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출처=연합뉴스]
썝蹂몃낫湲 븘씠肄
[아시아경제 이명환 기자] 12월 첫 거래일인 1일 코스피가 상승 출발하면서 3개월여 만에 2500선을 돌파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긴축 속도 조절을 시사하면서 미국 증시가 일제히 상승 마감한 영향으로 보인다.
이날 오전 9시10분 현재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0.81%(20.15포인트) 오른 2492.68을 가리키고 있다.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1.17%(28.90포인트) 오른 2501.43에 장을 열었다. 코스피가 장중 2500선을 돌파한 건 지난 8월19일 이후 약 3개월여만이다. 다만 개장 직후 상승 폭이 둔화하기 시작해 재차 2400선으로 내려왔다.
외국인과 개인 투자자들이 순매수세를 보이며 지수 상승을 이끌고 있다.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293억원과 216억원어치 주식을 사들이고 있다. 반면 기관 투자자들은 497억원을 순매도 중이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은 반도체 및 성장주들을 중심으로 상승 폭이 크다.
삼성전자
삼성전자
00593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62,900
전일대비
1,100
등락률
+1.78%
거래량
11,372,929
전일가
61,800
2023.02.02 11:09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청년 1.7만명 자립 도운 삼성…10번째 '희망디딤돌' 전남센터 개소“주식카톡방 완전 무료 선언” 파격 결정외인·기관 매수에 코스피 1% ↑…원·달러 환율 11.9원 급락(종합)
close
가 전 거래일보다 1.29%(800원) 오른 6만3000원에 거래 중이고,
SK하이닉스
SK하이닉스
00066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93,100
전일대비
1,700
등락률
+1.86%
거래량
2,269,106
전일가
91,400
2023.02.02 11:09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외인·기관 매수에 코스피 1% ↑…원·달러 환율 11.9원 급락(종합)외인·기관 쌍끌이 매수에 코스피 1% ↑…2월 FOMC 훈풍[클릭 e종목]"SK하이닉스, 연내 흑자전환 힘들 것"
close
도 2.47%(2100원) 올라 8만7100원을 가리키고 있다. 우선주인
삼성전자우
삼성전자우
005935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56,500
전일대비
400
등락률
+0.71%
거래량
493,710
전일가
56,100
2023.02.02 11:09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코스피, 외인 순매수 전환에 1%대 상승 마감개인·외인 쌍끌이에 코스피 소폭 오름세 코스피, 기관 매도세에 0.85% 내린 2379.39 마감
close
(2.15%)도 오름세다. 대표 성장주인 네이버(
NAVER
NAVER
03542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212,500
전일대비
7,000
등락률
+3.41%
거래량
591,738
전일가
205,500
2023.02.02 11:09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외인·기관 매수에 코스피 1% ↑…원·달러 환율 11.9원 급락(종합)외인·기관 쌍끌이 매수에 코스피 1% ↑…2월 FOMC 훈풍코스피, 외인 순매수 전환에 1%대 상승 마감
close
)도 전 거래일 대비 2.67%(5000원) 오른 19만2000원을 가리키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
LG에너지솔루션
37322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523,000
전일대비
1,000
등락률
+0.19%
거래량
140,554
전일가
522,000
2023.02.02 11:09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LG엔솔, 美FEPS에 전기 상용차 5만대 규모 배터리 공급코스피, 외인 순매수 전환에 1%대 상승 마감혹한기·빙하기에도 '연봉 절반' 성과급 챙겨주는 삼성·SK 반도체(종합)
close
만 전 거래일보다 0.68%(4000원) 밀린 58만3000원에 거래 중이다.
