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원전 심각한 차질 촉각…韓, 우라늄 34% 러시아에서 수입
[아시아경제 박병희 기자, 세종=이동우 기자] 미국 정부가 러시아 국유 원자력 에너지 기업 로사톰 제재를 검토 중이라고 블룸버그 통신이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로사톰은 원자력 발전의 원료인 우라늄의 주요 공급업체이자 원전 관련 기술을 보유한 기업이다. 우리나라도 원전 발전에 필요한 우라늄의 33.8%를 러시아에서 수입하는 만큼 로사톰 제재 시 우리나라 원전 산업에도 심각한 차질이 예상된다.
◆"제재 목록에 로사톰 추가 방안 검토 중"= 블룸버그통신은 이 문제에 정통한 관계자를 인용, 바이든 행정부가 로사톰을 제재 목록에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이 관계자에 따르면 백악관은 로사톰 제재와 관련해 최종 결정은 내리지 않았으며, 전 세계 원자력 산업에 미칠 잠재적인 영향에 대해 협의하고 있다.
로사톰과 관련 자회사는 세계 농축 우라늄의 35%를 공급한다. 유럽에도 전역에 걸쳐 우라늄을 수출한다. 미국도 2020년 기준으로 상업용 원전 운용을 위해 수입하는 우라늄의 16.5%, 농축 우라늄의 23%를 러시아에서 수입한다. 로사톰 제재 시 미국과 유럽 원전 운영에 상당한 차질을 빚을 수 있는 셈이다.
블룸버그 뉴에너지파이낸스의 크리스 가돔스키 애널리스트는 "러시아산 우라늄을 필요로 하지 않을 만큼 여유가 없다"며 "러시아산 우라늄은 저렴할 뿐 아니라 미국은 우라늄을 생산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로사톰 제재 시 핵합의 복원을 추진하고 있는 이란에는 예외 조치를 적용해야 한다는 점도 미국 정부의 고민거리다. 이란 핵합의 내용상 이란과 로사톰 간 거래는 예외가 적용되는 상황이라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다만 원전 가동에 필요한 우라늄 공급 주기가 18~24개월 정도로 길고 통상 원전업체들이 미리 몇 년치 우라늄을 선구매해 상당한 재고를 쌓아둔다는 점에서 로사톰을 제재하더라도 당장 원전 가동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수 있다. 백악관은 아직 로사톰 제재 여부에 대한 최종 결정을 내리지 않은 채 원자력 발전 업체들과 로사톰 제재 시 업계에 미치는 파장을 논의하고 있는 상태다.
우라늄 가격은 올해 들어 22%가량 올랐다. 지난 8일 파운드당 53달러 선에 거래됐으며 이는 10년 만에 가장 높은 가격이다.
호주 원자재업체 비미 리소시스의 스티븐 마이클 최고경영자(CEO)는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무력 충돌에 따른 지정학적 불안감과 기후변화 정책 추진으로 우라늄 가격이 2007년에 기록한 사상최고치 파운드당 140달러 선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마이클 CEO는 "서유럽 국가들은 러시아 천연가스 의존도를 줄여야 하는데 그렇다고 해서 석탄으로 돌아가기를 원치는 않을 것"이라며 "원전이 전략적으로 중요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EU 집행위원회는 8일 단계적으로 러시아산 화석연료 의존도를 줄여 2030년 이전에 러시아로부터 에너지 독립을 실현키로 했다. EU는 당장 올해 러시아산 천연가스 수입량을 3분의 2 줄이기로 했다.
◆韓 우라늄 33.8% 러시아에 의존= 로사톰 제재 시 국내 원자력 발전에도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책연구기관인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에 따르면 원자력발전에 쓰이는 우라늄235를 농축한 우라늄의 국내 전체 수입액(2억5000만달러) 중 33.8%를 러시아에서 수입한다. 이 중 러시아 국영 원전 기업인 로사톰의 자회사 테넥스와 인터네스코를 통해 전량 수입하고 있다.
만약 미국 행정부가 로사톰에 대한 자국 내 농축 우라늄 수입 금지 조치를 동맹국까지 확대할 경우 장기적으로 국내 원전 생산의 최대 30%까지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용수 한양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농축 우라늄은 원자력발전소를 가동하는 데 핵심 원료로써 해외에 전량 의존하고 있다"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할 경우 국내 비축물량에도 심각한 차질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박병희 기자 nut@asiae.co.kr
세종=이동우 기자 dwle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