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내 연금 어쩌나"…국민연금, 올 들어 주식 평가액 1.7조원 '뚝'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이차전지 대형주 주가 부진에 직격탄
SK하이닉스 평가액은 2조1천억 증가

"내 연금 어쩌나"…국민연금, 올 들어 주식 평가액 1.7조원 '뚝'
AD
원본보기 아이콘

올해 들어 LG에너지솔루션[373220] 등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이차전지 상위 5개 종목의 주가 하락 영향으로 국민연금의 주식 평가액이 약 1조6555억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064850]는 지난 17일 기준 국민연금이 5% 이상 대량 지분을 보유해 공시 대상인 276개 상장사 주식 평가액은 총 138조6238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말(12월 29일) 282개 사, 140조2793억원과 비교해 종목 수는 6개 줄었고 평가액 또한 1조6555억원(1.2%) 감소했다. 주가 상승 또는 지분 매수로 평가액이 늘어난 종목은 102개였으나, 평가액이 감소한 종목이 191개로 훨씬 많았다.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

원본보기 아이콘

국민연금 보유 주식 평가액이 줄어든 가장 큰 이유는 코스피 이차전지 대형주들의 부진이다. 종목별로 평가액 감소 폭을 살펴보면 LG에너지솔루션(-8525억원), POSCO홀딩스[005490](-7290억원), LG화학[051910](-6416억원), 포스코퓨처엠(-4744억원), 삼성SDI[006400](-4663억원) 등이 상위 2~6위에 올랐다. 이들 종목에 대한 국민연금 지분율은 작년 말부터 현재까지 동일하다. 따라서 주가 하락이 주식 평가액을 끌어내린 원인으로 작용한 것이다. LG에너지솔루션 주가는 연초 이후 14.7% 하락했고, POSCO홀딩스는 25.7%, LG화학은 24.7%, 포스코퓨처엠은 30.6%, 삼성SDI는 18.2% 각각 내렸다.

평가액 감소 폭이 가장 컸던 종목은 NAVER[035420](네이버)였다. 이 기간 네이버의 평가액은 9956억원 줄었다. 다만 동 기간 국민연금의 네이버 지분율 또한 1.11%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1분기 국민연금 보유 주식 중 평가액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종목은 SK하이닉스였다. SK하이닉스의 평가액은 작년 말 대비 2조1399억원이나 증가했다. 이 기간 지분율은 7.9%로 같았다. SK하이닉스 주가는 연초 이후 26.3% 올랐다.

코스피가 상승 출발해 2600선을 훌쩍 넘긴 18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 코스피 지수가 표시되어 있다. 사진=조용준 기자 jun21@

코스피가 상승 출발해 2600선을 훌쩍 넘긴 18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 코스피 지수가 표시되어 있다. 사진=조용준 기자 jun21@

원본보기 아이콘

이 밖에도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6578억원), HMM[011200](5065억원), 현대차[005380](4989억원), 한미반도체[042700](4713억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4444억원), HD현대일렉트릭[267260](3886억원), 기아[000270](3778억원) 등의 평가액이 증가했다. 국민연금은 이 중 삼성바이오로직스와 현대차 보유 지분을 각각 1.08%포인트, 0.08%포인트 늘렸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도 지분 0.48%포인트 추가 매수했다. HD현대일렉트릭은 지분 2.55%포인트가 감소했지만, 주가 상승분이 지분 감소분을 상쇄했다.


국민연금이 올 1분기에 5% 이상 대량 지분 보유 종목으로 신규 편입한 코스피 상장사는 HMM, 포스코인터내셔널, 엘앤에프[066970], 다우기술[023590], 경동나비엔[009450], 케이씨텍[281820], 자화전자[033240] 등이다. 코스닥 종목 중에서는 대주전자재료[078600], 에이비엘바이오[298380], 엠로[058970], 칩스앤미디어[094360] 등이 국민연금 5% 이상 지분 보유 종목에 편입됐다. 반면 LG디스플레이, 쌍용C&E, SK가스[018670], 이오테크닉스[039030], 아프리카TV[067160], 심텍[222800], 와이지엔터테인먼트[122870] 등의 국민연금 지분율은 5% 미만으로 줄었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이슈 PICK

  • 음료수 캔 따니 벌건 '삼겹살'이 나왔다…출시되자 난리 난 제품 수천명 중국팬들 "우우우∼"…손흥민, '3대0' 손가락 반격 "방문증 대신 주차위반 스티커 붙였다"…입주민이 경비원 폭행 전치 4주

    #국내이슈

  • 이곳이 지옥이다…초대형 감옥에 수감된 문신남 2000명 8살 아들에 돈벌이 버스킹시킨 아버지…비난 대신 칭찬 받은 이유 "내 간 같이 쓸래?"…아픈 5살 제자 위해 간 떼어 준 美 선생님

    #해외이슈

  • [포토] '아시아경제 창간 36주년을 맞아 AI에게 질문하다' [포토] 의사 집단 휴진 계획 철회 촉구하는 병원노조 [포토] 영등포경찰서 출석한 최재영 목사

    #포토PICK

  • 탄소 배출 없는 현대 수소트럭, 1000만㎞ 달렸다 경차 모닝도 GT라인 추가…연식변경 출시 기아, 美서 텔루라이드 46만대 리콜…"시트모터 화재 우려"

    #CAR라이프

  • [뉴스속 용어]"이혼한 배우자 연금 나눠주세요", 분할연금제도 [뉴스속 그곳]세계문화유산 등재 노리는 日 '사도광산' [뉴스속 인물]"정치는 우리 역할 아니다" 美·中 사이에 낀 ASML 신임 수장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