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늘어서 고민, 줄어도 고민 … 세계 인구 80억 시대의 두 얼굴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아프리카 사하라 이남 빈국이 인구 증가 주도 … 2080년 104억명 정점
한국·일본·중국 등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 걱정 … 러시아·우크라이나도 전쟁 후유증 전망

늘어서 고민, 줄어도 고민 … 세계 인구 80억 시대의 두 얼굴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황수미 기자] 세계 인구 80억명 시대가 열렸다. 아프리카와 아시아 등 일부 개발도상국에서 두드러지는 인구 증가세는 앞으로도 수십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일각에서는 특정 국가 중심의 인구 증가가 미래에 큰 위험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유엔인구국(UNPD)에 따르면 15일(현지시간) 세계 인구가 80억명을 넘어섰다. 1974년 40억명에서 48년 만에 두배로 증가한 것이다. 인구 증가는 아시아와 아프리카 일부 지역이 주도하고 있다. 국가별로 보면 중국과 인도의 인구가 각각 14억명가량으로 가장 많다. 다만 내년에는 인도가 정체된 인구 증가세를 보이는 중국을 추월해 세계 최다 인구 국가로 올라설 것으로 보인다.

내년에는 인도가 중국 인구 추월할 전망

세계 인구는 당분간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유엔은 기대수명과 가임연령 인구 증가로 세계 인구가 2030년 약 85억명에서 2050년 97억명으로 증가했다가 2080년 104억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2100년까지 이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세계 인구 80억명 시대로 접어들면서 일각에서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앞으로 수십년 동안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인구 증가가 기후변화 대응을 방해하고 대규모 이주나 국가 간 물리적 충돌을 일으키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존 윌모스 UNPD 국장은 "세계 인구가 80억명에 도달한 것은 인류 성공의 징표인 동시에 미래의 커다란 위험일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인구 증가가 빈국을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도 문제로 거론된다. 유엔은 인구 정점 시기까지 늘어날 세계 인구 가운데 대부분은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에서 태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유엔은 "1인당 소득이 낮을수록 출산율이 높게 유지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들 국가 대부분이 해당 지역에 몰려 있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는 아프리카의 콩고민주공화국·이집트·에티오피아·나이지리아·탄자니아와 아시아의 인도·필리핀·파키스탄 등이 세계 인구 증가를 이끌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따라 인구가 계속 늘면 1인당 소비할 수 있는 자원의 양은 감소하지만, 수요는 계속 증가하게 된다. 결국 식량·물·에너지 등 자원이 부족해지면서 빈국에서의 영양실조 및 기아 문제를 부추길 수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 6월 23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남부 항구도시 오데사의 들판에서 보리 수확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 6월 23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남부 항구도시 오데사의 들판에서 보리 수확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반대로 인구가 점점 줄어서 문제인 국가도 있다. 한국은 최근 급격한 인구 감소로 사회·경제적인 문제에 직면한 대표적인 국가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안정적인 증가세를 보이던 한국 인구는 2020년 5183만6000명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지난해 5174만5000명에서 올해 5162만8000명으로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다.


특히 한국의 합계출산율(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자녀의 수)은 2021년 기준 0.81명으로, 세계에서 홍콩(0.75명) 다음으로 낮다. 같은 해 세계 합계출산율(2.32명)을 한참 밑돌았다는 점은 한국이 인구 붕괴 시대에 접어들었다는 것을 보여 주는 대목이다. 더구나 통계청은 올해 약 5100만명인 한국 인구가 2070년엔 3800만명으로 27%가량 더 감소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인구 대국 중국도 인구절벽 위기

인구 대국으로 불리던 중국도 인구절벽 위기에 처한 모양새다. 인구 급증을 막기 위해 1978년부터 '한 자녀 정책'을 도입해온 중국은 급격한 출생률 저하로 2016년 '두 자녀 정책'에 이어 지난해 5월 '세 자녀 정책'을 전면 시행했다.


