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총재는 이날 오후 서울시 중구 한국은행 본부에서 기자들과 만나 10일 만기가 도래하는 한중 통화스와프와 관련해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해보니 당분간 언급을 자제하는 것이 낫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한국이 중국과 2014년 10월 11일 체결한 통화스와프 협정은 10일 효력을 다한다. 양국은 만기 연장을 위해 협상을 계속해왔으나 사드 갈등으로 인해 난항을 겪는다는 관측이 많았다.
한중 통화스와프 기한이 만료되더라도 양측은 협상을 계속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총재는 기준금리 인상이나 국내 경기 등과 관련해서는 "경기 회복세를 확신할만한 단계에서 북한 리스크(위험)가 커졌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 리스크에 따른 불확실성을 좀 지켜봐야 한다"며 "이번이 고비가 될 수 있다. 다음 주 (경제) 전망을 발표하니까 그 전까지 모든 상황을 보고 판단하겠다"고 했다.
또 "경기 회복세가 확인된다면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줄여나갈 수 있다는 메시지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강조했다.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