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r_progress
Dim영역

[아,저詩]이경의 '웃고가는 신발 한 짝 - 서정춘 선생님의 '허시'에 차운하여'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타고남은 서까래 그/게으른 문장의 갈비뼈로/복사꽃 한 채를 복원하는 일 가능할까 몰라

천년 묵은 복사꽃/복사꽃 가지 올려다보는 각도에서 어림잡은 기왓장 용마루/절 한 그루터기를 읽어내는 일 가능할까 몰라//활활 타는 독경소리/앗, 뜨거라 귀조차 태워버리고/한 발 헛딛는 바람에 천년 꽃잎의 재를 뒤집어쓰는 꼴이
무엇이 재미있다는 건지 껄 껄 껄 학의 어깨를 치켜들고/술 묻은 수염으로 웃고 가는/신발 한 짝

■ 타고 남은 서까래와 풍장이 남긴 뼈다귀를, 후배 시인은 절집으로 돌려놓고 싶고 아름다운 사람으로 되돌려 놓고 싶었다. 허시(虛詩)의 시인은 시의 문장을 벗고 훌훌히 떠났는데, 굳이 흩어진 시간을 붙잡아 오려는 것은, 그 시의 빈 곳을 즐기고 싶기 때문이다. 여백이란 무엇으로도 될 수 있는 신생의 공간이기도 하기에, 거기 천 년 묵은 복사꽃, 절 한 그루터기를 신축하는 꿈을 꾸는 것이다. 절만 있으면 재미없지 않은가. 독경 읽는 사람까지 거기 들어앉혔는데, 한순간 시간이 몰려와 다시 불타고 천 년 꽃잎의 재를 뒤집어쓴다. 그 윤회의 한 자락이 되살아나니, 도사 같은 허시의 주인이 막걸리 한잔 걸치고는 날아가는 모습을 보인다. 그 신발 한 짝엔 서까래나 뼈다귀마저 다 비웠다. 오후 햇살 한 줌이 내려와 외짝 신에 발을 꽂으며 껄껄껄 웃는다.





빈섬 이상국 편집부장ㆍ시인 isomis@
AD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슈 PICK

  • "여긴 여자 없으니까 그만 좀"…강남 빌라 울분의 공지, 왜 동창도 몰라봤던 정유정 신상공개 사진…고교 졸업사진 보니 카이스트 출신 도연스님 '이혼·자녀' 의혹…"활동 쉬겠다"

    #국내이슈

  • '축구의 신' 메시, 사우디 오일머니 거부…"美 마이애미행 확정" "트럼프, 대통령돼선 안돼" 펜스, 美대선 출마 공식화(종합) "자유의 여신상도 희미…세기말 같다" 뉴욕 삼킨 '오렌지빛 연기'

    #해외이슈

  • 국토부 "수내역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사고, 철도안전법 위반 여부 조사" "자유의 여신상도 희미…세기말 같다" 뉴욕 삼킨 '오렌지빛 연기' [포토]송영길 전 대표, 두 번째 검찰 자진 출석

    #포토PICK

  • 6월의 차 ‘푸조 408’…한국車기자협회 선정 韓에 진심인 슈퍼카 회사들…‘페람포’에 로터스까지 참전 현대차·기아, 5월 美 친환경차 月판매 역대 최대

    #CAR라이프

  • [뉴스속 용어]中 세계 최대 규모로 완공한 '풍동' [뉴스속 그곳]폭우·지진·폭력에 위협 받는 '아이티' [뉴스속 인물]이탈리아전에서도 터질까…'골 넣는 수비수' 최석현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