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소득의 붕괴] 쓸 돈 없는 저소득층…위태위태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저소득층 가처분소득 2009년 이후 첫 감소
물가 인상 탓에 빚내서 소비…28만원 적자
고소득 소득은 증가 추세…빈익빈 부익부 심화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소득이 무너지고 있다. 저성장을 이미 넘어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면서 가계소득이 위협받고 있다. 구조조정 여파에 휩싸이면서 근로소득이 줄고 저금리로 금융자산도 늘어날 기미조차 보이지 않는다. 정부는 내수의 핵심 축인 소득을 늘려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지만 기업들은 일자리를 늘릴 여유조차 없이 불안에 휩싸이고 있다. (편집자주)
서울역 노숙자(아시아경제DB)

서울역 노숙자(아시아경제DB)

AD
원본보기 아이콘


소득 붕괴가 가장 심각하게 일어나는 곳은 바로 저소득층이다. 자산은 물론 소득에서도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더욱 심각해지면서 이들은 줄어든 소득만큼 씀씀이를 더 줄여야 하는 상황이다. 정상적인 경제생활을 영위할 수 없을 만큼 벼랑 끝에 내몰리고 있다.

1일 통계청 소득 10분위별 가구당 가계수지에 따르면 지난해 1분위(하위 소득 10%)의 처분가능소득은 78만8409원으로 3년만에 80만원선 아래로 내려앉았다.
1분위 처분가능소득이 감소세를 기록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찾아왔던 2009년 이후 처음이다.

관련 통계가 처음 집계된 2003년 49만9632원이던 1분위 처분가능소득은 7년 만인 2010년 60만원대(63만2706원)를 넘어섰다.

이듬해 64만6782원으로 늘어났으며 2012년 72만1281원, 2013년 73만7603원, 2014년 81만1891원, 2015년 89만7566원으로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를 보였지만 지난해 하향세로 돌아섰다.

10분위 가운데 처분가능소득 감소는 1분위 외에도 하위계층인 2분위, 3분위에서도 발생했다. 이들을 제외하고는 6분위가 유일하다.

2분위 처분가능소득은 161만5001원으로 전년도 166만3432원 보다 4만8431원(2.9%) 감소했다.

3분위도 전년도 221만9557원이던 처분가능소득이 220만9600원으로 1만원(0.4%) 가량 줄었다.

6분위도 처분가능소득이 줄었지만 352만2902원에서 352만2697원으로, 감소폭은 불과 200원 가량으로 저소득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줄었다.

저소득층이 소득 감소에 허덕인 반면 고소득층은 소득이 늘어났다. 소득 상위층으로 갈수록 처분가능소득은 더욱 증가세를 보였다.

10분위 처분가능소득은 786만1963원으로 전년도 765만9100원 보다 20만2863원(2.6%) 증가했으며, 9분위도 537만5099원에서 540만2649원으로 소폭(0.5%) 증가했다.

8분위도 450만6395원에서 460만3461원으로 10만원(2.1%) 가량 늘었다.

[소득의 붕괴] 쓸 돈 없는 저소득층…위태위태 원본보기 아이콘


지난해 경기 침체로 인한 직격탄을 저소득층이 고스란히 떠안은 셈이다. 임시직, 일용직 등 일자리가 줄고 영세자영업자도 매출 부진에 시달렸다.

1분위의 총소득은 98만3137원 가운데 근로소득은 29만7080원으로 전년도 35만74원 보다 15.1%나 감소했으며 사업소득도 15만3902원에서 11만799원으로 28.0%나 줄었다.

식품 등 생활 물가 인상 등으로 1분위 지출은 126만4499원으로 전년도 120만5074원 보다 4.9% 늘었다.

결국 1분위 가계 적자액은 전년도 13만4107원에서 28만1362원으로 두 배 넘게 증가했다. 소득은 줄고 물가는 올라 가계 빚을 졌다는 의미다.

문제는 올해에도 이 같은 현상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고용한파로 인해 일자리가 좀처럼 늘어나지 않고 있어서다.

1월 실업자 수가 2010년 이후 7년 만에 100만명을 돌파했는데, 60세 이상 고령층에서 5만명이 늘어나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제조업 취업자가 지난해 7월 6만5000명 감소 이후 올 1월까지 7개월째 감소세를 기록했다.

정부는 최근 내수활성화 방안 가운데 구직급여 상한액 상향 등 저소득층 생계비 부담을 줄이는 대책을 발표했지만 실질 소득 증가효과가 없어 고질적인 저소득층 소득 붕괴를 막기에는 역부족이란 지적이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이슈 PICK

  • [포토] 외국인환대행사, 행운을 잡아라 영풍 장녀, 13억에 영풍문고 개인 최대주주 됐다 "1500명? 2000명?"…의대 증원 수험생 유불리에도 영향

    #국내이슈

  • "화웨이, 하버드 등 美대학 연구자금 비밀리 지원" 이재용, 바티칸서 교황 만났다…'삼성 전광판' 답례 차원인 듯 피벗 지연예고에도 "금리 인상 없을 것"…예상보다 '비둘기' 파월(종합)

    #해외이슈

  • [포토] '공중 곡예' [포토] 우아한 '날갯짓' [포토] 연휴 앞두고 '해외로!'

    #포토PICK

  • 현대차 수소전기트럭, 美 달린다…5대 추가 수주 현대차, 美 하이브리드 月 판매 1만대 돌파 고유가시대엔 하이브리드…르노 '아르카나' 인기

    #CAR라이프

  • 국내 첫 임신 동성부부, 딸 출산 "사랑하면 가족…혈연은 중요치 않아" [뉴스속 용어]'네오탐'이 장 건강 해친다? [뉴스속 인물]하이브에 반기 든 '뉴진스의 엄마' 민희진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