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MC 회장 "최첨단 공정, 미국 아닌 대만에서"[대만칩통신]](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306/2025011716365193577_1737099412.jpg)
대만 이코노믹데일리뉴스
TSMC 회장 "최첨단 공정, 미국 아닌 대만에서"
"최첨단 반도체 공정은 대만에서 먼저 운영돼야 합니다." 웨이저자 TSMC 회장은 지난 16일 TSMC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왜 최첨단 공정을 바로 미국으로 옮기지 않느냐, N-2 정책과 관련이 있는가"라는 한 외국인투자자 질문에 "N-2 정책과는 무관하다"며 이같이 답했다. N-2 정책은 TSMC가 글로벌 생산 전략에서 사용하는 용어다. 2㎚(나노미터·10억분의 1m) 혹은 3㎚처럼 현재 기술 중 가장 앞선 최첨단 반도체 공정(N)을
- 오늘의 지수
-
-
코스피
2,566.36
하락 7.28 -0.28%
-
코스닥
734.26
상승 11.46 +1.59%
-
원/달러
1,454.50
-0.50 -0.03%
-
원/100엔
979.89
-3.55 -0.36%
-
원/유로
1,582.28
3.10 +0.20%
-
원/위안
200.92
0.15 +0.07%
-
삼성전자
54,700
변동없음 0 0.00%
-
SK하이닉스
204,500
상승 4,800 +2.40%
-
LG에너지솔루션
326,500
하락 14,000 -4.11%
-
삼성바이오로직스
1,051,000
하락 2,000 -0.19%
-
현대차
198,500
하락 2,500 -1.24%
-
알테오젠
392,000
상승 17,000 +4.53%
-
에코프로비엠
112,500
하락 3,100 -2.68%
-
HLB
72,000
하락 2,200 -2.96%
-
에코프로
59,800
상승 2,400 +4.18%
-
레인보우로보틱스
317,500
상승 10,500 +3.42%
-
코스피
-
03.14 기준
![엔비디아 손잡은 미디어텍, 인텔·AMD·퀄컴에 'AI PC 전쟁' 선포[대만칩통신]](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4101816113164547_1729235491.jpg)
엔비디아 손잡은 미디어텍, 인텔·AMD·퀄컴에 'AI PC 전쟁' 선포
대만 최대 팹리스(반도체 설계전문 기업) 미디어텍이 미국 인공지능(AI) 칩 선두 주자 엔비디아와 함께 ARM 설계를 바탕으로 개발한 AI PC 프로세서 양산에 돌입한다. 인텔과 AMD가 주도하는 'x86' 기반 AI PC 프로세서 시장에 도전장을 내민 것이다. 이미 ARM 설계 기반 AI PC 프로세서를 납품하고 있는 퀄컴과의 경쟁도 한층 치열해질 전망이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미디어텍과 엔비디아는 AI PC 프로세서 설계를 완료했고 내년
![[대만칩통신]'돈 먹는 하마'된 레거시 공정, TSMC만 호황…삼성 반격 카드는?](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4100413444347826_1728017083.jpg)
'돈 먹는 하마'된 레거시 공정, TSMC만 호황…삼성 반격 카드는?
