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선이 영등위원장 기자간담회 통해 밝혀 "제한상영가 등급 기준, 작위적이지 않다."
28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박 위원장은 "영등위는 실제로 영화관에서 영화를 보는 관객들을 고객으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이 분들의 만족도가 중요한다"며 "일각에서는 제한상영가를 영등위가 자의적으로 적용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지만, 제한상영가 등급은 '영화 및 비디오에 관련한 법률'에 구체적이고 명시돼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최근 김기덕 감독의 신작 '뫼비우스'에 대해 영등위가 여러 차례에 걸친 심의에서 근친상간 등을 이유로 제한상영가 등급을 내려 논란이 불거져 나왔다. 김 감독은 당시 "다른 제도적 장치가 필요한 것인데 제한상영가로 영화를 사장시키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국내에서는 전용관이 없기 때문에 제한상영가 등급을 받으면 관객들이 영화를 볼 수 있는 길이 막히게 된다. 영화의 광고나 선전, 비디오 및 인터넷 동영상 제작에도 제한이 따른다.
박 위원장은 "제한상영관이 없는데, 왜 제한상영가 등급을 주냐는 지적은 우리로서는 어쩔 수 없다. 왜 나무만 보고 숲을 보지 않느냐는 말도 있지만, 결정적인 나뭇가지를 지나칠 수는 없는 노릇"이라고 말했다.
조민서 기자 summer@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