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백그라운드 이미지영역입니다.
BOK 포커스
기획

기획

BOK 포커스

오늘의 증시
  • 코스피

    2,747.81

    하락 10.61 -0.38%

  • 코스닥

    859.49

    하락 2.70 -0.31%

  • 삼성전자

    78,600

    하락 1,000 -1.26%

  • SK하이닉스

    224,500

    상승 3,500 +1.58%

  • LG에너지솔루션

    337,500

    하락 11,500 -3.30%

  • 현대차

    281,500

    상승 13,500 +5.04%

  • 삼성전자우

    63,200

    하락 1,200 -1.86%

  • 에코프로비엠

    197,100

    하락 3,400 -1.70%

  • 알테오젠

    271,500

    상승 6,500 +2.45%

  • 에코프로

    98,700

    하락 700 -0.70%

  • HLB

    62,600

    상승 300 +0.48%

  • 엔켐

    279,000

    하락 18,000 -6.06%

06.17 12:41 기준

  • 24.05.08 06:10
    경제 ‘청신호’라지만…체감경기 나쁜 이유는
    경제 ‘청신호’라지만…체감경기 나쁜 이유는

    "외식비용이 너무 비싸니까 뭘 사먹어야 겠다는 엄두가 안 나요. 그냥 매일 아침 도시락을 싸서 먹는 게 일상이 된 거죠." 대학생인 이모씨(23)는 최근 외식비를 아끼기 위해 도시락을 싸서 통학하는 게 일상이 됐다. 도시락을 싸기 전엔 하루 식비로 3만원가량을 ...

  • 24.04.19 09:01
    "美 경기도 못 믿는다"…'수출'에 경고등 켜는 한은

    현재 우리나라의 주요 경제성장 동력이 된 수출에 대해, 한국은행이 중장기적 지속성 측면에서 물음표를 던지기 시작했다. 미국 경제와 IT 경기가 좋으니, 수출이 부진한 내수를 상쇄하며 성장률을 견인할 거라고 목소리를 통일했던 한은이지만, 세계 무역 ...

  • 24.01.30 09:25
     ‘조기 금리인하’ 기대 억누르는 한은
    ‘조기 금리인하’ 기대 억누르는 한은

    "역사적으로 물가안정기로의 진입에 실패했던 사례를 보면, 마지막 단계(last mile) 리스크에 대한 부주의에 기인하는 경우가 다수였다."(29일 한국은행 '물가안정기로의 전환 사례 분석 및 시사점' 보고서)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조기 금리 인하에 대한 ...

  • 23.11.10 10:47
    '김포 서울 편입' 논란, 한은 보고서 주목해야 하는 이유
    '김포 서울 편입' 논란, 한은 보고서 주목해야 하는 이유

    "국토의 10% 남짓한 지역에 50%가 넘는 인구가 집중된 사례는 세계적으로 선진국에서 찾을 수 없다. 수십 년 동안 균형발전 정책에도 수도권 집중이 멈추지 않는 현 상황을 보면 지금과 같은 정책 방향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옳은지 의문이 제기된다." ( ...

  • 23.10.31 10:31
    더딘 물가둔화…한은, 물가전망 수정 임박
    더딘 물가둔화…한은, 물가전망 수정 임박

    "한국의 경우 다른 어느 선진국에 비해서도 물가 안정은 가장 좋은 성과를 보이고 있다."(2023년 5월22일, 이창용 총재)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5월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한국이 다른 주요 선진국 대비 비교적 빠른 속도로 물가 안정에 ...

  • 23.09.11 06:57
    "100원 얼굴 바뀔라" 이순신 영정 40년 저작권료 분쟁 '촉각'

    100원권 화폐용 이순신 영정을 그린 동양화가 월전 고(故)장우성 유족 측이 한국은행을 상대로 제기한 저작권 분쟁 소송이 3년여간의 법정 분쟁을 거쳐 내달 종지부를 찍는다. 유족 측은 40년간의 저작권료와 함께 이순신 영정의 반환을 요구하고 있는데 재판결과 ...

  • 23.08.29 06:10
    "부동산 불패는 과거 트렌드"발언, 5개월만에 쏙 뺀 한은총재

    "부동산이 불패라 투자하면 성공한다는 견해가 잡혀 있어서 재테크로 생각하는 사람이 많습니다만, 과거 트렌드가 미래에 계속될 거라는 생각은 고민해봐야 한다."(2023년 3월7일 한국방송기자클럽 초청토론회) "다시 저금리로 갈 거란 생각에 집을 샀다면 상당히 ...

  • 23.07.17 10:38
    가계부채 급증, 금리 만능열쇠 아니라는 한은
    가계부채 급증, 금리 만능열쇠 아니라는 한은

    "가계 부채 관련 지금은 단기적으로 부동산 시장의 연착륙을 위해서 자금흐름의 물꼬를 트는 미시적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다."(7월13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주춤하던 가계부채가 최근 증가세로 다시 돌아서면서 경고등이 커지는 가운데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

  • 23.07.11 09:51
    역대급 엔저에 수출 타격?…한은·시장
    역대급 엔저에 수출 타격?…한은·시장 "걱정 과해"

    '엔저(円低)' 현상이 우리나라 수출에 미칠 영향을 두고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엔화 가치가 하락하면 일본 기업과 경합하는 우리 수출 기업의 가격 경쟁력이 떨어져 가뜩이나 불안한 무역수지가 더 나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크지만, 정작 경상수지를 집계하는 ...

  • 23.07.10 12:37
    한은
    한은 "2017년 이후 LTV·DTI 규제강화가 불평등 심화 주장 실증 안돼"

    거시건전성 정책의 강화가 자산을 적게 보유한 가구의 대출 접근성을 제약해 부채와 자산 불평등을 초래할 수 있다는 기존 연구가 우리나라의 2017년 이후 주택담보대출비율(LTV)·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강화 사례에서는 실증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는 분석이 ...

해마다 무슨 일이 있었을까?

매해 화제가 되었던 토픽 이슈 패키지! 한 눈에 파악해보세요.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