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소관 MOU 등 18건 중 3건 취소, 15건 미체결·본사업 미정
트럼프, 이란핵협정 불인증 선언 등 앞으로도 험로 예상
단독[아시아경제 부애리 기자]박근혜 정부가 지난해 5월 이란을 방문해 '잭팟 수주'라 주장했던 양해각서(MOU) 대부분이 '뻥튀기'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권 의원에 따르면 박근혜 정부가 371억달러(약 42조원)규모라 홍보했던 기업 프로젝트 30건을 분석한 결과 3건만 본계약이 체결됐고, 그 규모는 3건 합쳐서 59억달러 정도에 그쳤다.
산업부 관계자에 따르면 이란 측의 취소 요구는 '필요없다','사업구조 효과 없음' 등이 이유였다. 결국 제대로된 사업 준비도 없이 경제외교 성과를 자화자찬한 셈이 됐다.
또 권 의원은 현재 한국수출입은행에서 59억달러 규모에 달하는 3건의 기업프로젝트와 관련해 금융지원 방안을 논의하고 있지만 이것 역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이란 경제제재 가능성 등 때문에 향후 차질이 빚을 수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수출입은행은 이란상업은행과 기본여신협정(FA)을 맺었지만 향후 경제제재가 들어갈 경우 이란 쪽에서 갚을 수 없는 상황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될 경우 수출입은행까지 손해를 볼 가능성도 있다.
박근혜 정부는 이란 방문 이후 경제적 성과 홍보에 열을 올렸다. 당시 청와대는 "경제분야 59건을 비롯한 총 66건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는 등 역대 최대의 경제외교 성과를 거두며 제2중동 붐의 한 축인 이란시장을 선점하는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고 자평했다.
권 의원은 "박근혜 정부는 이란 메가 프로젝트라 부르며 홍보했지만 지금은 초라한 성적표를 받아들고 있다"면서 "향후 남아 있는 MOU와 프로젝트 추진과정에서 우리 기업의 피해가 없게끔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꼭 봐야할 주요뉴스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