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 산하 한국기계연구원 나노역학연구실 정소희 박사팀은 이도창 카이스트 교수·김용현 교수팀과 함께 미래창조과학부 글로벌프론티어사업 '멀티스케일에너지시스템연구단' 사업을 통해 셀레늄화납(PbSe) 양자점의 할로겐화합물 처리 기반 안정화 기술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에서 기계연-카이스트 공동연구팀은 박사과정 우주영씨가 주도적으로 참여한 가운데, PbSe 양자점 합성용액에 NH4Cl 등 할로겐화합물을 섞어주면 PbSe 양자점 표면 중 산화가 쉬운 결정면에 보호막을 형성하게 돼 양자점의 물리화학적 성질이 안정하게 유지된다는 점을 밝혔다. 이번 기술 개발을 통해 양자점 크기에 상관없이 대기안정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이 핵심이다.
연구팀은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기 중 안정성을 보유한 PbSe 양자점 기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를 제작하기도 했다.
권용민 기자 festym@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