반도체 시장에서 레거시(구형) 공정과 7㎚(나노미터·10억분의 1m) 이하 첨단 공정 간 양극화가 점점 더 뚜렷해지고 있다. 레거시 공정은 회복되지 않는 수요와 가격 하락 압박 속에서 부진한 상황을 이어가고 있지만 첨단 공정은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강력한 수요로 호황을 누리고 있다. TSMC가 주도하는 첨단 공정은 독보적인 성과를 내고 있고, 대만과 중국 주요 파운드리 업체들과 함께 삼성전자도 레거시 공정 어
![TSMC "세계기업 답게 존경받자" 임직원 독려…정부는 세제·인력지원[대만칩통신]](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4060416145995906_1717485300.jpg)
TSMC "세계기업 답게 존경받자" 임직원 독려…정부는 세제·인력지원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 TSMC가 국내를 넘어 세계 기업으로서 부러움과 존경을 받는 업체로 거듭나겠다고 공개 선언했다. 파운드리 업계에 더 이상 적수가 없다고 보고 최고경영자(CEO)가 임직원을 이같이 독려한 것이다.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웨이저자 TSMC 회장은 최근 내부 직원들에게 보낸 서신에 "더 이상 대만의 TSMC에 그치지 않고 이제는 세계의 TSMC"라고 썼다. TSMC는 일본, 미국, 독일 등에 공장을
![[대만칩통신]"中, 대만 기술 3년차로 추격…3년뒤 세계 파운드리 45% 점유"](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4083014473212806_1724996853.jpg)
"中, 대만 기술 3년차로 추격…3년뒤 세계 파운드리 45% 점유"
중국 최대 통신장비 업체 화웨이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계 1위인 TSMC와의 기술 격차를 3년으로 좁혔다는 분석이 나왔다. 화웨이는 세계 최고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인 미국 엔비디아 제품과 품질이 비슷한 칩을 제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28나노미터(㎚) 이상의 공정을 포함한 중국의 세계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은 3년 내에 45%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화웨이를 비롯한 중국
![[대만칩통신]'美대선·반독점' 리스크확대…TSMC "기술로 정면돌파"](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4031913124699833_1710821566.jpg)
'美대선·반독점' 리스크확대…TSMC "기술로 정면돌파"
미국 대선이 석 달 앞으로 다가오면서 대만의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 TSMC가 중국 고객사 유치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독점금지법 때문에 영업에 어려움을 겪는 점도 문제다. TSMC는 2026년 하반기 1.6㎚(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반도체 공정을 도입하는 기술 로드맵을 실현해나가면서 위기를 극복하겠다고 밝혔다. 업계에 따르면 중국 본토 집적회로(IC) 설계 업체들은 TSMC 첨단 공
![엔비디아 '슈퍼칩' 블랙웰 주문 25% 증가…TSMC "AI 덕에 올해 대성장"[대만칩통신]](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4071908411157380_1721346070.jpg)
엔비디아 '슈퍼칩' 블랙웰 주문 25% 증가…TSMC "AI 덕에 올해 대성장"
엔비디아가 차세대 인공지능(AI) 가속기용 그래픽처리장치(GPU)인 일명 '블랙웰'의 주문량을 당초 계획보다 25% 늘리면서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TSMC의 하반기 실적에 큰 동력이 생길 전망이다. TSMC는 엔비디아의 AI 가속기를 만든다. 대만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TSMC는 최근 엔비디아의 최신 블랙웰 플랫폼 구조를 갖춘 그래픽처리장치(GPU) 생산을 준비 중이다. 엔비디아는 강력한 고객 수요에 대응해 TSMC
![[대만칩통신]"TSMC 내년 자본지출 50兆…2㎚ 수요 예상치 초과"](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4070513162941618_1720152990.jpg)
"TSMC 내년 자본지출 50兆…2㎚ 수요 예상치 초과"
세계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 기업 대만 TSMC 내년도 자본지출(설비투자) 규모가 최대 약 50조원으로 늘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에서는 2㎚(나노미터·1㎚=10억분의 1m) 최첨단 공정 관련 연구개발(R&D)이 이어지고 고객사들의 2㎚ 수요가 예상보다 많아 TSMC 생산 능력도 확대될 것으로 본다. 업계는 TSMC 내년도 자본지출이 320억~360억달러(약 44조1000억~49조6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연간 증가율은 12.5
![[대만칩통신]"애플 아이폰16 'A18' 칩 탑재…TSMC, 훙하이 등 수혜"](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4070513193541626_1720153175.jpg)
"애플 아이폰16 'A18' 칩 탑재…TSMC, 훙하이 등 수혜"
애플이 9월 출시할 아이폰16 시리즈에 탑재되는 'A18' 칩을 개발하면 대만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 기업 TSMC와 ' 등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A18 칩은 기준 'M4' 칩보다 인공지능(AI) 컴퓨팅 성능이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애플이 지난 5월 출시한 최신 아이패드 프로모델에 처음 탑재된 M4 웨이퍼는 중앙처리장치(CPU) 속도가 이전 모델 'M2'보다 최대 50% 빨라졌다. 애플 M4 웨이퍼는 TSMC의 2세대 3㎚(나노미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