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신규 반도체 클러스터의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한 로드맵을 연내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6일 천영길 에너지정책실장과 주영준 산업정책실장 공동 주재로 '전력망 혁신 전담반(TF)' 제2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 등 첨단산업에 전력을 적기 공급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다.
앞서 정부는 지난 3월 반도체, 이차전지 등 첨단산업의 경쟁력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반도체 클러스터를 2042년까지 경기도 내 조성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에 기업의 수요에 맞는 전력 공급을 위한 전력망 적기 구축에 나선 셈이다.
실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의 경우 1년 동안 필요한 전력량은 2만8000GWh(기가와트시)에 달한다. 이는 지난해 우리나라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가 만들어낸 전력량의 절반을 넘는다.
이날 회의에선 전력설비를 적기에 구축하기 위해 낮은 사회적 수용성 등 리스크를 사전에 파악해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
천 에너지정책실장은 "반도체 클러스터의 전력 수요, 인근 전력계통 여건 등을 고려해 최적화된 맞춤형 전력 공급 로드맵을 연내에 마련할 것"이라며 "이차전지, 바이오 등 다른 첨단산업에 대해서도 전력을 적기에 공급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선 봄철 계통안정화 대책의 추진실적도 점검했다. 태양광 발전설비의 인버터 성능개선을 중점 추진하고, 재생에너지 사업자들의 협조로 9월 말까지의 목표 물량(2783MW) 중 약 92%(2549MW)에 대해 성능개선을 완료했다.
세종=이동우 기자 dwle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