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요금인상 약발 끝났나…한전채 3개월 만에 4%대 재돌파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한국전력공사 채권(한전채) 발행금리가 4%대를 다시 돌파했다. 시중 채권시장 자금을 빨아들였던 한전채 금리가 연 4%대로 올라선 건 지난 3월 10일 이후 약 80일 만이다.


30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26일 기준 3년물 한전채 발행금리는 4.112%를 기록했다. 한전채 금리는 지난해 10월 연간 최고점(5.825%)을 경신한 이후 올해 3월 3.683%까지 하락했으나 이달 들어 오름세로 돌아섰다.

한전은 지난해 대규모 적자로 인한 운영 자금 확보를 위해 한전채 발행량을 31조8000억원까지 늘린 바 있다. 우량 채권인 한전채를 월평균 2조6500억원씩 4.19%의 금리로 발행하면서 일반 기업의 회사채가 외면받는 구축효과 현상이 발생하기도 했다.


최근 한전채 발행 금리가 인상된 배경은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 기대가 약해지면서 국고채 금리가 꿈틀대면서다. 26일 기준 국고채 금리가 3년물(연 3.524%)·5년물(연 3.550%)·10년물(연 3.639%) 모두 기준금리를 두 달 만에 넘어섰기 때문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에 따르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의 일부 구성원들이 추가 금리 인상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7월 인상 가능성도 주목된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다행히 한전은 올해 들어 회사채 발행을 줄이고 있다. 이달 24일까지 총 10조3000억원을 발행하면서 지난달 같은 기간(12조5300억원) 대비 17.7% 감소했다. 올해 1월 3조2100억원을 평균금리 4.15%에 발행했으나 지난달에는 1조5400억원(3.95%), 이달에는 현재까지 8000억원(3.86%)을 발행하는 데 그쳤다.


다만 일각에선 올여름 전력수요가 높아질 경우 한전의 적자 규모 확대로 신규 회사채 발행이 또다시 늘어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전은 최근 올 2분기 전기요금을 kWh(킬로와트시)당 8.0원 인상했으나 온전한 적자를 해소하기 위해선 역부족인 상황이다. 여기에 올 1분기 기준 한전자회사를 합산한 일평균 이자 비용이 110억원에 달하면서 부담이 적지 않다. 적자가 늘어날 경우 운영자금 확보를 위해 회사채를 늘리는 악순환이 지속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전의 회사채 발행금리가 높아질 경우 지난해에 이어 또다시 채권시장의 혼란을 조장할 가능성도 있다. AAA급 고금리 한전채 발행이 늘어날 경우 일반 기업이 발행하는 A급 이하 회사채가 투자자 모집을 위해 금리를 추가 인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회사채(무보증 3년 AA-) 금리는 4.353%, 무보증 3년 BBB-채권은 10.743%다.





세종=이동우 기자 dwlee@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이슈 PICK

  • 故정주영 회장 63세 며느리, 태극마크 달고 아시안게임 출전한다 농심, '먹태깡' 돌풍 여전…"600만봉 넘었다" "당 대표 체포안 통과에 웃음이 나냐" 개딸 타깃된 고민정

    #국내이슈

  • '폭군' 네로 황제가 세운 궁전… 50년 만에 재개장 [르포]"새벽 1시에 왔어요" 中, 아이폰 사랑은 변함없었다 "연주에 방해된다" 젖꼭지까지 제거한 일본 기타리스트

    #해외이슈

  • [포토] 무거운 표정의 민주당 최고위원들 조국·조민 책, 나란히 베스트셀러 올라 [아시안게임]韓축구대표팀, 태국 4대 0 대파…조 1위 16강 진출(종합)

    #포토PICK

  • 현대차 "안드로이드 오토·애플 카플레이, 무선으로 즐기세요" 기아, 2000만원대 레이 전기차 출시 200만원 낮추고 100만㎞ 보증…KG 새 전기차 파격마케팅

    #CAR라이프

  • [뉴스속 인물]폭스 회장직 물려받은 머독의 장남, 라클런 머독 [뉴스속 용어]헌정사 처음 가결 '국무총리 해임건의안' [뉴스속 용어]'연료비조정단가' 전기요금 동결 신호?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