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2020 KTX 구축전략]'전국 KTX 90분 생활권' 열린다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5+7 광역경제권으로 지역경제도 균형발전 기대

[2020 KTX 구축전략]'전국 KTX 90분 생활권' 열린다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조민서 기자]서울,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어디든 1시간 30분이면 갈수 있다? 앞으로 10년뒤인 2020년, 전국 주요 거점 지역이 KTX망으로 연결돼 '90분 통근권'으로 묶이게 된다. 전국이 1일 생활권이 아니라 '1시간 생활권'으로 좁혀지는 셈이다.

정부는 국가 경쟁력강화위원회, 녹색성장위원회, 미래기획위원회, 지역발전위원회 등 4개 위원회와 민간 전문가가 참여한 가운데 '미래 녹색국토 구현을 위한 KTX 고속철도망 구축전략 보고회의'를 개최하고 이 같은 계획을 1일 밝혔다.
이번 'KTX 고속철도망 구축전략'의 핵심은 KTX 서비스를 전국적으로 확대해 지역 균형발전에 기여하고, 나아가 교통·물류 체계를 철도 중심으로 전환해 녹색성장 기반을 강화하는 데 있다.

◆ 2020년 'KTX 90분시대' 전국 곳곳에 KTX망으로 연결

현재 진행중인 경부고속철도의 대구~부산(128.6km/11월 개통) 구간과 대전·대구 도심구간(2014년), 호남고속철도의 오송~광주 구간(2014년), 광주~목포 구간(2017년), 수도권 노선인 강남 수서~평택 구간(2014년)은 차질없이 차례대로 선보인다. 이렇게 되면 기존 KTX로 2시간46분이 걸렸던 서울·부산 구간은 1시간43분으로, 1시간37분이 걸렸던 서울·대구 구간은 1시간10분이면 이동이 가능하다.
여기다 경춘·전라·중앙·장항·동행·경전선 등 새로 건설 중인 고속철도노선은 선로 직선화 등 일부 시설을 개량해 최대 230km/h까지 고속화된다. 기존 철도와의 연계망도 높여 포항, 마산, 전주, 순천 등에도 KTX서비스가 확대된다. 특히 2012년부터는 인천공항까지 KTX가 운행돼 항공과 철도와의 연계성도 높아진다.

이밖에 신설되는 동서축 원주~강릉 노선, 내륙축 원주~신경주 노선은 250Km급으로 고속화해 건설되고, 춘천~속초 노선, 대전·김천~거제 노선 등도 추진시기를 검토 중이다.

도시간 이동 예상시간(자료: 국토해양부)

도시간 이동 예상시간(자료: 국토해양부)

원본보기 아이콘


◆ KTX 주변 거점 도시권도 30분대로..광역·급행 교통망 정비

KTX 연결효과를 높이기 위해 거점도시권 내 30분대의 광역·급행 교통망도 구축된다. 대표적으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가 마련되면 경기도 일대에서 서울 시내로 진입하는 시간이 대폭 줄어든다. 동탄신도시에서 강남 삼성역까지 67분이 19분으로, 일산에서 서울역까지 42분에서 16분으로 단축된다.

또 현재 97.9km 노선을 운행중인 간선급행버스(BRT)는 2020년까지 768km로 높여 전국 대도시권으로 확대된다. KTX역, 전철역, 터미널 등 복합환승센터도 2012년까지 10개소를 설치하는 것을 목표로 본격 개발된다.

◆ 5+7 광역경제권으로 지역경제도 균형있게

KTX가 정차하는 5개 대도시권과 7개 중·소도시권도 지역별 특성에 맞게 집중 육성된다. ▲경인권은 금융, 국제업무 및 문화콘텐츠 거점지역 ▲대전권은 기초과학 및 원천기술 ▲광주권은 광산업, 디자인문화 ▲대구권은 메카트로닉스, 신소재 부품 생산지 ▲부산·울산권은 항만물류, 조선해양, 관광 등으로 나눠 특성화시킨다.

또 ▲강원권은 바이오, 의료, 관광 ▲제주권은 물산업, 관광 레저중심지로 육성되며, KTX가 통과하는 ▲충주 ▲전주·익산 ▲광양·여수 ▲안동 ▲진주지역은 중소 거점도시로 특화된다. 이같은 KTX역세권은 대도시를 우선 개발하며, 도심재생, 노후산단재정비 등도 추진해 도심경쟁력도 높일 계획이다.

◆ 효과는 얼마나? 연간 7조5000억원 사회적 편익 기대

이번 사업이 완료되는 2020년, 우리나라는 어떤 모습을 띄게 될까? 전 국토가 KTX망으로 연결돼 단일 도시권으로 통합되면서 인적자본, 물자 등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공장이나 기업의 입지 선택폭은 넓어지고 기업주도형 지방투자 역시 확대된다는 것이 정부의 구상이다.

또 실질적으로 2시간대 고속철도 서비스 수혜범위 역시 인구의 60%에서 98%로, 국토면적의 30%에서 95%로 대폭 확대된다. 1일 철도 이용객은 2007년 31만명에서 2025년에는 77만명으로 2배이상 늘어나게 된다.

정부는 이번 전략으로 연간 7조5000억원의 사회적 편익이 발생하고 총 1164만톤의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2020년까지 건설부문 212만명, 운영부문 15만5000명, 차량·부품 부문 2만5000명 등 총 230만개의 신규 일자리 창출 역시 예상되는 효과이다.



조민서 기자 summe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이슈 PICK

  • "돈 없으면 열지도 못해" 이름값이 기준…그들만의 리그 '대학축제' [포토] 출근하는 추경호 신임 원내대표 곡성세계장미축제, 17일 ‘개막’

    #국내이슈

  • '심각한 더위' 이미 작년 사망자 수 넘겼다…5월에 체감온도 50도인 이 나라 '머스크 표' 뇌칩 이식환자 문제 발생…"해결 완료"vs"한계" 마라도나 '신의손'이 만든 월드컵 트로피 경매에 나와…수십억에 팔릴 듯

    #해외이슈

  • [포토] '봄의 향연' [포토] 꽃처럼 찬란한 어르신 '감사해孝' 1000개 메시지 모아…뉴욕 맨해튼에 거대 한글벽 세운다

    #포토PICK

  • 3년만에 새단장…GV70 부분변경 출시 캐딜락 첫 전기차 '리릭' 23일 사전 계약 개시 기아 소형 전기차 EV3, 티저 이미지 공개

    #CAR라이프

  • [뉴스속 용어]교황, '2025년 희년' 공식 선포 앞 유리에 '찰싹' 강제 제거 불가능한 불법주차 단속장치 도입될까 [뉴스속 용어] 국내 첫 임신 동성부부, 딸 출산 "사랑하면 가족…혈연은 중요치 않아"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