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일 대선경선 국민공감 실천 서약식에 참석한 후보들. 왼쪽부터 기호별로 1번 임태희 후보, 2번 박근혜 후보, 3번 김태호 후보, 4번 안상수 후보, 5번 김문수 후보(사진제공=새누리당)
당 선관위는 총 10차례 치러지는 합동연설회를 1부 지정 주제발표와 2부 후보별 정견발표로 나눠 진행키로 했다. 대신 1부에서는 찬조연설 및 동영상을 통해 주제발표를 하도록 각 후보측에 통보했다.
이에 대해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 김태호 의원, 안상수 전 인천시장, 김문수 경기지사(기호순) 등 4명의 비박주자 측은 전날 대리인 회동을 한데 이어 이날 공동 보도자료를 통해 이 같은 합동연설회 방식을 수용하지 않기로 했다.
임 전 대통령실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비박 후보 4인을 대표해 기자회견을 열고 "(1부 진행방법은) 주제를 정하지 않고 각 후보자 자율에 맡겨야 한다"며 "현역 국회의원이나 당협위원장은 찬조연설자에서 제외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후보들이 마음껏 국민과 당원들에게 말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당 선관위는 "경선 후보자 4인이 전날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선관위의 결정에 대해 일방적으로 호도하는 행태를 보인데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면서 "합동연설회 진행에 대한 결정은 당 선관위의 고유권한에 속한다는 사실을 재차 강조한다"고 말했다. 선관위는 "아울러 일부 후보측에서 자신들의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는 경우를 전제로 불참 운운하는 것은 도를 넘어선 행위"라며 "이런 행위를 자제해 줄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경호 기자 gungho@
이민우 기자 mwlee@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