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주도 과학기술인재 육성방안에 거는 기대
우리말에 이미 수없이 많은 영어 단어가 섞여들어 쓰이는 탓에 어디 가서 제대로 알아듣고, 질문이라도 하려면 어쩔 수 없이 영어 공부를 하게 된다. 지난달 2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발표에도 어김없이 낯선 외국어가 들어 있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3 ...
2025.05.12 11:00
과학기술 연구자의 정년 퇴직
정년 연장에 대한 논의가 한창이다. 칠순은 되어야 노인이라고 여기는 게 요즘 세태다. 길어진 수명만큼 더 오래 일하려는 요구가 높아지는 반면, 청년층의 취업난도 심각하다, 퇴직 후 재취업 확대 방향이 맞다, 법정 정년을 늦춰도 기업들은 명퇴·정리해고로 ...
2025.04.14 10:30
글로벌R&D에 다시 관심 기울일 때
"아무런 효과도 나타나지 않는, 왜 썼는지 모르는 그런 예산, 완전히 제로베이스(원점)에서 재점검해야 된다." 2023년 6월28일 윤석열 대통령의 이 한마디는 과학기술계를 발칵 뒤집었다. 이후 2023년 31조1000억원이었던 정부 과학기술 연구개발(R&D) 예산 ...
2025.02.24 11:03
암 정복 나선 AI‥정상 세포가 암으로 변할 가능성도 예측
국립암정보센터에 따르면 2024년 국내에서 8만5271명이 암으로 사망했다. 암 사망자는 전체 사망자(35만2511명)의 24.2%에 달했다. 2023년 8월30일 기준으로 총 3만5605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코로나19와 비교하면 암 사망자가 얼마나 많은지 알 수 있다. 미국에서 ...
2025.01.20 14:50
CES 만찬장, 한국인은 어디에?
세계 최대 전자·IT 전시회 CES 2025에서 만난 스웨덴 재계 관계자는 기자에게 이렇게 물었다. "한국은 어떻게 그렇게 많은 기업이 유레카 전시관에 부스를 차리는가?" 스웨덴인의 눈에는 유레카 전시관 거의 절반을 차지한 한국관과 한국기업의 위세에 놀란 듯 ...
2025.01.20 14:34
뇌에 칩 심은 머스크‥韓도 늦어지면 안돼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이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뇌에 반도체 칩을 이식하는 방식으로 생각만으로 컴퓨터나 스마트폰, 로봇을 다룰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은 상상이 아니라 현실로 거듭나고 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설립한 ...
2025.01.06 14:56
파도에 무너져 버린 '한국판 스페이스X'의 꿈
"해외가 아닌 우리나라에서 첫 민간 스타트업 기업이 로켓 시험 발사에 성공하겠다는 꿈이 잠시 멈추었지만, 끝까지 도전하겠다." 지난 11월 27일 서울에 16㎝가 넘는 눈이 쌓이면서 117년 만에 11월 적설 최고치를 기록했다. 같은 시간 국토 최남단 제주도 서쪽 ...
2024.12.30 10:16
먹는 비만약·우주탐사·AI에이전트, 내년에는 더 뜬다
2024년은 노벨상을 통해 인공지능(AI)이 과학의 영역으로 진입했음을 입증한 해였다. 다가올 2025년에는 어떤 과학발전과 기술 진화가 우리 앞에 놓여있을까. 비만 치료의 혁신부터 우주 탐사, 각종 AI의 발전 등 과학기술 분야의 변곡점이 될 분야들이 부상할 ...
2024.12.23 14:11
KAIST 입틀막 사건이 폭력의 시작
"폭력은 우리 모두를 짓밟을 수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우리 모두의 입을 막을 수는 없다. 이제 우리 모두를 그때처럼 끌어낼 수는 없다." 전준 카이스트(KAIST)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교수는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이 국회에서 부결된 후 카이스트 신문 ...
2024.12.16 14:09
기업경영자가 과학자상 받은 이유
지난 12일 2024년 ‘우수과학자포상’ 시상식이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렸다. 2024년 한해를 되돌아보며 탁월한 연구 성과와 열정으로 과학 기술 발전에 기여한 이들을 격려하는 이번 행사에서 17명의 우수 과학자들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우수과학자포상’ ...
2024.12.16 1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