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박장애 진단법, '혹시 나도'?…손 자주 씻거나 청소·기도를 자주 한다면 의심
[아시아경제 온라인이슈팀]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판에는 '강박장애 진단법'이라는 제목으로 게시물이 게재돼 네티즌들의 관심이 뜨겁다.
보통 잦은 손 씻기, 숫자 세기, 확인하기, 청소하기 등과 같은 행동을 반복적으로 함으로써 강박적 사고를 막거나 그 생각을 머리에서 지우려고 하는 경우가 흔하다. 그러나 이런 행동은 일시적인 효과를 볼 뿐 결과적으로 불안을 증가시킨다.
미국 정신의학회의 정신장애 진단통계 편람에 따른 강박장애 진단법으로는 손씻기, 정돈하기, 확인하기 등과 같은 반복적인 행동 또는 기도하기, 숫자세기, 속으로 단어 반복하기 등과 같은 정신적인 반복 활동 등이 있다.
강박장애의 나쁜 예후의 조건은 강박 행위가 심할 때, 소아시절에 발병했을 때 강박행위가 괴이할 때, 그리고 입원해야 할 정도일 때, 우울증이 동반될 때, 망상적 믿음이 있을 때 등이다.
좋은 예후는 강박사고가 주로일 때, 병전 사회, 직업적 적응이 좋았을 때, 유발인자가 있을 때, 증상이 삽화적일 때다.
온라인이슈팀 issu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