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행복기금 출범 1년…도덕적 해이·역차별 논란 여전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지난해 3월29일 서울 강남구 한국자산관리공사에서 열린 '국민행복기금' 출범식. 정홍원 국무총리(왼쪽에서 세 번째)를 포함해 신제윤 금융위원장, 최수현 금융감독원장, 박병원 국민행복기금 이사장 등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지난해 3월29일 서울 강남구 한국자산관리공사에서 열린 '국민행복기금' 출범식. 정홍원 국무총리(왼쪽에서 세 번째)를 포함해 신제윤 금융위원장, 최수현 금융감독원장, 박병원 국민행복기금 이사장 등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고형광 기자, 김혜민 기자] 박병원 국민행복기금 이사장이 대학생 학자금대출 채무조정을 위해 신속한 관련법 통과를 역설했다. 박 이사장은 28일 오전 서울 강남구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본사에서 열린 행복기금 1주년 기념식에서 "한국장학재단이 보유하고 있는 대학생 학자금대출 채무조정이 하루빨리 이뤄져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당초 행복기금에서 지원하기로 했던 한국장학재단 보유 학자금대출 채무조정이 이뤄지지 못한 데에 큰 아쉬움을 표현한 것이다.

행복기금이 학자금대출과 관련한 채권을 인수하기 위해선 '한국장학재단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통과돼야 하지만 아직까지 계류 중이다. 이미 금융위원회는 개정안 통과를 전제로 지난해 4월부터 올 1월까지 학자금 연체자들의 채무조정 약정 신청을 캠코가 받도록 했다. 행복기금 신청자만 2만2000명에 이들의 학자금 연체금 규모는 1100억원에 달한다. 그러나 법 통과가 지연되면서 학생들의 빚을 안고 있는 장학재단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면서 부채만 늘려가고 있는 실정이다.
국민행복기금은 1억원 이하의 빚을 6개월 이상 연체한 채무자에게 최대 50%까지 채무를 감면하고 최장 10년간 나눠 갚도록 한 제도로 지난해 3월 말 출범했다. 행복기금 출범 이후 지금까지 채무조정을 받은 서민은 24만9000명으로 집계됐다. 출범 당시 매년 6만5000명, 5년간 32만6000명의 채무조정을 지원하겠다던 목표치를 4배 가까이 초과 달성한 셈이다.

국민행복기금 출범이후 채권을 신규 매입한 16만8000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1인당 채무원금은 평균 1108만원이었다. 2000만원 미만인 대상자가 전체의 84%를 차지했다. 이들은 총 채무원금 1조8000억원 가운데 절반이 넘는(51.8%) 9000억원의 채무를 감면받았다. 1인당 평균 573만원을 감면받은 셈이다. 전액 감면된 연체이자 1조9000억원을 포함하면 실제 감면 금액은 총 2조8000억원에 달한다. 행복기금을 신청한 연령별로는 40대가 33%로 가장 많았다. 50대(29%)와 30대(20%)가 그 뒤를 이었다. 연 30% 이상의 고금리 대출을 10%대로 낮춰주는 바꿔드림론 이용자도 작년 4월부터 이달 24일까지 총 4만8000명을 넘었다. 바꿔드림론 지원자의 이자부담액은 평균 897만원이 줄었다.

박 이사장은 "행복기금 수혜자들은 6년이 넘는 오랜기간 연체 채무로 고통을 받아 온 저소득층으로 평균 소득이 500만원에 불과하다"며 "출범 당시 대두됐던 도덕적 해이 조장에 대한 우려는 어느 정도 불식됐다고 본다"고 자평했다. 다만 이자가 아닌 원금까지 깎아주는 것은 금융의 질서를 무너뜨린다는 점과 허리띠를 졸라매며 꼬박꼬박 빚을 갚아온 성실상환 채무자와의 역차별 문제 등은 여전이 논란거리다.
조영무 LG경제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은 "6개월 이상 연체자가 (행복기금) 대상이다 보니 역차별 논란과 도덕적 해이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며 "성실하게 빚을 갚는 사람에게 더 많은 혜택이 돌아갈 수 있는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채무자들은 채무조정을 받았더라도 향후 남은 기간 정상적으로 빚을 갚아나가야 한다"며 "중도 탈락률을 얼마나 낮출 수 있을지가 이 제도의 성공 요건"이라고 덧붙였다.



고형광 기자 kohk0101@asiae.co.kr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이슈 PICK

  • '엔비디아 테스트' 실패설에 즉각 대응한 삼성전자(종합) 기준금리 11연속 동결…이창용 "인하시점 불확실성 더 커져"(종합2보) 韓, AI 안전연구소 연내 출범…정부·민간·학계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국내이슈

  • 비트코인 이어 이더리움도…美증권위, 현물 ETF 승인 '금리인하 지연' 시사한 FOMC 회의록…"일부는 인상 거론"(종합) "출근길에 수시로 주물럭…모르고 만졌다가 기침서 피 나와" 中 장난감 유해 물질 논란

    #해외이슈

  • [포토] 고개 숙이는 가수 김호중 [아경포토] 이용객 가장 많은 서울 지하철역은? [포토] '단오, 단 하나가 되다'

    #포토PICK

  • 기아 사장"'모두를 위한 전기차' 첫발 떼…전동화 전환, 그대로 간다" KG모빌리티, 전기·LPG 등 택시 모델 3종 출시 "앱으로 원격제어"…2025년 트레일블레이저 출시

    #CAR라이프

  • [뉴스속 용어]美 반대에도…‘글로벌 부유세’ 논의 급물살 [뉴스속 용어]서울 시내에 속속 설치되는 'DTM' [뉴스속 용어]"가짜뉴스 막아라"…'AI 워터마크'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