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 중대재해 발생명단 공표
3년간 정부포상 제외, CEO 안전교육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썝蹂몃낫湲 븘씠肄
[세종=아시아경제 문채석 기자] 지난해 중대재해와 사망재해가 발생했거나 산업재해 사고를 숨기거나 규정보다 보고를 늦게 한 '산재불량' 사업장이 1243곳으로 나타났다. 특히 건설업 중 시공능력 100위 안에 드는 기업 중
GS건설
GS건설
00636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37,750
전일대비
150
등락률
+0.40%
거래량
339,784
전일가
37,600
2022.05.20 13:14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e공시 눈에 띄네] 코스피-19일GS건설, 별내지구 특별계획구역 개발사업 공사 수주[e공시 눈에 띄네] 코스피-17일
close
, 롯데건설,
태영건설
태영건설
00941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8,600
전일대비
0
등락률
0.00%
거래량
44,735
전일가
8,600
2022.05.20 13:13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태영건설, 1분기 영업익 283억…전년 대비 36% 감소태영건설, 2400억원 규모 김해 외동주공 재건축 수주 태영건설, 2204억원 규모 자산구역 재개발정비사업 수주
close
등은 4년 연속 위반 사업장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고용노동부가 29일 발표한 '사망재해 발생 등 예방조치의무 위반사업장 명단 공표' 자료에 따르면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지난해 중대재해 발생 등 산재 예방조치의무 위반 사업장은 1243곳이었다. 이 명단에 든 사업장은 2017년 748곳, 2018년 1400곳, 2019년 1420곳, 지난해 1446곳이었다가 올해 소폭 줄었다. 사고 시점은 몇 년 전이었어도 법원 재판 등을 통해 올해 형이 확정된 기업이라면 올해 공표 명단에 포함한다.
안경덕 고용부 장관은 "산안법에 따라 공표 대상이 된 사업장과 임원에 대해 향후 3년간 각종 정부포상을 제한하고 관할 지방고용노동청이 최고경영자(CEO)의 안전의식 제고를 위한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내년 1월27일부터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됨에 따라 중대산재가 발생하는 것만으로도 CEO는 안전보건교육 의무 대상자로 간주된다"며 "기업들은 그동안 정부가 배포한 가이드북과 업종별 안전보건 자율점검표를 활용해 다시 한번 안전보건관리체계를 점검하고, 현장에 안전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주기 바란다"고 강력히 당부했다.
중대재해가 발생한 사업장은 576개소였고, 대표적으로 GS건설, 롯데건설,
동부건설
동부건설
00596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12,950
전일대비
150
등락률
+1.17%
거래량
19,646
전일가
12,800
2022.05.20 13:08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e공시 눈에 띄네]코스피-18일동부건설, 659억 규모 김포 물류센터 신축공사 수주 계약[e공시 눈에 띄네]코스피-19일
close
,
삼성물산
삼성물산
02826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117,000
전일대비
1,000
등락률
+0.86%
거래량
93,518
전일가
116,000
2022.05.20 13:14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4대그룹 유일 공채' 삼성 필기 온라인 진행… "난이도 예년과 비슷"삼성물산 패션, 5월 감사의 달 맞아 온·오프 프로모션 진행[특징주] 삼성물산, 실적 상승 기대감에…3.7%↑
close
,
금호타이어
금호타이어
07324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4,215
전일대비
70
등락률
+1.69%
거래량
267,269
전일가
4,145
2022.05.20 13:14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SNS·모터스포츠·전시회…전방위 마케팅 나선 금호타이어'글로벌 정글' 경쟁 피터지는데…기업 발목잡는 민노총의 春鬪(종합)EPL '첼시' 인수 뛰어든 하나금융…英부동산업체와 맞손
close
,
효성중공업
효성중공업
29804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59,900
전일대비
1,100
등락률
+1.87%
거래량
5,193
전일가
58,800
2022.05.20 13:14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e공시 눈에 띄네]코스피-4일효성중공업, 1221억원 규모 남아공 변전소 공사 수주[클릭 e종목]"효성중공업,일시적 실적 부진…2Q 정상화 기대"
close
등이었다. 건설업(339개소·58.9%)이 절반 이상이었고 근로자 50인 미만 사업장(484개소·84%)이 대다수였다. 중대재해는 근로자 1명이라도 일하다 사망했거나, 2명 이상이 전치 3개월 이상의 중상을 입거나, 부상자·직업성 질병자가 한 번에 10명 이상 발생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산재 때문에 연간 사망자가 2명 이상 발생한 사업장은 17개소였다.
