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피화 가치는 지난달 28일 사상 최저치인 달러당 68.84루피를 기록하며 사상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이후 지난 3일에는 67.63루피로 루피화 가치가 오르면서(환율 하락) 반등에 성공했다. 이후 루피화 가치는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면서 63루피대를 회복했다. 12일에는 달러·루피 환율은 전일대비 0.3% 오른 63.535루피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루피화 가치의 상승세가 계속될 수 있을지에 대해 의문을 표시하고 있다. 루피화의 반등에는 인도의 내부 정책의 역할도 있었지만 시리아 사태 안정과 같은 국제변수도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시장에서는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가 이번달부터 시작될 것이란 분석이 많다. 미국의 출구전략과 중동 불안이 고조와 같은 국제변수들이 남아있는 만큼 루피화 가치가 다시 떨어지는 것은 시간문제란 지적도 많다.
무엇보다 인도 경제의 펀더멘털이 루피화 가치 상승을 끌고 갈 만큼 견실하지 않다. 인도의 경상수지 적자는 국내총생산(GDP)의 4.8%로 역대 최고 수준이다. RBI는 지속가능한 경상주시 적자규모를 GDP의 2.5%로 보고 있다. 상환만기가 돌아오는 부채가 크다는 점도 부담이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인도의 국가부채는 지난 3월말 기준 3900억달러에 달한다. 앞으로 1년 안에 만기가 돌아오는 부채 규모도 1720억달러다. 인도 정부가 부채 상환에 대한 계획을 세우지 못하면 루피 붕괴를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조목인 기자 cmi0724@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