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부처
트럼프 통상압박 농축산으로 번지나…업계 긴장 고조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통상 압박이 농축산업 분야로 확대될 조짐을 보이면서 국내 관련 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미국이 그동안 문제 삼아온 한국 검역 제도가 한미 통상 협상 쟁점으로 떠오를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5일 정부에 따르면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최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과 만나 무역 정책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미국 측은 한국의 위생·검역(SPS) 문
- 오늘의 지수
-
-
코스피
2,566.36
하락 7.28 -0.28%
-
코스닥
734.26
상승 11.46 +1.59%
-
원/달러
1,454.50
-0.50 -0.03%
-
원/100엔
979.89
-3.55 -0.36%
-
원/유로
1,582.28
3.10 +0.20%
-
원/위안
200.92
0.15 +0.07%
-
삼성전자
54,700
변동없음 0 0.00%
-
SK하이닉스
204,500
상승 4,800 +2.40%
-
LG에너지솔루션
326,500
하락 14,000 -4.11%
-
삼성바이오로직스
1,051,000
하락 2,000 -0.19%
-
현대차
198,500
하락 2,500 -1.24%
-
알테오젠
392,000
상승 17,000 +4.53%
-
에코프로비엠
112,500
하락 3,100 -2.68%
-
HLB
72,000
하락 2,200 -2.96%
-
에코프로
59,800
상승 2,400 +4.18%
-
레인보우로보틱스
317,500
상승 10,500 +3.42%
-
코스피
-
03.14 기준
![[초동시각] 검찰과 공수처의 身言書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4042210230247139_1716771057.jpg)
[초동시각] 검찰과 공수처의 身言書判
당(唐) 태종 이세민은 나랏일을 믿고 맡길 인재를 등용하는 잣대로 신언서판(身言書判)을 제시했다. 신당서(新唐書)에 나오는 내용이다. 먼저 신은 그 얼굴과 몸가짐이 듬직하고 위풍당당해야 한다고 했다. 품위가 있되, 거들먹거리지 않고 삼갈 줄 아는 신중(愼重)한 자세다. 둘째 말은 조리 있고 반듯하게 해야 한다고 했다. 말은 곧 믿음(信)이다. 툭하면 말 바꾸는 사람은 나랏일 할 자격이 없다. 서예를 서법(書法)의 경지로

문체부 100억여원 ‘인문정신문화 확산 사업’ 공모
문화체육관광부가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함께 3월19일부터 4월7일까지 '2025년 인문정신문화 사회적 확산 사업'에 참여할 시설·기관·단체 등을 '국가문화예술지원시스템'을 통해 공모한다. 공모를 진행하는 사업은 '길 위의 인문학', '지혜학교', '청소년 인문교실', '청년 인문실험', '중장년 청춘문화공간', '인문 영상 콘텐츠' 등 6개로 모두 100억여원 규모다. 인문정신문화 사회적 확산 사업은 그간 연중 사업별로 공모를 진

서울예술단 "문체부의 광주 이전 계획 철회돼야…공청회 필요"
서울예술단이 문화체육관광부의 서울예술단 광주 이전 계획을 수용할 수 없다며 공청회 개최를 요구하는 성명을 13일 발표했다. 문체부는 지난 6일 향후 10년 문화정책의 중장기 정책방향과 과제를 담은 '문화한국 2035'를 발표했다. 문화한국 2035에는 현재 서울 예술의전당에 있는 서울예술단을 광주에 있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으로 이전한다는 계획이 포함됐다. 서울예술단은 성명을 통해 당시 문체부 발표가 사업 타당성에

문체부, 모두미술공간에서 서울 도심 공연예술벨트 간담회
문화체육관광부가 13일 서울 중구 서울스퀘어 별관 5층 모두미술공간 세미나실에서 두 번째 ‘오후 3시의 예술정책 이야기’를 개최한다. 오후 3시의 예술정책 이야기는 매주 목요일 문체부가 추진하고 있는 예술정책을 소개하고 예술계의 현장 의견을 수렴하는 간담회다. 문체부는 4월 말까지 모두 여덟 차례 간담회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서계동 복합문화공간, 국립극장, 국립정동극장, 명동예술극장을 연계해

정부, 유산세→유산취득세 전환... 75년만에 상속세 대손질
정부가 75년 만에 상속세 과세 체계를 상속액 전체가 아닌 '상속인 각자가 받은 만큼 내는 방식'으로 전면 개편한다. 자녀 공제를 1인당 5000만원에서 5억원으로 대폭 올리고, 자녀가 많을수록 공제액이 늘어나도록 인적 공제를 확대한다. 낡은 세제가 물가·집값 상승 등 경제 환경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중산층의 세금으로 변질된 상속세의 세 부담을 낮춰보자는 취지다. 조기 대선 표심을 의식한 정치권의 상속세 개편 전쟁

재산 30억 받는 배우자·자녀2 상속세 1억6000만원 줄어든다
정부가 75년 만에 상속세 개편에 나선 건 일부 초부자를 위한 상속세가 '중산층의 세금'이 돼 버린 문제 인식에 따른 것이다. 수십년간 물가 상승과 집값 급등 등 경제 변화를 낡은 상속세 체계가 따라가지 못하면서 중산층도 상속세를 내기 시작했다. 세대 간 수직적인 부의 대물림을 막고 평등을 강화한다는 상속세 취지를 생각하면, 중산층이 상속세 부담까지 지는 것은 불합리하다는 게 정부 판단이다. '받은 만큼 내는' 상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