같은 시간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60%(11.66포인트) 상승한 741.20을 가리키고 있다. 이날 코스닥 지수는 전날보다 1.57%(11.43포인트) 오른 740.97에 출발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기관 투자자들이 순매수세를 키우고 있다. 기관은 393억원어치 주식을 사들이며 홀로 순매수 중이다. 개인과 외국인 투자자들은 각각 363억원과 12억원을 팔아치우고 있다.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에는 일제히 '빨간불'이 들어왔다.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비엠
24754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112,800
전일대비
3,600
등락률
+3.30%
거래량
1,059,653
전일가
109,200
2023.02.02 11:09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외인·기관 매수에 코스피 1% ↑…원·달러 환율 11.9원 급락(종합)외인·기관 쌍끌이 매수에 코스피 1% ↑…2월 FOMC 훈풍코스피, 외인 순매수 전환에 1%대 상승 마감
close
이 전 거래일보다 2.02%(2300원) 오른 11만6100원에 거래 중인 것을 비롯해
엘앤에프
엘앤에프
06697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219,000
전일대비
8,000
등락률
+3.79%
거래량
324,355
전일가
211,000
2023.02.02 11:09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외인·기관 매수에 코스피 1% ↑…원·달러 환율 11.9원 급락(종합)외인·기관 쌍끌이 매수에 코스피 1% ↑…2월 FOMC 훈풍코스피, 외인 순매수 전환에 1%대 상승 마감
close
(2.50%),
에코프로
에코프로
08652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130,700
전일대비
2,300
등락률
+1.79%
거래량
221,120
전일가
128,400
2023.02.02 11:09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외인·기관 매수에 코스피 1% ↑…원·달러 환율 11.9원 급락(종합)외인·기관 쌍끌이 매수에 코스피 1% ↑…2월 FOMC 훈풍코스피, 외인 순매수 전환에 1%대 상승 마감
close
(2.57%),
리노공업
리노공업
05847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171,100
전일대비
1,700
등락률
-0.98%
거래량
24,083
전일가
172,800
2023.02.02 11:09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코스피, 외인 순매수 전환에 1%대 상승 마감개인·외인 쌍끌이에 코스피 소폭 오름세 외인·기관 매수세에 코스피, 2460선 회복…"2차전지·자동차주가 이끌어"
close
(2.57%),
천보
천보
27828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244,500
전일대비
1,000
등락률
+0.41%
거래량
21,723
전일가
243,500
2023.02.02 11:09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마켓ING]실적 호조에 전기차株 질주[마켓ING]잇단 호재에 달리는 2차전지株[마켓ING]2280선까지 밀린 코스피, 두달만에 최저
close
(1.99%) 등 2차전지 관련 종목들이 강세다.
카카오게임즈
카카오게임즈
29349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47,100
전일대비
250
등락률
+0.53%
거래량
274,052
전일가
46,850
2023.02.02 11:09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코스피, 외인 순매수 전환에 1%대 상승 마감개인·외인 쌍끌이에 코스피 소폭 오름세 외인·기관 매수세에 코스피, 2460선 회복…"2차전지·자동차주가 이끌어"
close
(2.30%),
펄어비스
펄어비스
26375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46,700
전일대비
1,200
등락률
+2.64%
거래량
192,423
전일가
45,500
2023.02.02 11:09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외인·기관 매수에 코스피 1% ↑…원·달러 환율 11.9원 급락(종합)외인·기관 쌍끌이 매수에 코스피 1% ↑…2월 FOMC 훈풍코스피, 외인 순매수 전환에 1%대 상승 마감
close
(2.41%) 등 게임주들도 오르고 있다.
이날 국내 증시의 상승세는 전날 미국 뉴욕 증시의 주요 지수가 상승 마감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 증시는 파월 Fed 의장이 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고 시사하자 나스닥 지수가 4.41% 오르는 등 큰 폭으로 상승 마감했다.
파월 의장은 전날 브루킹스연구소 연설에서 "금리 인상 속도를 완화할 시기가 빠르면 12월에 올 수 있다"며 내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자이언트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이 아닌 빅스텝(기준금리 0.50%포인트 인상)을 결정할 수 있다고 시사했다.
기준금리 인상 속도 조절 가능성이 제시되면서 이날 국내 증시에서는 금리의 영향을 크게 받는 성장주들의 강세가 예상된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미국 증시에서 애플과 알파벳, 테슬라 등 빅테크 및 성장주들이 시장 금리 급락의 호재로 동반 강세를 연출했듯 국내 증시에서도 플랫폼, 소프트웨어 등 성장주들의 강세가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이명환 기자 lifehwa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