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특검은 이날 특검 임명 직후 서울 반포동 법무법인 강남 사무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수사영역을 한정하거나 대상자의 지위고하를 고려하지 않을 것”이라며 각오를 밝혔다.
다음은 일문일답.
▲특검팀 구성에 주안점 두는 게 있다면.
▲최재경 청와대 민정수석과의 관계에 관심이 많은데 세간에는 죽고못사는 사이라는 얘기도 있다.
-검찰에 같이 근무했던, (특검이)대검 중수부장할때 (최 수석이)중수2과장이었으니 선후배 관계다.
▲수사에 영향없겠나.
-전혀 없다. 원칙에 따라 하겠다.
▲최윤수 국정원 차장이랑도 친분 있는 걸로 알려져 있는데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 수사에 우려는 없나.
-그런 우려 하지말라. 절대 원칙에 따라 수사할거니까, 그렇게 할 거면 특검이 되지 않았을 것이다.
▲우병우 전 수석과도 친분 있다던데.
-제가 수원에 있을 때 옆 부서에서 같이 근무했다.
▲우병우 수사 미진하다는 지적이 많다.
-수사로 말씀드리겠다.
▲의혹 많은데 어떤 부분 중심으로 수사하나.
-우선 전반에 대해 지금 검찰 수사내용도 많고 하니까 우선 철저한 기록검토와 증거검토, 조정할 부분 조정하고 그대로 갈 부분 그대로 가겠다. 검찰과 경쟁이 아니라 서로 도와가며 자료이첩 성실히 받겠다.
▲준비기간에 검찰 수사 더 적극적이길 바라나.
-검찰 수사 이첩이라는 기능이 있다, 하다가도 여러 사유로 인해 이첩할 수 있는 거니까 수사의 연속성이 무너지는 것은 아니다.
▲김기춘 전 비서실장 수사나 세월호 7시간 내용은 특검법에 명시 안됐는데 인지수사 가능한가.
-지위고하 막론하고 수사하겠다.
▲특검장소 구상하는 곳은.
-그것 좀 구해 달라. (준비기간)20일이 길지 않다. 우선 수사인력, 특검보 청와대에 선임 요청해아하고, 특별수사관도 뽑아야한다. 파견검사들 차출 등 하려면 시간이 아주 부족하고, 제일 문제가 사무실이다.
▲특검에 요구되는 것이 검찰 수사 제약이 아니라 소극적으로 했던 부분에 대한 기대치 높여달라는 것인데 더 중점적으로 보겠다고 생각한 게 있나.
-그런 부분 있다면 다 들춰내서 수사하겠다, 지금 현재로서는 보도로서만 사실내용 알기 때문에 이렇게 저렇게 하겠다고 말씀 못드리겠다.
▲대통령 강제조사 필요성은.
-수사해봐야 안다. 예단을 갖고 하는 건 수사가 아니다.
▲검찰 대면조사만 남겨둔 상황이었는데 초반에라도 이루질 가능성은.
-수사기록을 다 보고 수사 진척상황에 따라 결정하겠다.
▲우병우와 관련, 검찰 인사개입 의혹도 있는데 검찰 수사도 야당에서 강하게 요구할 듯하다. 친분관계 거론되는데 그 부분 의지 명확히 한번 정리해 달라.
-수사가 필요하면 수사하겠다.
▲재벌 수사 경험 많은데 뇌물죄 수사할건가.
-필요하다면 하겠다.
-특검법이 규정한대로 피의사실 외에는 진행상황 투명하게 보고하겠다.
김민진 기자 enter@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