지난해 중국의 출생 인구는 대기근 시기인 1961년(949만명) 이후 최소였던 2020년(1200만명)에서 11.5% 줄어든 1062만명을 기록했다. 특히 인구 자연증가율(0.034%)은 1960년 이래 최저치였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중국은 당장 내년부터 최대 인구 국가 지위를 인도에 빼앗길 지경에 다다랐다. 중국 위생건강위원회는 3년 이내에 중국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할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약 9개월째 전쟁을 이어가고 있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도 인구 감소를 피하지 못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러시아의 인구는 연초보다 47만5500명 감소한 1억4510만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옛 소련이 붕괴한 1991년(1억4830만명)보다도 320만명이나 줄어든 수준이다.


우크라이나도 상황은 비슷하다. 세계인구리뷰(World Population Review) 자료를 보면 우크라이나의 인구는 지난해 4353만1422명에서 16일 자정 기준 3696만3000여명으로 떨어진 상태다. 알렉산드르 이사코프 러시아 경제학자는 "전쟁이 계속되면 인구는 이민이나 전사자, 출산율 저하 등으로 더욱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난달 5일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밭작물 전시포에서 관내 어린이집 원생들이 고구마 수확 체험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5일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밭작물 전시포에서 관내 어린이집 원생들이 고구마 수확 체험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이처럼 지속되는 인구 감소 현상은 사회·경제적인 측면에서 여러 문제를 초래한다. 한국의 경우 저출산에 따른 고령화로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율이 증가하면서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이에 따라 노동력이 갈수록 부족해지면서 경제의 성장잠재력이 약화하고 있다. 반면 노인 부양을 위한 연금과 각종 사회보장비의 지출은 증가하면서 국가 재정부담이 커지고 있다.


일본도 저출산·고령화에 몸살을 앓고 있는 국가 중 하나다. 유엔에 따르면 일본 인구는 2010년 1억2813만명에서 2011년 1억2808만명으로 줄어든 이후 지난해까지 11년 연속으로 감소했다. 오랜 기간 지속된 인구 정체 및 감소는 일본 경제를 30년간 제자리걸음 하게 한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일본의 합계출산율은 반등 조짐

다만 일본에서는 저출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을 1990년부터 지속해서 추진하고 있다. 관련 예산을 마련해 출산이나 육아 지원 정책을 지원하는 데 쏟아붓는 식이다.


이같은 노력으로 일본은 최근 낮은 출산율을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 2005년 1.26명까지 떨어졌던 합계출산율은 2015년 1.45명으로 상승했고, 코로나19가 유행하던 지난해에도 1.30명을 유지했다. 유엔은 일본의 출산율이 소폭 상승해 2060년대에는 1.5명대까지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기도 했다.




황수미 기자 choko216@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이슈 PICK

  • '엔비디아 테스트' 실패설에 즉각 대응한 삼성전자(종합) 기준금리 11연속 동결…이창용 "인하시점 불확실성 더 커져"(종합2보) 韓, AI 안전연구소 연내 출범…정부·민간·학계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국내이슈

  • 비트코인 이어 이더리움도…美증권위, 현물 ETF 승인 '금리인하 지연' 시사한 FOMC 회의록…"일부는 인상 거론"(종합) "출근길에 수시로 주물럭…모르고 만졌다가 기침서 피 나와" 中 장난감 유해 물질 논란

    #해외이슈

  • [포토] 고개 숙이는 가수 김호중 [아경포토] 이용객 가장 많은 서울 지하철역은? [포토] '단오, 단 하나가 되다'

    #포토PICK

  • 기아 사장"'모두를 위한 전기차' 첫발 떼…전동화 전환, 그대로 간다" KG모빌리티, 전기·LPG 등 택시 모델 3종 출시 "앱으로 원격제어"…2025년 트레일블레이저 출시

    #CAR라이프

  • [뉴스속 용어]美 반대에도…‘글로벌 부유세’ 논의 급물살 [뉴스속 용어]서울 시내에 속속 설치되는 'DTM' [뉴스속 용어]"가짜뉴스 막아라"…'AI 워터마크'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