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규제완화에도 부동산 침체는 여전…추가 대책 또 나올까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아파트값 낙폭은 줄었지만 미분양은 계속 증가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여부에 관심 집중

[아시아경제 차완용 기자] 정부가 부동산 시장 연착륙을 위해 내놓은 대대적인 규제 완화책에도 이렇다 할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모습이다. 다소 하락폭이 둔화되긴 했지만 집값 하락은 계속 이어지고 있고, 거래절벽 현상은 여전하다.


분양시장 한파도 갈수록 심해지며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은 물론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쌓이고 있다. 이에 시장의 시선은 남은 규제에 대한 추가 해제 여부와 시기에 쏠리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24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전국 주간 아파트값의 낙폭이 3주 연속 축소되고 있다. 12월 마지막 주(26일 기준) 전국 아파트값이 0.76% 하락한 이후 1월 첫째 주 -0.65%, 1월 둘째 주-0.52%, 1월 셋째 주 ?0.49%로 낙폭이 감소세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정부가 전방위적으로 쏟아낸 규제 완화 대책에 비하면 성과가 너무 미미하다. 지난해 정부는 거주의무 완화, 전매제한 기간 단축, 규제지역 해제, 15억원 초과 주택 주택담보대출 허용,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상향 조정 등 규제 완화에 초점을 맞춘 각종 부동산 대책들을 연말까지 잇달아 발표했다.


그럼에도 집값 하락세와 거래 침체가 계속되자 지난 3일 서울 강남3구와 용산을 제외한 서울 전역을 규제지역에서 해제시켰다. 또 실거주 의무 폐지, 중도금 대출 규제 전면 폐지, 전매제한 축소 등 침체된 분양시장에 활기를 불어넣기 위한 조치를 취했다.


그러나 여전히 부동산 침체는 지속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올해 청약에 나선 전국 3개 단지 전북 익산 ‘익산 부송데시앙’, 인천 ‘송도역 경남아너스빌’, 경기 양주 ‘회천2차 대광로제비앙 센트럴’ 등은 모두 모집 가구 수를 채우지 못하고 미분양이 발생했다.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 재건축 단지(올림픽파크 포레온)는 일반분양 계약률이 70%에 머무르면서 시장의 기대치를 밑돌았다. 부동산 및 증권업계에서는 정부의 파격적인 규제완화 발표에도 불구, PF(프로젝트파이낸싱)를 일시에 상환할 수 있는 수준인 계약률 80%를 달성하지 못해 실패했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이에 일각에서는 정부가 사실상 마지막으로 남은 강남3구와 용산구를 규제지역에서 해제하는 한편 서울시가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카드를 꺼내 들 것이라는 관측을 조심스럽게 내놓고 있다. 서울의 핵심지인 이 지역들이 되살아나지 않고서는 전반에 깔린 거래장벽을 해소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여부에는 시장의 관심이 뜨겁다. 토지거래허가제란 허가구역 내 있는 토지에 대한 계약을 체결할 때 시장, 군수 또는 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제도를 말한다. 2년간 실거주를 해야 하기 때문에 전세를 낀 채 매매하는 ‘갭투자’가 불가능하다.


서울에서 토지거래허가제로 묶인 지역은 강남구 청담·삼성·대치동, 송파구 잠실동 등으로 집값이 상승할 수 있는 우려가 있는 지역이다.


서울 토지거래허가구역 중 4개동(방화, 쌍문, 신월, 창신)을 제외한 모든 동이 올해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기간이 종료된다. 광역자치단체나 국토부가 재지정 여부를 정하는 만큼 해제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


가장 먼저 재지정 기간이 만료하는 지역은 목동 등이 위치한 주요 재건축 단지로 올해 4월 26일이 지정 만료일이다. 삼성·청담·대치·잠실동이 포함된 국제교류복합지구 및 인근지역은 올해 6월 22일, 강남구와 서초구 자연녹지지역 지정 만료일은 2024년 5월 30일이다. 이들 지역은 1년 단위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이 연장돼 왔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부동산 연착륙을 위해 전방위적 규제 완화 기조를 보이고 있는 만큼 올해 만료 시기가 돌아오면 토지거래허가구역도 해제되는 것이 아니냐는 전망이 나온다.




차완용 기자 yongcha@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이슈 PICK

  • 가수 비, 85억 부동산 사기 혐의 피소…"연예인 흠집내기" 반박 SM 떠난 이수만 근황…미국서 나무 심고 기부한다 故정주영 회장 63세 며느리, 태극마크 달고 아시안게임 출전한다

    #국내이슈

  • 황제펭귄 물에 빠져 죽고 얼어 죽고…"결국 멸종할 것" 남극에 내려진 경고 검정 물체가 '스멀스멀'…프랑스 기차타고 가던 관광객들 화들짝 놀라게 한 '빈대' "요가하는 로봇, CG 아냐?"…환골탈태한 테슬라봇

    #해외이슈

  • [포토] 추석, 설레는 고향길 [포토] 이재명, 구속이냐 기사회생이냐…오늘 운명의 날 [포토]"우유 배달 왔습니다" 독거 어르신 찾은 국무총리

    #포토PICK

  • '27인치 통합형 디스플레이'..제네시스 GV80, 실내 싹 바뀐다 인도 딜러가 뽑은 '만족도 1위' 국산차 브랜드는? 현대차 "안드로이드 오토·애플 카플레이, 무선으로 즐기세요"

    #CAR라이프

  • [뉴스속 용어]中의 시한폭탄 '란웨이러우' [뉴스속 용어]주민투표 추진하는 '경기북도' [뉴스속 용어]EU와 무역마찰 떠오른 ‘과불화화합물’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