대가 전액 현금 매수

가수 장윤정·아나운서 출신 도경완 부부가 120억원에 매각한 서울 용산구 고급주택을 한 30대가 전액 현금으로 매입했다고 16일 뉴스1이 보도했다.장윤정 부부가 소유했던 서울 용산구 한남동 '나인원한남' 전용 244㎡는 지난달 11일 120억원에 팔렸다. 현재 소유권 등기를 마쳤으며, 소유자는 1989년생인 것으로 전해졌다. 별도의 근저당권 설정이 확인되지 않아 매수자는 전액 현금으로 대금을 지급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매

5
'재개발 호재' 김대호 아나운서 판자촌 집, 신축 아파트로 변신하나

'재개발 호재' 김대호 아나운서 판자촌 집, 신축 아파트로 변신하나

김대호 MBC 아나운서가 예능 프로그램 ‘나 혼자 산다’에서 공개해 화제가 된 홍제동 주택 일대를 포함한 서울 판자촌 개발이 가시화됐다. 15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서대문구는 홍제동 개미마을을 홍제4재개발 해제구역과 공공재개발에서 탈락한 문화마을 일대를 통합한 뒤 신속통합기획을 통해 재개발하기로 했다. 지난달 토지주를 대상으로 신속통합기획 후보지 동의서를 교부했고, 주민 설명회도 진행했다. 개미마을은 70여 년

6
"집? 요양원?" 갈림길에 선 당신…살 곳이 없다[시니어하우스]

"집? 요양원?" 갈림길에 선 당신…살 곳이 없다

만 75세. 전기 고령자와 후기고령자를 나누는 기준이다. 만 19세가 청소년과 어른을 구분 짓는 경계인 것처럼 고령자는 75세를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의료·복지학계는 75세부터를 돌봄이 필요한 ‘장기요양 대상자’로 분류한다. 평균적으로 이 나이를 넘어서면 시름시름 아픈 곳이 생기고, 체력이 떨어져 사회활동에 대한 의욕도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구분이다. 유애정 건강보험연구원 통합돌봄연구센터장은

7
"적당히 아프니 갈 곳이 없다" 주거 사각지대 갇힌 중산층[시니어하우스]

"적당히 아프니 갈 곳이 없다" 주거 사각지대 갇힌 중산층

"젊었을 때 시장에서 리어카 끌고 과일이랑 야채 팔러 다녔어. 돈 모아서 트럭을 한 대 산 다음에는 그걸로 장사했지. 눈이 오나 비가 오나 아침 7시만 되면 끌고 나갔어. 그걸로 네 남매 키워 시집 장가 다 보냈으면 됐지, 안 그래? 그런데 이제 남들 다 가보는 해외여행 한 번 가볼까, 한숨 돌리려고 하는데 위암이라 하더라고. 2년 전 건강검진 때 알았어. 다행히 초기라 수술받고 나아져서 일상생활엔 지장이 없지만 지난해 애

8
중산층 노인들의 고민 "어디서 살아야 하나"[시니어하우스]

중산층 노인들의 고민 "어디서 살아야 하나"

"늙으면 어디서 살아야 하나." 고령인구 1000만명 시대. 주변에 사는 평범한 노인들이 겪는 문제이자, 머지않은 미래에 우리에게 닥칠 고민이다. 지금부터 대비하지 않으면 누군가의 돌봄이 필요할 때 살 곳 없이 표류할 수 있다. 평생에 걸쳐 내 집 마련에 성공했다고 해도 끝이 아니다. 초고령화 사회에서는 노년을 보낼 주거지를 확보하는 것이 과제다. 독신이거나, 배우자가 먼저 세상을 떠나 혼자 지내야 한다면 더 심각해진다

9
"강남 노인들 '여기 얼마냐' 묻지 않으세요"[시니어하우스]

"강남 노인들 '여기 얼마냐' 묻지 않으세요"

"계약하러 온 어르신들은 경제적으로 굉장히 여유가 있으세요. 그분들은 ‘여기 얼마냐’ 이런 건 안 물어보시거든요. ‘나한테 어떤 서비스를 해줄 수 있냐, 내가 얼마나 편하게 살 수 있냐’가 그분들의 가장 큰 관심사예요." 내년 10월 서울 마곡에 들어서는 VL르웨스트 입주 담당자는 지난 3월 20일, 견본주택을 둘러보러 오는 어르신들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이곳의 입주 보증금은 기존 최고 수준이었던 ‘더클래식500’보

10
94억 한남더힐 산 98년생…80억 압구정현대는 92년생이 매수

94억 한남더힐 산 98년생…80억 압구정현대는 92년생이 매수

초고가 고급 주택에 대한 젊은 자산가들의 매수가 잇따르고 있다. 20일 등기부등본에 따르면 서울시 용산구 한남더힐(전용면적 233㎡)은 지난 1월 94억5000만원에 거래됐으며, 해당 주택을 매수한 사람은 1998년생인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주택에 근저당권이 설정되지 않았다. 전액 현금으로 거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지난 2월 80억원에 거래된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전용면적 196㎡ 매수자는 30대 초반(1992년생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