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G우·현대차2우B 등 기관들 연속 순매수 나서
10년간 10월 우선주지수 코스피 대비 초과수익 기록
[아시아경제 송화정 기자, 구은모 기자] 기관들이 우선주를 지속적으로 사들이고 있다. 배당을 감안해 10월에 우선주가 강세를 보이는 계절적 특성 등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기관은 최근
아모레G우
아모레G우
002795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11,730
전일대비
210
등락률
+1.82%
거래량
5,606
전일가
11,520
2023.06.05 15:30 장마감
관련기사
7월 1일 코스피, 1.63p 내린 2106.70 마감(0.08%↓)오래 기다렸습니다. 中 한한령 해제! 화장품 일제히 급등!! 10월 30일 코스피, 12.42p 내린 2080.27 마감(0.59%↓)
close
,
현대차2우B
현대차2우B
005387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110,000
전일대비
2,400
등락률
+2.23%
거래량
64,760
전일가
107,600
2023.06.05 15:30 장마감
관련기사
반도체株 일제히 오름세…코스피 0.38% 상승[2022자본투자대상]KB자산운용, 변동성 높은 시기에 빛난 연중 배당투자코스피 오후들어 0.8%대 하락…3020선 거래
close
,
삼성전자우
삼성전자우
005935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59,800
전일대비
200
등락률
-0.33%
거래량
1,033,131
전일가
60,000
2023.06.05 15:30 장마감
관련기사
[실전재테크]상반기는 반도체株, 하반기엔 조선株코스피, 기관 '팔자'에 2560선 아래서 마감…반도체株 홀로 강세코스피, 2570선 강보합 출발
close
,
LG생활건강우
LG생활건강우
051905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238,000
전일대비
1,500
등락률
+0.63%
거래량
2,993
전일가
236,500
2023.06.05 15:30 장마감
관련기사
코스피, 기관 순매수에 3% 상승하며 강세… 코스닥 600선 회복 도전코스피 개인·외국인 '사자'에 1731.17로 장 출발코스피, 개인·외국인 순매수에 2150선 회복… 코스닥 670선 회복 도전
close
,
금호석유우
금호석유우
011785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67,600
전일대비
1,300
등락률
+1.96%
거래량
12,439
전일가
66,300
2023.06.05 15:30 장마감
관련기사
[장마감 분석]외국인·기관 순매매 비중 높은 종목 코스피, 장 초반 상승폭 확대…외인 자금 이탈은 계속 남양유업우·금호석유우, 우선주 괴리율 60% 이상 '최대'…삼성전자우는 20%
close
,
대신증권우
대신증권우
003545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13,230
전일대비
100
등락률
+0.76%
거래량
30,529
전일가
13,130
2023.06.05 15:30 장마감
관련기사
대신증권 창립 60주년 '대신 리츠' 하반기 상장먹구름 걷히는 증권주…가파른 상승⊂ 한도 소진 임박! ⊃ 60개월 사용과 ,수수료만 없다면 최고의 스탁론?
close
등을 연속 순매수 중이다. 지난 8일 기준 아모레G우는 14일, 현대차2우B는 11일, 삼성전자우와 LG생활건강우는 10일, 금호석유우는 8일, 대신증권우는 7일씩 각각 연속해서 사들였다.
기관의 이 같은 우선주 매수는 일반적으로 10월이 우선주 투자의 적기로 여겨지는 계절적 특성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한국투자증권에 따르면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10년 동안 10월 우선주지수는 한 차례도 빠짐없이 코스피 대비 초과수익률을 기록했다. 10월은 배당주 투자의 최적의 시기로 평가된다. 배당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기 전에 미리 매수해야 수익률을 높일 확률이 커지기 때문이다. 배당주의 주가는 배당 시점이 다가올수록 상승하는 경향이 있는데, 배당을 실시하는 12월이나 직전 달인 11월에는 이미 배당을 노리는 투자자들이 상당수 유입돼 배당주의 가격 매력이 많이 소진되는 게 일반적이다.
