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국내 최대 사모펀드 MBK 골목상권까지 장악"…국감 앞두고 논란 재점화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김병주 MBK 회장, bhc에 투자해 3.5배 이상 평가익 거둬
작년 bhc 영업이익률 32.2%…올 주주 배당금 1568억
"한 주체 이익 극대화에 쏠린 경영 방식 역풍 맞을 수 있어"
"자율 규제 방식을 선행하되, 정부 등 패널티 카드도 필요"

"국내 최대 사모펀드 MBK 골목상권까지 장악"…국감 앞두고 논란 재점화
AD
원본보기 아이콘

국감 앞두고 '사모펀드의 골목상권 침투' 논란 재점화

[아시아경제 김유리 기자] 올해 국정감사를 앞두고 '사모펀드의 골목상권 침투' 논란이 재점화됐다. 매각을 염두에 두고 단기수익에 치중하는 성격이 강한 사모펀드가 외식 프랜차이즈 등에 투자해 생계형 가맹점주를 대상으로 이익 극대화에 나서고 있다는 지적이다. 논란의 중심엔 치킨 프랜차이즈 bhc와, 김병주 회장이 이끄는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 MBK파트너스가 있다.


5일 국회에 따르면 6일 예정인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관 중기부·특허청 국감에 윤종하 MBK파트너스 대표(부회장)이 증인으로 신청됐다. 김경만,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사모펀드의 외식 프랜차이즈 진출과 투자이익 확보로 프랜차이즈 가맹점주가 피해를 받는 상황에 대해 질의할 예정이다.

지난해 bhc는 매출 4771억원, 영업이익 1538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은 19.2%, 영업이익은 18.3% 증가한 것으로 각각 사상 최대 실적이다. 영업이익률은 32.2%에 달했다. 애플·구글 등 글로벌 IT 기업의 영업이익률을 웃도는 수치다. 교촌(5.7%) BBQ(16.8%) 등 경쟁사에 비해서도 압도적이다. 호실적을 앞세워 올해 1568억원이 주주 배당금으로 책정됐다. 이는 지난해 영업이익보다 30억원 더 많은 수치다.


bhc의 최대주주는 MBK파트너스다. 2018년 MBK파트너스는 관계사 MBK파트너스 스페셜시추에이션펀드를 설립, 캐나다 온타리오교직원연금(OTPP) 등과 약 1500억원 규모 bhc 지주사 전환사채(CB)에 투자했다. 당시 박현종 bhc그룹 회장·엘리베이션에쿼티파트너스와 컨소시엄을 이뤄 bhc를 인수했다.


2020년 MBK 측은 bhc에 재투자하는 방식으로 지분율을 60% 가까이로 높였다. MBK 측이 bhc에 투자한 금액은 재투자까지 총 5700억원 가량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 사이 bhc는 높은 영업이익률을 토대로 기업가치를 2018년 6800억원에서 2020년 1조8000억원(외부기관이 평가한 금액)으로 늘렸다. 지난해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 인수 등으로 몸집을 불린 bhc의 기업가치는 현재 3조4000억원까지도 평가되고 있다. 이에 따르면 MBK는 지분율을 감안해도 실제 투자금 대비 3.5배 이상의 가치를 얻은 셈이다.

"단기수익 치중 사모펀드, 생계형 가맹점주 대상 이익 극대화" 지적

프랜차이즈 사업은 본사와 가맹점 사이의 물품 거래를 토대로 이뤄지기 때문에 본사 수익이 극대화되면 그만큼 가맹점 수익은 줄어드는 구조다. 사모펀드가 이익 극대화 만을 보고 달리면 소상공인이 중심이 된 가맹점 생태계가 망가질 수 있다는 게 업계의 지적이다. 일각에선 본사가 취하는 차익가맹금의 극대화에도 사모펀드의 입김이 작용했다고 봤다. 이 같은 방식으로 확보한 마진은 32.2%의 영업이익률을 낳았고 MBK를 비롯, 주주 배당에 거액이 돌아갔다. 업계에선 대부분의 사모펀드가 기한 내 투자금을 회수해야 하기 때문에 단기 성과를 중시하고, 따라서 이익을 내기 위한 손쉬운 방법인 유통 마진을 올리는 일을 서슴지 않는다고 봤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익을 청산하고 펀드를 매각할 때 가맹점들과 수익의 일정 부분을 공유하도록 하는 방안 등을 제시했다. 그러나 이보다 선행돼야 할 것은 시장 원리만이 절대 선이라는 사모펀드 업계의 인식 개선 및 업계 내 자정작용이라는 목소리다. 최근 화두인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중 사회 항목에서 프랜차이즈가 고려해야하는 이해관계자는 본사와 가맹점, 납품업체, 소비자 등 다양하다. 이 중 한 주체의 이익 극대화에 쏠린 경영 방식은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정연승 단국대 경영학부 교수는 "사모펀드는 여러 주체들과의 상생·공생을 일반적 창업자 등 보다 덜 고려한다. 일부 파트너가 고통을 더 크게 분담해 본사가 돈을 많이 버는 구조, 독단적인 이익 우선 방식은 시장에서 환영받지 못한다"며 "자율 규제 방식을 선행하되, 필요에 따라 정부 등의 패널티 카드도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김유리 기자 yr61@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이슈 PICK

  • 하이브-민희진 갈등에도…'컴백' 뉴진스 새 앨범 재킷 공개 6년 만에 솔로 데뷔…(여자)아이들 우기, 앨범 선주문 50만장 "편파방송으로 명예훼손" 어트랙트, SBS '그알' 제작진 고소

    #국내이슈

  • 때리고 던지고 휘두르고…난민 12명 뉴욕 한복판서 집단 난투극 美대학 ‘친팔 시위’ 격화…네타냐후 “반유대주의 폭동” "죽음이 아니라 자유 위한 것"…전신마비 변호사 페루서 첫 안락사

    #해외이슈

  • [포토] '벌써 여름?' [포토] 정교한 3D 프린팅의 세계 [포토] '그날의 기억'

    #포토PICK

  • 신형 GV70 내달 출시…부분변경 디자인 공개 제네시스, 中서 '고성능 G80 EV 콘셉트카' 세계 최초 공개 "쓰임새는 고객이 정한다" 현대차가 제시하는 미래 상용차 미리보니

    #CAR라이프

  • [뉴스속 인물]하이브에 반기 든 '뉴진스의 엄마' 민희진 [뉴스속 용어]뉴스페이스 신호탄, '초소형 군집위성' [뉴스속 용어]日 정치인 '야스쿠니신사' 집단 참배…한·중 항의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