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아나, 인바디 등 최대주주 지분 매각 현금화
[아시아경제 조유진 기자] 코스닥 시장 강세에 블록딜(시간외대량매매)도 활발하다.
25일 금융감독원 등에 따르면
메디아나
메디아나
04192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4,950
전일대비
40
등락률
+0.81%
거래량
4,070
전일가
4,910
2023.06.09 09:24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e공시 눈에 띄네]GS, 메디트 인수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등(오전 종합)‘이용료 없는 카카오톡 종목 추천’, 화제메디아나, 1분기 영업이익 21억…전년동기대비 0.5%↑
close
는 지난 22일 최대주주인 길문종 회장을 포함한 특수관계인 3명이 블록딜 방식으로 지분 4.17%를 매각했다. 처분 단가는 주당 2만5721원으로 당일 종가(2만8900원) 대비 할인률은 11%다. 길 회장은 이번 매각으로 72억원을 손에 쥐게 됐다. 수익률은 791%에 달한다.
회사 관계자는 "영국계와 국내 기관 한 곳씩에 해당 물량 넘겼다"면서 "상장 후 (최대주주 지분에 대한) 의무보호예수 물량이 해제되는 해라 연초 이후 기관들로부터 블록딜 제안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대주주 지분 매각에도 주가는 1.67% 감소하는데 그치며 크게 반응하지 않는 모습이다. 메디아나 주가는 연초대비 145% 뛰었다.
헬스케어 업체인
인바디
인바디
04183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26,750
전일대비
50
등락률
-0.19%
거래량
1,348
전일가
26,800
2023.06.09 09:24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인바디·민웰, 초록우산에 의료비 후원금 4200만원 기부헬스장 인기템 '인바디', 병원 진단에도 쓰일까매년 새해다짐 '다이어트'…체성분 분석 수요도 함께 늘었다
close
도 최대주주인 차기철 대표를 포함한 특수관계인 4명이 지난 9일 보유 지분 5.01%(68만5000주)를 미국계 뮤추얼펀드 와사치어드바이저스에 매각했다. 이번 매각으로 이들은 227억원을 현금화했다. 차 대표의 지분은 30.69%(420만주)에서 26.89%(368만주)로 줄었다.
최대주주 지분율 감소에도 주가는 반대로 움직였다. 지난 12일 대주주 지분 매각 소식에 6%대 하락 마감한 주가는 다음날 20%나 올랐다. 차 대표의 지분 매도 보다 외국계 펀드의 투자에 주목해 추격매수에 나선 투자자들이 많았다는 얘기다. 최근 열흘간 인바디의 주가 상승폭은 33%에 달한다.
보령도 지난달 29일
메디앙스
메디앙스
01410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3,260
전일대비
55
등락률
+1.72%
거래량
8,856
전일가
3,205
2023.06.09 09:18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오늘 ‘상한가 종목’, 알고 보니 어제 추천받았네메디앙스, 1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또 크게 터진다! “제2의 일동제약”
close
주식 77만3000주(7.16%)를 국내 기관에 블록딜로 처분했다. 처분가격은 주당 2만6730원으로 당일 종가(2만7050원) 대비 할인폭은 1.19%로 크지 않다.
보령메디앙스 주가는 블록딜 발표 전날인 지난달 28일 고점(3만1250원)이후로 부진한 흐름을 이어오고 있다. 지난달 28일 이후 4일까지 주가는 34% 이상 빠진 상태다. 지주사인 보령이 보령메디앙스 지분을 줄여나가는 것에 대한 우려감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2010년 6월 최대주주가 보령에서 김은정 보령메디앙스 부회장으로 변경된 이후 보령 지분은 24.68%에서 12.99%로 줄었다.
시가총액이 크지 않은 코스닥 종목의 경우 장기투자하는 펀드나 증권가 큰손들이 블록딜로 물량을 받아갈 경우 주가에 호재로 작용하기도 한다. 올초 '범 LG가 3세' 구본호씨가 블록딜로
갤럭시아머니트리
갤럭시아머니트리
09448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6,320
전일대비
300
등락률
+4.98%
거래량
285,280
전일가
6,020
2023.06.09 09:25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갤럭시아머니트리, 84억원 규모 타인에 대한 채무보증 결정갤럭시아머니트리, 신재생에너지 STO 사업 추진…신재생 핀테크 플랫폼 구축주린이도 수익내는 '놀라운 무료카톡방'의 등장
close
주식을 대량 매입한 이후 갤럭시아컴즈 주가가 87% 이상 뛰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코스닥 급등기 블록딜도 덩덜아 호황을 이루고 있다"면서 "다만 할인율과 대주주 지분 매각 배경 등에 따라 주가 움직임이 엇갈릴 수 있으니 추격매수에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조유진 기자 tint@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