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과학을읽다]②바이오안보, 글로벌 차원 대응?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합성생물학은 창조주의 영역에 도전하는 '인공생명체'를 창조하는 분야입니다. [사진=유튜브 화면캡처]

합성생물학은 창조주의 영역에 도전하는 '인공생명체'를 창조하는 분야입니다. [사진=유튜브 화면캡처]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김종화 기자]합성생물학이 발전할수록 생물무기가 더 견고하고 악랄해지고, 더 위험한 바이러스로 재탄생할 수도 있습니다. 모든 항생제에 면역성을 갖도록 세균을 조작하거나 특정 종족에 대해서만 작용하도록 조작할 수도 있습니다.


'창조주의 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인간의 배아복제를 두고도 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미국 과학·공학·의학 아카데미(NASEM) 회의에서 기초 연구를 위한 인간배아 편집을 용인한다는 결론을 내려 인간 배아세포 대상 유전자 교정 기술 적용은 허용된 상태입니다. 그러나 윤리적, 법적 문제로 임신을 목적으로한 유전자 편집은 여전히 금지돼 있습니다.

지난해 11월 중국의 허젠쿠이 교수는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의 감염을 막기 위해 유전자가 편집된 쌍둥이 여아가 태어났다고 발표해 논란이 됐습니다. 허젠쿠이 교수는 HIV에 대한 면역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 관련 유전자 CCR5를 유전자 가위를 통해 유전체를 편집해 '룰루'와 '나나'라고 불리는 쌍둥이 여아를 탄생시킨 것입니다. 허젠쿠이 교수의 인간배아 편집이 '윤리적, 법적 문제로 임신을 목적으로한 유전자 편집'에 해당하느냐, 아니냐를 두고 논란이 발생한 것이지요.


과학자들은 합성생물학은 바이오연료, 의약품, 유기물질 등을 생산하거나 암을 제거하는 미생물(microorganisms)을 만들 수 있는


등 다양한 활용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질병치료나 인류애, 애국심 등을 빙자한 인간의 내면의 이중적 욕망을 제어하기는 어렵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이런 인간의 이중적 욕망이 '바이오안보(Bio security)'를 위협할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그래서 세계는 2014년 에볼라(ebola) 확산방지를 위한 국제공조를 맺고, 같은 해 오바마 정부는 항생제 다제내성 세균 국가전략을 수립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다음해인 2015년 메르스(MERS) 사태를 맞아 글로벌 보건안보 구상(GHSA) 고위급 회의를 개최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바이오안보'의 위험요인과 사례들을 공유해 왔습니다.


인간이 인위적으로 만든 세균 등이 인류의 잠재적인 위험이 된 것이지요. 과학자들은 이런 글로벌 위험들(global risks)은 복합적인 특성을 가진 문제들로 '전통안보(traditional security)'의 관점으로만 파악할 수 없는 새로운 개념의 '신흥안보(emerging security)' 이슈라고 보고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합성생물학 등 생명공학기술의 발전이 '약'이 아닌 '칼'이 될 수도 있는 만큼 '바이오안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바이오안보는 '생체, 생물학적 시스템, 유전체 등으로부터 유래되는 물질들에게서 다양한 행위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외교·안보 분야에서 바이오안보는 "의도적(intentionally) 또는 우발적으로(accidentally) 살포되거나 자연적으로(naturally) 발생하는 병원성 미생물(pathogenic microbes)로부터 다양한 행위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로 정의합니다.


최근 바이오안보를 해치는 가장 심각한 행위로 우려되는 것은 '바이오테러'입니다. 테러단체 등 비국가행위자에 의한 생물학적 공격인데 1990년대 초부터 바이오안보의 중요한 이슈로 다뤄지고 있습니다.


미국 국립연구위원회(NRC)에서 우려하는 바이오테러 등 바이오안보를 해치는 행위는 ▲백신을 효과 없게 만드는 방법 ▲치료에 유용한 항생제 또는 항바이러스제에 내성 부여 방법 ▲병원균의 독력을 높이거나 비병원체에 독력 부여 방법 ▲병원체의 전파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병원균의 숙주 범위 변경 방법 ▲진단/검출기법의 회피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 생물학적 제제 또는 독소의 무기화 방법 등입니다.


