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최근 들어 북극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우리나라보다 수년 앞서 쇄빙선을 보유해 북극해 탐사를 실시해 왔으며, 스발바르에는 우리나라보다 늦게 진출하였으나 시설을 크게 확보해 다방면의 연구를 모색하고 있다. 북극이사회에도 우리나라보다 먼저 신청하였으나 올해 우리나라, 일본과 함께 정식 옵서버가 되었다. 특히 중국은 아이슬란드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다. 작년에는 고위급 정부관리가 방문해 협력관계를 강화하고 대단위의 토지구입을 시도한 것이 언론에 보도된 바 있다.
특히 올해 5월 우리나라가 북극이사회의 정식옵서버 지위를 획득한 것은 북극연구를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데 있어 큰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북극이사회는 북극권의 환경보호 및 지속가능한 발전과 관련한 여러 현안을 논의하는 국제 거버넌스이다. 북극에 인접한 노르웨이, 덴마크, 러시아, 미국, 스웨덴, 아이슬란드, 캐나다, 핀란드 등 8개 회원국을 중심으로 영구 참여단체인 이누이트 등 6개의 북극권 원주민 단체와 영국 등 6개 정식옵서버 국가가 참여하고 있었다. 지난 5월 우리나라와 함께 옵서버 가입을 신청한 나라는 중국, 일본, 유럽연합(EU) 등 7개국으로, 이 중 EU를 제외한 6개국이 정식옵서버 자격을 획득해, 정식옵서버 국가는 총 12개국이 됐으며, 우리나라는 이번 가입을 통해 이사회 내 각종 회의와 워킹그룹에 참여가 가능하게 된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도 북극 관련 활동에 탄력을 받게 된 만큼, 북극정책에 대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국익에 도움이 될 방향으로 전략적 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수행할 연구 방향이 결정돼야 한다. 그 다음에 연구과제들이 개발돼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북극 관련 연구는 다산기지를 이용한 관측위주의 소규모 연구과제 수행이 대부분이다. 또한 쇄빙연구선 '아라온호'를 이용해 북극해를 조사 관측하는 연구과제들이 수년 전부터 수행되고 있다. 이외에 북극해 횡단항해에 관한 연구과제가 민간재단의 정책연구과제로 몇 년 전부터 시작됐고 시험항해가 기업차원에서 실시된 바 있다. 그러나 북극해를 횡단하는 항해가 안전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준비해야 할 기술적, 법률적, 경제적 문제 등에 관한 사전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박병권 한국극지연구위원회 위원장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