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메이지유신 150년, 일본은 'AI유신' 중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인간에 의한 교통사고 사망 제로 "
인공지능기술전략 3단계 로드맵
제조·물류·의료 생산효율성 개선
2030년 무인배송운송 서비스 목표
초고령사회 노동력 부족 문제 해결


[아시아경제 김동표 기자]1868년 일본은 메이지유신을 통해 국가의 모든 구조를 바꿨고 그 후 열강의 반열에 진입했다. 그로부터 150여년이 지난 지금, 일본은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산업구조와 사회제도의 변화를 이끌겠다는 'AI유신'을 선포하고 나섰다. 구체적인 비전과 추진 계획을 담아 AI 기술을 선도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우리나라의 상황과 대비된다. 우리는 AI 연구개발(R&D)을 대폭 늘리고 있지만 인력부족·규제장벽·ICT컨트롤타워 부재 등으로 뒤처져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메이지유신 150년, 일본은 'AI유신' 중
AD
원본보기 아이콘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자료를 보면 일본 정부는 이달 초 AI기술전략회의에서 제조·물류·의료·간호 현장에 AI를 전면 적용해 생산효율성을 대폭 개선하는 3단계 로드맵을 내놨다. 2030년까지 완전 무인운송·배송 서비스를 목표로 하고, 이를 통해 초고령사회에 접어든 일본의 노동력 부족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이다.

2020년까지 설정된 1단계에서는 무인공장·무인농장 기술을 확립한다. AI를 활용해 신약개발 기술을 일반화하고, 생산설비의 고장도 예측하게 한다.
메이지유신 150년, 일본은 'AI유신' 중 원본보기 아이콘


이어 2025년부터 2030년까지의 2단계에서는 사람의 수송, 물건의 배송을 완전히 무인화한다. 다양한 기능을 갖춘 자동화 로봇들이 인간의 일상에 깊숙이 들어와 집이나 가전기기를 제어한다.

2030년 이후의 3단계에서는 간병로봇을 아예 가족의 일원으로 만든다. 특히 AI를 통한 이동의 자유화·무인화가 구현돼, 인적 요인에 의한 사망사고가 없도록 한다. 또 AI가 사람의 잠재의식까지 분석, 이용자가 '정말 원하는 것'을 파악한다.

일본 정부가 특별히 중시하는 과제는 AI에 의한 물류·교통 부문 쇄신이다. 20년 전부터 생산가능 인구가 줄고 10년 전부터 인구감소 사회에 접어들며 임금수준이 낮은 분야의 일손이 부족해졌기 때문이다. 즉 인구구조의 변화에 산업·기술구조의 혁신으로 대응하겠다는 것이다.

로드맵의 실현을 위해서는 인재확보가 최우선이라고 판단, 산학연 연계를 강화하고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2020년까지 약 4만8000명에 달하는 IT인재를 확보할 방침이다.

일본은 물론 미국·영국·독일 등 선진국 역시 미래 국가경쟁력이 AI의 선점에 있다고 보고 정부 차원에서 강력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메이지유신 150년, 일본은 'AI유신' 중 원본보기 아이콘


한국도 이런 움직임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 8일 "올해 지능정보사회 선도를 위한 AI R&D에 1630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AI 소프트웨어에 739억원, AI 하드웨어에 258억원, 기초기술에 633억원을 배정했다. 이는 2016년 관련 예산 1106억원에 비해 47%나 늘어난 규모다.

그러나 로드맵의 구체성이나 제도의 유연성 등에서 아직 선진국들과 경쟁하기엔 갈 길이 멀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AI 전문가는 "한국의 ICT 산업은 평균적으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고 발전 가능성도 크다"면서도 "AI시장의 규모나 스타트업, 산업종사자의 수는 세계적인 수준에서 한참 모자라다"고 말했다.

실제로 하드웨어,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평가하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ICT 발전지수는 6년간 1위를 지켜왔지만, ICT 발전도와 경쟁력을 평가하는 세계경제포럼(WEF)의 네트워크 준비지수에서는 10위권으로 밀려났고 점차 하락하고 있다. WEF의 4차 산업혁명 준비지수는 25위에 불과하다.

전문가들은 한국 ICT의 경쟁력 하락의 이유로 ICT 컨트롤타워의 부재를 꼽았다. 현재 미래부가 ICT를 담당하고 있지만 내장형(임베디드) 소프트웨어는 산업통상자원부에, 게임 등 일부 디지털콘텐츠는 문화체육관광부에, 전자정부는 행정자치부 등에 흩어져 있는 상태다. 이 때문에 ICT 정책 기능을 묶어 미래 청사진을 제시할 ICT 통합 전담 부처를 설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김동표 기자 letmein@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이슈 PICK

  • [포토] 서울대병원·세브란스, 오늘 외래·수술 '셧다운' "스티커 하나에 10만원"…현금 걸린 보물찾기 유행 '바보들과 뉴진스' 라임 맞춘 힙합 티셔츠 등장

    #국내이슈

  • 밖은 손흥민 안은 아스널…앙숙 유니폼 겹쳐입은 축구팬 뭇매 머스크 베이징 찾자마자…테슬라, 中데이터 안전검사 통과 [포토]美 브레이킹 배틀에 등장한 '삼성 갤럭시'

    #해외이슈

  • [포토] 붐비는 마이크로소프트 AI 투어 이재용 회장, 獨 자이스와 '기술 동맹' 논의 고개 숙인 황선홍의 작심발언 "지금의 시스템이면 격차 더 벌어질 것"

    #포토PICK

  • 고유가시대엔 하이브리드…르노 '아르카나' 인기 기아 EV9, 세계 3대 디자인상 '레드닷 어워드' 최우수상 1억 넘는 日도요타와 함께 등장한 김정은…"대북 제재 우회" 지적

    #CAR라이프

  • [뉴스속 인물]하이브에 반기 든 '뉴진스의 엄마' 민희진 [뉴스속 용어]뉴스페이스 신호탄, '초소형 군집위성' [뉴스속 용어]日 정치인 '야스쿠니신사' 집단 참배…한·중 항의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