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WIPO 아·태지역 세미나’ 이끄는 김연호 원장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1~3일 대전 국제지식재산연수원서 특허심사인력 관리, 교육훈련제도 개도국에 알리고 토론

김연호 특허청 국제지식재산연수원장

김연호 특허청 국제지식재산연수원장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왕성상 기자] “우리 기업들의 경쟁력은 인적자원과 지식자원의 조화에 달려있다. 인적자원개발정책 등을 논의하는 ‘세계지식재산기구(WIPO) 아·태지역 세미나’는 그런 배경에서 의미가 크다.”

김연호(50) 특허청 국제지식재산연수원장은 1~3일 대전시 가정동 국제지식재산연수원에서 열리고 있는 ‘WIPO 아·태지역 세미나’를 이끌며 우리 특허청의 인적자원개발(HRD)정책과 전략을 개발도상국에 적극 알리고 있다.
WIPO 관계자들과 세미나를 공동주관하고 있는 김 원장은 “특허청 심사인력관리의 고민과 사례를 공유하는 행사로 우리 특허청의 심사인력관리와 교육훈련제도를 소개하는 자리”라고 설명했다.

행사주제는 ‘IP(지식재산권)기관의 인적자원개발-도전 및 대응’. 우리나라와 중국, 인도, 이란, 필리핀 등 16개국 특허청의 인적자원개발 관련 중견공무원 31명과 캐나다, 호주의 HRD전문가 2명이 참석했다.

김 원장은 2일 오후 ‘훈련과 기능 정책-대상별 훈련프로그램의 설계와 조직’이란 제목의 주제발표도 한다. 이번 세미나는 주제발표 외에도 그룹토의, 특허청 견학 등의 프로그램도 이어진다.
“참가국들 모두 심사관의 수적 열세를 이겨내면서 ‘지구촌 빅5 반열’에 선 우리 특허청의 인력관리와 교육훈련경험에 관심인 크다. 우리 특허청은 약 800명의 심사관이 있고 미국, 일본, 유럽, 중국을 포함한 특허선진 5개국(IP5)체제 속에서 최고가 되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

김 원장은 “국제지식재산연수원은 특허청의 심사역량과 국제적 인지도 높이기를 으뜸과제로 삼고 교육·훈련, 발명홍보에 온힘을 쏟고 있다”고 말했다. 인적자원개발도 같은 맥락이다.

그는 “전문지식과 특허법 이론에 정통한 심사관을 키우고 경력심사관을 대상으로 중견심사관 과정, 심판관 과정 등을 통해 기술변화와 시대흐름에 맞게 심사능력을 갖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심사관은 출원발명의 특허 가부를 결정하지만 통지서나 결정서를 통해 출원인과 발명자에게 끊임없이 특허창출과 활용에 관한 전략과 메시지도 전하는 역할을 한다는 견해다. 따라서 뛰어난 심사역량이 출원인, 발명자는 물론 일반인에게까지 지식재산에 대해 정확한 이해를 전해주는 가장 효과적 자원이라는 게 김 원장의 지론이다.

선진 20개 국가(G20)의 특허출원점유율이 지구촌의 94%에 이르는 등 지식재산분야는 선·후진국 격차 줄이기가 필요한 대표적 분야 중 하나다. 이런 격차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지식재산의 창출·활용·보호를 촉진할 정책을 만들고 고품질심사서비스를 할 개도국 특허청들의 조직역량 강화가 중요과제로 꼽힌다는 시각이다.

김 원장은 “조직의 가장 핵심자원은 사람”이라며 “이번 행사를 통해 우리나라를 포함한 지재권분야 선진국의 인적자원개발 노하우를 넘겨줘 개도국 특허청들의 조직역량 강화에 도움을 줄 것”이라 덧붙였다.

국제지식재산연수원은 1987년 개원 이래 WIPO와 아·태지역 개도국들을 대상으로 지식재산분야 주요 이슈에 대한 세미나를 23차례 열어 지식재산분야 발전을 위한 국제적 교류·협력을 이끌고 있다. 4개 과에 정규직원은 43명. 사무보조원, 시설관리용역 등 정원 외 근무자(39명)를 합치면 82명이 일하고 있다. 올 예산은 161억6900만원.

그러나 아쉬운 점도 없잖다. 이번 세미나의 경우 주제가 ‘심사인력관리’로 좁고 준비기간이 짧아 호주, 캐나다 쪽의 발표내용을 잘 알지 못해 진행요원들이 어려움을 겪었다. 세미나개최지를 서울 등지로 잡아 행사시너지 효과를 얻는 것도 풀어야할 과제다.

1987년에 문을 연 국제지식재산연수원은 지난해 200개 과정(384회)에 34만5894명을 집합교육 및 사이버교육을 한 국내 최대 지재권교육기관이다. 올 들어선 9월 말까지 240개 과정(367회) 29만1489명이 거쳐 갔다. 공무원, 민간인, 교원, 학생, 외국인들이 대상이다.

1961년 11월 대전서 태어난 김 원장은 대전고, 한양대 전자과, 과학기술대 전기·전자공학과(석사), 미국 시라큐스대 정보과학과(석사)를 졸업했다. 기술고시(22회)에 합격, 1989년 3월 공직에 발을 디딘 후 ▲특허심판원 심판관(과장) ▲특허법원 기술심리관 ▲특허청 영상기기심사과장 ▲심사품질담당관 ▲특허심판원 심판장(고위공무원)을 거쳤다.



왕성상 기자 wss4044@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슈 PICK

  • 韓, AI 안전연구소 연내 출범…정부·민간·학계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해병대원 특검법' 재의요구안 의결…尹, 거부권 가닥 김호중 "거짓이 더 큰 거짓 낳아…수일 내 자진 출석" 심경고백

    #국내이슈

  • "출근길에 수시로 주물럭…모르고 만졌다가 기침서 피 나와" 中 장난감 유해 물질 논란 "눈물 참기 어려웠어요"…세계 첫 3D프린팅 드레스 입은 신부 이란당국 “대통령 사망 확인”…중동 긴장 고조될 듯(종합)

    #해외이슈

  • [포토] '단오, 단 하나가 되다' [포토] 중견기업 일자리박람회 [포토] 검찰 출두하는 날 추가 고발

    #포토PICK

  • "앱으로 원격제어"…2025년 트레일블레이저 출시 기아 EV6, 獨 비교평가서 폭스바겐 ID.5 제쳤다 車수출, 절반이 미국행인데…韓 적자탈출 타깃될까

    #CAR라이프

  • [뉴스속 용어]"가짜뉴스 막아라"…'AI 워터마크' [뉴스속 용어]이란 대통령 사망에 '이란 핵합의' 재추진 안갯속 [뉴스속 용어]한-캄보디아 정상 '전략적 동반자 관계' 수립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