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MWC 2013]이석채 "이통사, 가상재화 유통사업자 돼야"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

[KT MWC 보도자료, 오후 7시 엠바고]이석채 KT 회장, “글로벌 가상재화 유통시장 구축” 제안
이석채 KT 회장이 26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MWC 2013' 기조연설에서 전통적 통신사업의 암울한 미래를 예견하며 가상재화를 그 대안으로 제시했다. 세계 최대규모의 모바일 전시회인 MWC(Mobile World Congress)에서 국내 통신사 CEO가 기조연설을 한 것은 이 회장이 처음이다.

이 회장은 전세계 통신회사 및 휴대폰 제조사의 최고경영자(CEO)들을 대상으로 한 이날 연설에서 "네트워크 사용료에만 집착하면 미래는 없다. 가상재화 유통을 위한 글로벌 공동마켓을 구축하자"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전통적 네트워크에서 브로드밴드로 이동하고 있다"며 "브로드밴드 시대에는 통신의 비중과 가치가 갈수록 작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회장은 카카오톡처럼 초고속인터넷 망을 활용해 수익을 내는 OTT(Over The Top) 사업자들이 번창하는 반면 통신서비스를 위주로 하는 KT와 같은 통신사들은 생존에 위협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KT가 아이폰 도입 이후 3년간 무선 네트워크에 4조원 이상을 투자했으나 수익은 정체되었다고 자평했다. 반면 네이버와 같은 포털 사업자들은 가상재화의 유통과 앱서비스를 제공하면서 큰 수익을 냈다고 평가했다.

가상재화란 디지털 콘텐츠, 앱, IT솔루션, e-러닝, e-헬스 등 브로드밴드 위에서 생산, 유통, 소비되는 비통신 서비스를 통칭하는 말이다.

이 회장은 "이제 통신사들은 스스로 가상재화의 제작자가 되거나 애플의 앱스토어처럼 가상재화 유통사업자가 돼야 한다"며 "초고속인터넷 위에 가상재화의 거래를 위한 큰 시장을 만들어서 수많은 사람들이 이 장터에서 온갖 것들을 사고 팔도록 하면서 사용료를 받아 수익을 내야한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KT는 가상재화 시장에 직접 진출함으로써 ‘전통적인 통신회사’에서 ‘ICT 컨버전스 기업’으로 탈바꿈하고 있다”며 KT의 사례를 소개했다.

KT는 IPTV 서비스를 유선과 모바일에서 제공해 콘텐츠 대량 소비시대를 열었고, 미디어·콘텐츠 분야에도 진출했다. 또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e-러닝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가상재화 유통시장에도 뛰어들어 숨피(한류 영어정보 사이트), 유스트림(실시간 동영상 중계), 지니(스마트폰 전용 음악서비스)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한·중·일 공동 앱마켓인 오아시스(OASIS)를 운영하고 있다.

이 회장은 이어 “통신회사가 브로브밴드에 기반한 가상재화 사업자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로컬 마켓을 넘어 글로벌 공동마켓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글로벌 공동마켓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은 이전에도 있었다. 2010년 MWC에서 글로벌 통신사업자들은 OS와 단말, 네트워크를 뛰어넘어 자유롭게 가상재화 유통이 가능한 WAC(Wholesale Applications Community)을 만들었다.

그러나 그러나 iOS, 안드로이드가 빠르게 확장하면서 WAC이 성장하기 힘들었다. 또한 통신사업자들도 가상재화라는 새로운 시장에 눈을 돌리기보다는 기존 사업영역을 고수하려 해 글로벌 공동마켓의 형성이 지연됐다.

이 회장은 글로벌 통신회사 CEO를 대상으로 한 이날 연설에서 "글로벌 공동마켓을 추구하는 WAC의 이상으로 다시 돌아가자"먀 "글로벌 앱 마켓을 구축하기 위해 4~5개 OS가 경쟁하는 체제를 구축하거나 타이젠과 같은 기존의 OS를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회장은 “글로벌 가상재화 시장이 열리면 일자리 창출 뿐만 아니라 교육격차 해소, 에너지 절감 등 수많은 사회적 문제에도 큰 도움이 되고, 세계 경제 발전의 새로운 엔진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회장은 연설 직후 에릭슨의 한스 베스트베리(Hans Vestberg), 도이치 텔레콤의 르네 오버만(Rene Obermann), 바이버(Viber)미디어의 탈몬 마르코(Talmon Marco) 등 패널로 참석한 글로벌 통신회사의 최고경영자(CEO)와 함께 '통신의 미래(Future of Communications)'를 주제로 토론을 벌였다.



심나영 기자 sny@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이슈 PICK

  • "방문증 대신 주차위반 스티커 붙였다"…입주민이 경비원 폭행 전치 4주 축구판에 들어온 아이돌 문화…손흥민·이강인 팬들 자리 찜 논란 식물원 아닙니다…축하 화분으로 가득 찬 국회

    #국내이슈

  • 머스크 끌어안던 악동 유튜버, 유럽서 '금배지' 달았다 휴가갔다 실종된 '간헐적 단식' 창시자, 결국 숨진채 발견 100세 된 '디데이' 참전용사, 96살 신부와 결혼…"전쟁 종식을 위하여"

    #해외이슈

  • [포토] 조국혁신당 창당 100일 기념식 [포토] '더위엔 역시 나무 그늘이지' [포토] 6월인데 도로는 벌써 '이글이글'

    #포토PICK

  • 경차 모닝도 GT라인 추가…연식변경 출시 기아, 美서 텔루라이드 46만대 리콜…"시트모터 화재 우려" 베일 벗은 지프 전기차…왜고니어S 첫 공개

    #CAR라이프

  • [뉴스속 그곳]세계문화유산 등재 노리는 日 '사도광산' [뉴스속 인물]"정치는 우리 역할 아니다" 美·中 사이에 낀 ASML 신임 수장 [뉴스속 용어]고국 온 백제의 미소, ‘금동관음보살 입상’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