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서비스 산업, 제조업 2배 일자리", 규제해소 당부…해외진출 기업 국내유턴 대책도 필요
하지만 국가 주도 일자리 정책의 한계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역대 정부는 취임 초기 약속이라도 한 것처럼 ‘일자리 대통령’을 강조했지만, 보여주기식 정책의 한계 때문에 ‘좋은 일자리’ 창출에는 실패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와 관련 대한상공회의소는 대선후보들에게 보내는 정책 제언을 통해 서비스 부문 일자리 창출을 강조한 바 있다. 대한상의는 “서비스 산업은 제조업보다 2배의 일자리를 만들지만 규제라는 투망에 걸려 발전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해외에 진출한 기업의 국내 유턴을 위한 유인책 마련도 시급한 상황이다. 국내에 새롭게 일자리를 창출하는 기업을 상대로 세제를 지원하거나 임금 부담을 해소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얘기다.
문 대통령은 비정규직 차별해소를 위한 ‘사용사유 제한제도’ 도입, 10%에 불과한 노조가입률 대폭 상향 등을 공약했다. 또 2020년까지 최저임금(시급)을 1만원까지 인상하겠다고 다짐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정책검증을 통해 “최저임금과 중소상공인, 자영업자들의 대책을 어떻게 병행 할 것인지, 최저임금 1만원을 위해서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다”고 지적했다.
류정민 기자 jmryu@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