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r_progress
Dim영역

SK주유소, 브랜드파워 17년간 1위…"친환경 플랫폼으로 진화"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한국능률협회컨설팅 평가 '고객 신뢰' 재확인
전기차 충전·구독형 세차 스타트업 등에 투자

SK주유소가 ‘2023년 한국산업의 브랜드파워(K-BPI)’ 주유소 부문에서 17년 연속 1위에 올랐다고 26일 밝혔다.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에서 주관하는 K-BPI는 1999년부터 국내 각 산업의 제품과 서비스를 대상으로 브랜드 경쟁력을 측정하는 지수다.


국내 최초 정유사인 SK에너지는 전국 약 3000여개 주유소 네트워크를 갖췄다. SK주유소를 주유 공간에 머무르지 않고 운전자 편의에 걸맞은 서비스를 갖춘 ‘플랫폼’으로 진화시키고 있다. 전기차 확대, 친환경 에너지 전환 등 최근 시장환경 변화에 발맞추며 ‘친환경 플랫폼 네트워크’로의 사업모델 변화도 추진 중이다.

지난해 서울 금천구 박미주유소에 국내 1호 ‘에너지슈퍼스테이션’을 오픈, 주유소의 친환경 에너지 거점으로 진화를 추진하고 있다. 전기차(EV) 충전 기술을 보유한 미국 ‘아톰파워’, 구독형 세차모델을 갖춘 국내 스타트업 ‘오토스테이’에 투자해 친환경 모빌리티와 에너지솔루션이 결합한 미래형 에너지 사업을 위한 핵심 기술과 역량을 확보했다.


SK주유소가 17년 연속 K-BPI 1위로 선정됐다. [사진제공=SK이노베이션]

SK주유소가 17년 연속 K-BPI 1위로 선정됐다. [사진제공=SK이노베이션]

AD
원본보기 아이콘

SK주유소는 고객 접점을 확대해 주유소를 ‘새로운 가치와 경험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바꿔가고 있다. 지난해 창립 60주년을 맞아 마련한 팝업스토어 ‘SK주(酒)유소’는 맥주가 나오는 주유기 등 주유소를 재해석해 방문 고객 5200여명에게 색다른 경험을 제공했다. 수익금 전액은 소외계층과 함께 나누며 나눔의 역할도 실천했다.


SK주유소를 지역 안전 거점으로 활용하는 사회공헌사업 ‘우리 동네 응급처치소’는 현재 전국 직영주유소 162곳으로 확대돼 교통사고, 자연재해 등에서 어려움을 겪는 시민에게 도움을 주고 있다.

SK주유소는 이런 다양한 활동을 통해 에너지 공급이라는 본연의 역할뿐 아니라 ‘삶의 에너지와 행복을 채우고 나누는 공간’으로 고객에게 다가갈 계획이다.


오종훈 SK에너지 P&M(Platform & Marketing) CIC(Company In Company) 대표는 “SK주유소는 올해도 색다르고 재미있는 콘텐츠로 고객과 소통할 예정”이라며 “지난해 마련한 기술과 역량을 결합해 플랫폼 사업자로 진화와 발전을 거듭해 고객 친화적인 친환경 서비스도 같이 제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최서윤 기자 sychoi@asiae.co.kr
AD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슈 PICK

  • 하루 4시간에 월600만원 이 직업…'골프공 수거단' "평등 꿈꾸지 않는 당신을 위해" 분양가 수백억 아파트 광고 논란 심장이식 부부 탄생…"서로의, 누군가의 희망이 될게요"

    #국내이슈

  • "포켓몬 스티커 준대"…'피카츄 비행기' 뜨자 어른들도 '동심 출장' '피눈물 성모' 조작 논란에…교황 "항상 진짜는 아냐" "계약 연장 안 해요, 챗GPT로 되네요"…배관공된 카피라이터들

    #해외이슈

  • "다리가 어딨냐, 된장 찌꺼기다" 벌레 둥둥 매운탕 "재난영화 방불…순식간에 집어삼켰다" 수에즈운하 뒤덮은 초거대 모래폭풍 성조기 흔들며 "中, 자유민주국가 돼야"…베이징 한복판 한 여성의 외침

    #포토PICK

  • 韓에 진심인 슈퍼카 회사들…‘페람포’에 로터스까지 참전 현대차·기아, 5월 美 친환경차 月판매 역대 최대 아시아 최초 페라리 전시회 한국서 개막…"역사 한 눈에"

    #CAR라이프

  • [뉴스속 용어]흑인 인어공주가 논란 부른 'PC주의' [뉴스속 그곳]환경파괴 악명에 폐쇄된 '벤타나스 제련소' [뉴스속 용어]정부 독자 대북제재 명단 오른 '김수키'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