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Book]1%가 99%를 약탈한다…'거대한 약탈'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책 '거대한 약탈'

책 '거대한 약탈'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조민서 기자]"우리는 초대형 금융사고의 위험 가능성 하나하나를 면밀히 주시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우리의 태도는 지나친 걱정으로 보일지도 모릅니다. 우리가 볼 때 파생상품은 금융계의 대량 살상무기입니다. 파생상품은 그 위험을 순간적으로는 감출 수 있어도 늘 치명적인 위험을 안고 있습니다."

'투자의 귀재' 워렌 버핏(84) 버크셔해서웨이 회장은 2003년 주주들에게 이 같은 내용의 편지를 보냈다. 당시만 하더라도 각종 금융 파생상품은 엄청난 수익률을 자랑하며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통하던 때였다. 예컨대 실제 담보가치는 100원밖에 안 되는 주택금융상품을 바탕으로 총 500원이 넘는 가치를 갖는 파생상품들이 우후죽순 생겨났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결국 버핏의 경고가 옳았음이 드러났다. 2007년 미국에서 시작된 서브프라임 모기지(신용등급이 낮은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주택자금을 빌려주는 대출상품) 사태는 2008년 유럽을 거쳐 전세계적인 금융위기로 확산됐다. 문제는 지금까지도 이 '대량 살상무기'가 금지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신간 '거대한 약탈'은 이 같은 금융위기가 "'쓰나미'처럼 느닷없이 강한 충격으로 몰아닥친 것이 아니란 점"을 강조한다. 오히려 돈 놓고 돈 먹는 '카지노 자본주의'나 1%가 99%를 약탈하는 '약탈 자본주의'에서는 필연적으로 '금융 위기'가 나타날 수밖에 없다는 주장이다. 이런 상황에서 피해를 입는 것은 1%에 속하지 못한 대다수의 국민들이다. 금융전략 컨설팅 회사 '프리드리히&바이크 재산보호'의 공동 설립자 마티아스 바이크와 마르크 프리드리히는 스위스, 영국, 미국, 아르헨티나 등 글로벌 금융 무대에서 현장전문가로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이 책을 써내려갔다. '왜 부지런한 사람은 점점 가난해지고, 부자는 점점 더 부자가 되는가' 이들의 고민은 여기서 출발한다.

지난 글로벌 금융위기의 원인을 분석한 1부에서는 당시의 숨가빴던 상황을 마치 한 편의 다큐멘터리처럼 재연해나간다. 2008년 6월 미국 투자은행 리먼브라더스의 회장이었던 리처드 풀드(69)가 "최악의 고비는 넘겼다"는 말을 한 지 3개월 뒤에 이 158년의 전통을 자랑한 투자기관은 파산한다. 이어 골드만삭스, JP모건, 메릴린치 등 다른 대형 투자은행들이 휘청거리기 시작했고, 덩달아 글로벌 금융시장도 요동쳤다. 이 와중에도 고액의 연봉을 챙긴 은행 경영진들, 이들의 방어벽이 되어 준 금융당국, 로비에 좌우되는 신용평가 기관 등이 모두 자신의 이익을 앞세워 금융위기를 일으키는 데 한 몫을 했다. 특히 '손실은 사회화하고 이익은 전과 다름없이 사유화한다'는 은행들의 철학이 더욱 돋보이는 계기가 됐다.

현재와 같은 금융구조에서는 최악의 경우 국가 부도 사태도 얼마든지 연쇄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이미 2006년 이후 국가 부채가 50% 이상 증가한 미국은 사실상 국가파산 상태이며, 중국과 일본 등 아시아는 물론이고 남아메리카와 러시아도 이러한 위기 구조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책에서는 저자 중 한 사람인 마르크 프리드리히가 2001년 국가 파산이 발생한 시점에 아르헨티나에 체류한 경험담을 들려준다. 당시 아르헨티나 정부는 1000억 달러 규모의 디폴트(채무불이행)를 선언했으며, 물가는 무섭게 뛰었다. 요구르트 하나의 가격이 3개월 만에 2달러에서 3달러로 올랐고, 전화 요금은 전세계에서 가장 비쌌다. 급기야 성난 군중들이 거리로 몰려나왔고, 열흘 사이(2001년 12월20일~2002년 1월1일)에 대통령이 5명이나 바뀌게 됐다. "국가는 절대 파산하지 않는다"는 신화는 이미 오래 전에 깨졌다고 저자는 설명한다.
글로벌 금융위기나 국가파산 상태에 이르렀을 때 실질적인 피해자는 결국 납세자들, 즉 보통의 국민들이다. 금융 위기에 빠진 은행을 지원하는 조치로 수많은 국가가 파산위기에 직면하거나 이미 국가부도 상태로 빠져들었다. 하지만 이 같은 문제에도 불구하고 변화는 일어나지 않고 있다. 현행 시스템의 수혜자들이 변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모든 것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돈의 힘은 평화 시에는 국민을 착취하고 전시에는 국민을 배신한다. 이 힘은 왕조 정치보다 독재적이고 귀족정치보다 뻔뻔하며 관료주의보다 이기적이다." 에이브러햄 링컨 전 미국 대통령의 말이다. 이 책은 결과적으로 금융권과 정치권에 의해 저질러지는 '거대한 약탈'에서 벗어나 '각자도생'의 길을 찾아야 한다는 씁쓸한 결론을 제시한다. "아무리 우겨도 1 더하기 1은 2이지, 결고 3이 될 수 없다"는 사실도 반드시 염두해두어야 한다.

(거대한 약탈 / 마티아스 바이크, 마르크 프리드리히 / 송명희 옮김 / 가치창조 / 1만5000원)



조민서 기자 summer@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이슈 PICK

  • [포토] 서울대병원·세브란스, 오늘 외래·수술 '셧다운' "스티커 하나에 10만원"…현금 걸린 보물찾기 유행 '바보들과 뉴진스' 라임 맞춘 힙합 티셔츠 등장

    #국내이슈

  • 밖은 손흥민 안은 아스널…앙숙 유니폼 겹쳐입은 축구팬 뭇매 머스크 베이징 찾자마자…테슬라, 中데이터 안전검사 통과 [포토]美 브레이킹 배틀에 등장한 '삼성 갤럭시'

    #해외이슈

  • [포토] 붐비는 마이크로소프트 AI 투어 이재용 회장, 獨 자이스와 '기술 동맹' 논의 고개 숙인 황선홍의 작심발언 "지금의 시스템이면 격차 더 벌어질 것"

    #포토PICK

  • 고유가시대엔 하이브리드…르노 '아르카나' 인기 기아 EV9, 세계 3대 디자인상 '레드닷 어워드' 최우수상 1억 넘는 日도요타와 함께 등장한 김정은…"대북 제재 우회" 지적

    #CAR라이프

  • [뉴스속 인물]하이브에 반기 든 '뉴진스의 엄마' 민희진 [뉴스속 용어]뉴스페이스 신호탄, '초소형 군집위성' [뉴스속 용어]日 정치인 '야스쿠니신사' 집단 참배…한·중 항의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