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 현장에는 기업인ㆍ소상공인 등 규제 수요자 60여명이 참석하는데, 이들이 자신의 민원사항을 제기하면서 공무원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대통령에게 전달토록 하는 게 회의의 주된 형식이다. 이어 박 대통령이 제기된 민원의 해결 필요성을 국민 앞에서 약속하는 모양새를 만들어 규제완화를 기정사실화 하는 효과를 노리는 것이다.
시나리오 없는 돌발 토론을 그다지 선호하지 않는 박 대통령의 성향으로 미루어봐도 생중계 형식은 매우 이례적이다. 박 대통령은 취임 후 대국민담화 2번, 기자회견 1번 등 총 3차례 생중계 되는 카메라 앞에 섰는데, 이마저도 준비된 원고를 읽는 형식에 그쳤다. 토론 과정에서 가감 없는 의견이 나오고 목소리가 높아지는 돌발 상황도 감수하겠다는 것은 박 대통령을 둘러싼 불통논란을 해소하려는 목적도 있어 보인다. 청와대가 이번 회의에서 '짜여진 각본'은 없으며 '언제 끝날지 모르는' 가변성을 갖고 있다고 강조하는 배경이기도 하다.
취임 2년차를 맞아 공기업 개혁을 필두로 기득권층과의 전면전을 선포한 박 대통령이 규제타파에 대한 열정을 과시하는 것은 국정운영의 안정감을 확보하는 동시에 6ㆍ4 지방선거에서 여당에게 힘을 실어주는 부가효과도 노린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규제완화라 쓰고 일자리 창출이라 읽는다"는 발언에서 읽을 수 있듯 규제완화는 먹고 사는 문제라는 점을 강조함으로써 민생 관련 법안 처리에 비협조적인 야당을 압박하는 결과도 자연스레 가져올 수 있다.
신범수 기자 answ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