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전년 동기대비 79.4%, 81.3% 증가한 527억원고 121억원으로 시장 기대치를 크게 하회했다. 영업이익률은 23%로 전분기 33.8% 대비 크게 하락했다. 박종대 연구원은 "고마진 따이공 매출비중 축소로 GPM이 하락했고, 인건비와 광고선전비, 주식보상비 증가로 판관비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라며 "판관비는 약 12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38%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4분기 이후에는 실적이 회복될 것으로 기대했다. 박 연구원은 "이번 실적 부진을 추세적인 현상으로 단정 짓기에는 이르다"며 "중장기 실적 전망의 핵심적인 지표는 중국 시장 내 브랜드력인데 메르스나 따이공 규제는 브랜드력과 무관하고 쥬메이 등을 통한 지속적인 온라인 매출 확대는 견조한 중국 내 브랜드력을 대변하고 있다"고 말했다. 메르스는 9월 이후 소멸할 일시적 현상이고 따이공 규제 역시 위생 허가 후 정식 채널 확대로 해결될 문제라고 일축했다.
이에 따라 당분간 실적과 주가 모멘텀은 제한적일 수 있으나 중국 시장내 브랜드 인지도에 이상이 없다면 조정시 저가 매수전략이 유효하다고 조언했다.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