한화
한화
00088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28,050
전일대비
450
등락률
+1.63%
거래량
154,328
전일가
27,600
2022.05.20 13:14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한화, '태양광 벌집' 만들어 꿀벌 생태계 보호…국내 최초[클릭 e종목]"한화, 한화건설 실적개선 기대감 유효"[재계 격변의 25년] 특명 '미래 먹거리' 80년대생 오너가 온다
close
대전사업장(2018년 5명 사망), 대림건설(2017년 3명 사망),
SK하이닉스
SK하이닉스
00066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112,500
전일대비
1,500
등락률
+1.35%
거래량
1,696,775
전일가
111,000
2022.05.20 13:14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코스피, 1.5% 올라 2630선까지 회복…개인 '팔자' vs 기관 '사자'코스피, 상승 출발하며 하루 만에 2600선 복귀…기관 나홀로 매수코스피, 3일 만에 2600선 무너져…오후 낙폭 줄이며 2590선서 마감
close
(2015년 3명 사망),
LG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03422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17,050
전일대비
300
등락률
+1.79%
거래량
715,415
전일가
16,750
2022.05.20 13:14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외인의 눈물.. 공매도 폭탄에도 주가는 올라[클릭 e종목]"LG디스플레이 부진한 1분기 실적…LCD 가격 하락 탓"‘이용료 없는 카카오톡 종목 추천’, 화제
close
파주사업장(2015년 3명 사망) 등이었다. 산재 사실을 은폐했다가 적발된 사업장은 동남정밀, 에스티엠, 동우테크 등 23개소였다. 산재 발생 후 1개월 안에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신고하지 않아 과태료 처분을 받은 사업장은 59개소로
삼성전자
삼성전자
00593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68,000
전일대비
500
등락률
+0.74%
거래량
8,280,616
전일가
67,500
2022.05.20 13:14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코스피, 1.5% 올라 2630선까지 회복…개인 '팔자' vs 기관 '사자'“주식카톡방 완전무료 선언” 파격결정코스피, 상승 출발하며 하루 만에 2600선 복귀…기관 나홀로 매수
close
광주사업장, 한국GM 창원공장 등이었다. 화재·폭발 등 중대산업사고가 발생한 사업장은 한화 대전사업장(2018년 5명 사망), SH에너지화학(2020년 2명 사망·1명 부상) 등 11개소였다.
산안법 63조에 명시된 수급인(하청) 근로자에 대한 안전보건조치 의무를 어긴 도급인(원청) 337개소는 SK에코플랜트, 호반산업,
쌍용C&E
쌍용C&E
00341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7,810
전일대비
60
등락률
-0.76%
거래량
312,794
전일가
7,870
2022.05.20 13:14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쌍용C&E, 1Q 영업익 98% 감소쌍용C&E, 주당 110원 분기 현금배당尹공약 호재에 원자재 수급난까지…시멘트株 상승세 탔다
close
동해공장 등이었다.
동국제강
동국제강
00123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17,300
전일대비
500
등락률
+2.98%
거래량
525,740
전일가
16,800
2022.05.20 13:14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동국제강, 조달청과 6043억 규모 공급계약 체결동국제강, 유튜브 채널서 '3분 철강' 연재동국제강, 베트남 컬러강판 시장 진출 교두보 마련
close
부산공장은 하청 근로자의 사망 비중이 큰 원청이라는 불명예를 썼다. 2018년부터 시행 중인 '원·하청 산재 통합관리제도'에 따라 제조·철도운송·도시철도운송업 500인 이상 사업장 중 원·하청을 합친 사고사망만인율이 원청만 따진 수치보다 높은 사업장은 '산재불량 사업장'으로 간주된다. 사고사망만인율은 상시근로자 1만 명당 사고사망자 수 비율을 의미한다.
세종=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