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의 역할이 중요하다. 규명해야 할 핵심은 두 가지다. 문서의 유출 경위와 문건에 담긴 비선 세력의 실재 여부를 밝혀내는 것이다. 문건이 찌라시이든 아니든 청와대 밖으로 흘러나왔다는 것은 보안과 기강이 무너졌다는 방증이다. 더구나 이 문건 외에 청와대 감찰 문건이 대거 유출됐다는 얘기까지 나돈다. 유출 경위 규명은 물론 청와대의 문건관리 시스템과 공직기강 전반에 대한 총체적 점검이 필요하다.
검찰 수사와 별개로 청와대가 해야 할 일이 있다. 사실이 아니라면 왜 그런 얘기가 끊임없이 나도는가. 문건 유출을 확인하고도 왜 제대로 조치를 취하지 않았는가. 박 대통령은 보고를 받았는가, 받았다면 어떤 지시를 내렸는가. 이런 의문에 답하고 상응한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다.
역대 정권마다 친인척이나 비선 조직의 국정 개입이 화를 불러 국정운영에 타격을 입은 교훈을 잊어서는 안 된다. 벌써부터 새정치민주연합은 정치쟁점화할 태세다. 의혹을 말끔히 씻어 조기에 진화하지 않으면 박근혜정부 집권 3년차를 앞두고 국정운영의 추동력을 잃어 경제 살리기, 공무원연금 개혁 등에 차질이 우려된다. 박 대통령은 비선이니 실세니, 문고리 권력이니 하는 말들이 다시는 나오지 않도록 특단의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