하버드대학 내 싱크탱크 중 지난해까지 5년 연속 세계 1위에 선정된 케네디스쿨의 '벨퍼 과학·국제문제센터'는 바이오안보는 한 국가적 의제가 아닌 '글로벌 의제'임을 강조했습니다. 벨퍼센터가 바이오안보를 지키기 위해 "생물무기 및 자연질병 발생으로 인한 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바이오안보(Managing the Microbe) 프로젝트'"를 기획한 바 있습니다.

바이오안보를 지키기 위해서는 국가차원의 대응을 넘어선 글로벌 차원의 대응이 돼야 합니다. [사진=유튜브 화면캡처]

바이오안보를 지키기 위해서는 국가차원의 대응을 넘어선 글로벌 차원의 대응이 돼야 합니다. [사진=유튜브 화면캡처]

원본보기 아이콘

벨퍼센터가 강조한 글로벌 대처 방안은 ▲정부, 민간 부문, 국제 및 비정부기구 간의 부문 간 통합을 촉진 ▲ 바이오 테러 및 기타 위험을 줄이기 위한 단호한 병원균의 통합 및 확보라는 세계적 목표를 추진 ▲ 바이오안보 개선에 중점을 둔 기술 및 의학적 진보를 저해하는 장벽을 제거 ▲ 급속한 과학적 및 기술적 진보와 보조를 맞추기 위해 규범을 업데이트할 것을 지지 ▲ 글로벌 보건안보 의제를 지지하는 강력한 비정부기구 활동의 개발을 이끌어 냄 등 5가지 입니다.


우리나라는 어떨까요? 우리나라에서도 탄저병(3군 전염병)의 'Bacillus anthracis' 병원체와 두창(4군 전염병)의 'Variola virus', 보툴리눔 독소증(4군 전염병)의 'Clostridium botulinum' 병원체, 1군 전염병인 페스트의 'Yersinia pestis', 바이러스형 출혈열(4군 전염병)의 'Marburg virus', 'Ebola virus', 'Lassa virus' 등 7개의 세균과 바이러스를 바이오테러에 사용될 수 있는 병원체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한성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연구위원과 조병관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는 지난해 말 KISTEP에 발표한 공동연구 '합성생물학의 발전과 바이오안보'를 통해 "대외의존성이 높고 개방돼 합성생물학 등 바이오안보 위험에 일정 정도 노출돼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외교·안보 정책과 바이오안보 정책을 대등한 수준에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합니다.


바이오안보 위험이 초국가적이고 글로벌한 차원에서 발생하는 만큼 이에 대한 대응체계도 국가 단위를 넘어 주변국과 긴밀히 협의해 구축해야 한다는 말이지요. 개별국가의 노력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므로 글로벌 차원에서의 대응과 협력이 필수적이란 의미입니다.








김종화 기자 justin@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이슈 PICK

  • [포토] 외국인환대행사, 행운을 잡아라 영풍 장녀, 13억에 영풍문고 개인 최대주주 됐다 "1500명? 2000명?"…의대 증원 수험생 유불리에도 영향

    #국내이슈

  • "화웨이, 하버드 등 美대학 연구자금 비밀리 지원" 이재용, 바티칸서 교황 만났다…'삼성 전광판' 답례 차원인 듯 피벗 지연예고에도 "금리 인상 없을 것"…예상보다 '비둘기' 파월(종합)

    #해외이슈

  • [포토] '공중 곡예' [포토] 우아한 '날갯짓' [포토] 연휴 앞두고 '해외로!'

    #포토PICK

  • 현대차 수소전기트럭, 美 달린다…5대 추가 수주 현대차, 美 하이브리드 月 판매 1만대 돌파 고유가시대엔 하이브리드…르노 '아르카나' 인기

    #CAR라이프

  • 국내 첫 임신 동성부부, 딸 출산 "사랑하면 가족…혈연은 중요치 않아" [뉴스속 용어]'네오탐'이 장 건강 해친다? [뉴스속 인물]하이브에 반기 든 '뉴진스의 엄마' 민희진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