연 2%대 이하의 초저금리가 고착화되면서 높은 배당수익률에 대한 투자 민감도는 높아지고 있다. 배당주 중에서도 의결권이 없는 대신 보통주보다 높은 배당수익이 주어지는 우선주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정훈석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시중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의 세후 이자율이 1% 중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보통주보다 배당수익률이 높은 우선주에 대한 선호도는 높아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배당락을 차감한 수익률 면에서도 우선주의 매력은 여전하다는 평가다. 2015년부터 올해 2분기까지 코스피에 상장된 우선주의 배당락 차감 후 평균 배당수익률은 1.1%로 동일종목 보통주의 0.9%보다 약 0.2%포인트 높았다. 배당이 몰려있는 4분기 평균도 각각 1.9%, 1.3%로 우선주가 우위를 보였다. 종목별로 보면
DL우
DL우
000215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28,550
전일대비
300
등락률
+1.06%
거래량
1,672
전일가
28,250
2023.06.05 15:30 장마감
관련기사
남양유업우·금호석유우, 우선주 괴리율 60% 이상 '최대'…삼성전자우는 20%[특징주]건설株, 유가하락에 동반 '신저가'박스권 답답증시 톡 쏘는 우선주
close
, CJ제일제당우,
아모레퍼시픽우
아모레퍼시픽우
090435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34,600
전일대비
800
등락률
+2.37%
거래량
12,755
전일가
33,800
2023.06.05 15:30 장마감
관련기사
외국인, 4주 연속 '사자'…LG화학 가장 많이 사들여[특징주]中 시진핑 주석 방한 추진 소식에 화장품株 ↑마트서 구매하면 가전 할부금 공짜…'오프라인 살리기' 특명
close
,
LG생활건강우
LG생활건강우
051905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238,000
전일대비
1,500
등락률
+0.63%
거래량
2,993
전일가
236,500
2023.06.05 15:30 장마감
관련기사
코스피, 기관 순매수에 3% 상승하며 강세… 코스닥 600선 회복 도전코스피 개인·외국인 '사자'에 1731.17로 장 출발코스피, 개인·외국인 순매수에 2150선 회복… 코스닥 670선 회복 도전
close
,
아모레G우
아모레G우
002795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11,730
전일대비
210
등락률
+1.82%
거래량
5,606
전일가
11,520
2023.06.05 15:30 장마감
관련기사
7월 1일 코스피, 1.63p 내린 2106.70 마감(0.08%↓)오래 기다렸습니다. 中 한한령 해제! 화장품 일제히 급등!! 10월 30일 코스피, 12.42p 내린 2080.27 마감(0.59%↓)
close
등이 보통주보다 배당수익률이 높았다. 김동완
유진투자증권
유진투자증권
00120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3,675
전일대비
15
등락률
+0.41%
거래량
585,127
전일가
3,660
2023.06.05 15:30 장마감
관련기사
[금통위poll]②금리인하, 올해 4분기 vs 내년 1분기 '팽팽'[금통위poll]①한·미 모두 최종금리 도달…인상사이클 끝났다유진투자증권, 토큰증권 플랫폼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
close
연구원은 "배당락이 배당수익보다 크면 배당투자가 아닌 배당락일 시가에 자본이득을 노리는 전략이 더 유리한 만큼 실제 배당수익이 배당락을 넘어서는지 여부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우선주 투자의 걸림돌인 부족한 유동성 문제도 개선세를 띄고 있다. 우선주는 거래량이 적은 종목들이 많아 원하는 가격에 매매하기가 쉽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전체 우선주의 3분의 1이 넘는 우선주가 하루 평균 5억원 이상 거래되면서 거래 유동성이 확보되는 모습이다. 2009~2013년 10개 수준이던 일평균 거래대금 5억원 이상 우선주는 2015년부터 20~30개 수준으로 증가하더니 올해 들어서는 40개를 넘어섰다.
다만 시가총액 하위 우선주는 수급요인으로 탄력적인 시세가 형성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시총 200억원 이하로 유동성에 제약이 있는 우선주는 회사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쏠림현상으로 보통주보다 주가가 크게 움직일 수 있다. 정 연구원은 "통상 우선주는 보통주보다 할인돼 거래되지만 시총 하위 우선주는 수급 요인으로 인해 보통주의 10배 이상의 비이성적인 가격을 형성할 때도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송화정 기자 pancake@asiae.co.kr
구은모 기자 gooeunm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