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취임 한 달 기자간담회를 갖고 문재인 전 대표 시절 만든 시스템 공천안에 대한 개정 의사를 밝혔다.
하지만 당무위에서의 당헌당규 개정은 간단한 일이 아니다. 문 전 대표와 김 대표간의 갈등이 본격화 될 수 있다. 지난해 문 전 대표는 상당한 공을 들여 시스템 공천안을 만들었고, 당헌당규에 반영했다. 당내 의원들의 많은 반발이 있었지만 뚝심을 갖고 밀어붙인 일이었다.
문 대표 시절 총무본부장을 지낸 최재성 더민주 의원은 의총 등을 통해 "현재 규정에서도 구제할 수 있다"는 견해를 내놓기도 했다. 당헌 당규를 손대지 않아도 구제방안이 있다는 것이다. 이를 김 대표가 '정치적 판단'의 필요성을 위해 뒤집는다면 문 전 대표 측에선 반발할 가능성이 크다.
일단 더민주는 29일 당무위를 열어 현역의원 평가 하위 20% 탈락자 중 일부 구제를 비롯해 당헌당규 개정 등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추가 전략공천 지역 신청이나 2차 물갈이 결과도 더민주가 넘어야할 고비 중 하나다. 정장선 총선기획단장은 지난 26일 "주말이나 내주 초에는 (전략공천 지역) 일부가 발표되지 않겠느냐는 생각"이라고 밝혔다. '3선 이상 50%·초재선 30%' 정밀심사 등 2차 물갈이에 대한 결과도 내주 중 나올 예정이다.
더민주는 또한 이르면 내달 1~4일께 1차 경선지역을 발표한단 방침이다. 10일께 선관위로부터 안심번호를 받아 경선을 치르는 계획이다. 이어 내달 12일께 첫 경선을 열고, 이를 토대로 내달 20일 이전까지 최종 후보자를 확정한다는 구상이다.
홍유라 기자 vandi@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