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뉴스 그 후]지하철 스크린도어 설치에 한강으로 간 자살자들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공공장소에서의 자살, 사회적 책임은 어디까지?

19일 오전 스크린도어 사고로 30대 남성이 사망한 지하철 5호선 김포공항역 현장 (사진=연합뉴스)

19일 오전 스크린도어 사고로 30대 남성이 사망한 지하철 5호선 김포공항역 현장 (사진=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서울 지하철역에 스크린도어가 전면 설치된 후 승강장 투신 자살이 거의 사라진 반면, 한강에서의 투신 자살은 대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장소에서의 자살에 대해 사회가 어떻게 대응해야 할 것인가 고민해봐야 한다는 지적이다.

4일 서울교통공사ㆍ서울시에 따르면, 지하철 승강장에서 철로로 투신해 자살하는 사람이 연간 100명에 육박해 사회문제가 되자 서울시는 2000년대 중반부터 승강장과 철로를 분리하는 스크린도어를 설치해 2009년 말 완료했다. 들어간 사업비는 엄청나다. 1~4호선에 2238억여원,5~8호선 1948억원, 9호선 922억원 등 5000억원이 넘는다.
이 사업은 효과를 발휘하는 듯 했다. 2009년 말 서울 지하철역 280여개에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자 승강장 선로 투신자살 사고는 눈 녹은 듯이 사라졌다. 2007년, 55건, 2008년 40건, 2009년 43건 등을 기록했지만 이후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2010년 최초로 0건을 기록한 후 2011년 2건, 2012년 1건 등 소폭 발생하다가 2013년 이후 올해 5월 말 현재 4년 6개월 동안 아예 단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정작 서울 전체의 자살자 숫자에는 별다른 영향이 없었다. 서울의 인구 10만명당 자살률은 2009년 26.1명에서 2010년 26.2명, 2011년 26.9명으로 스크린도어 설치 후 되레 늘어났다. 이후 2012년 23.8명, 2013년 25.6명, 2014년 24.7명, 2015년 23.2명 등을 기록 중이다.

반면 한강의 투신 자수는 크게 늘어나고 있다. 서울시 119특수구조단 수난구조대의 출동건수는 2011년 786건에서 2012년 922건, 2013년 1305건, 2014년 1594건, 2015년 1461건으로 매년 크게 늘어났다. 이중 인명 구조 활동 건수도 2011년 269건, 2012년 258건 수준이었다가 점점 늘어나 2013년 326건, 2014년 480건, 2015년 389건 등으로 증가했다. 구조 인원도 2012년 298명에서 2013년 359명, 2014년 508명, 2015년 443명 등으로 크게 늘어났다.
▲마포대교 난간

▲마포대교 난간

원본보기 아이콘


이같은 현상은 일종의 '풍선 효과'로 자살 예방을 위해선 보다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수정 경남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는 최근 한 언론 기고문에서 "지속적인 자살의도가 있는 시도자의 경우에는 다른 방법을 찾아 다시 시도하게 된다"며 "'게이트키퍼 교육'을 통해 조기에 자살의 위험징후를 찾아 적절한 서비스로 연결하는 것과 고위험군에게 집중적 개입을 통해 재시도율과 자살률을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특히 "궁극적으로 지향할 바는 우리가 보편적 예방이라 칭하는 것으로, 국민 전체가 자신과 타인의 생명을 존중하는 사회 분위기를 만들어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달 30일 개장한지 열흘된 '서울로 7017'(옛 서울역 고가도로)에서 자살 사고가 발생한 후 일부에서 "안전 대책이 미비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기다렸다는 듯이 서울시는 안전요원 추가 투입 등 예산이 들어가는 대책을 내놓았다.

자살은 어찌보면 개인의 선택이지만, 사회적 책임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그런 점에서 공공기관의 자살 최소화 대책은 필요하다. 그러나 그 이전에 사회 전체가 서로에게 상처주지 않고 '갑질'을 줄이려는 노력, 생명을 존중하는 문화 조성이 먼저다.

공공 차원의 자살 방지 노력은 어느 정도가 적절한 지에 대한 사회적 논의와 합의도 필요하다. 세계적 자살 명소로 유명한 미국 캘리포니아 골든게이트브릿지(금문교)에서도 1년에 200명 안팎이 뛰어 내리지만 그것을 주정부 책임으로 돌리는 이들은 없다. 그것은 개인주의가 팽배한 미국의 사회적 합의라고 치더라도 한국은 어떻게 할 것인지 진지하게 고민해봐야 할 때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이슈 PICK

  • 하이브, 어도어 이사회 물갈이…민희진은 대표직 유임 (상보) 김호중 검찰 송치…음주운전·범인도피교사 혐의 추가 [포토] 북한탄도미사일 발사

    #국내이슈

  • 트럼프 "나는 결백해…진짜 판결은 11월 대선에서" "버닝썬서 의식잃어…그날 DJ는 승리" 홍콩 인플루언서 충격고백 안개 때문에 열차-신호등 헷갈려…미국 테슬라차주 목숨 잃을 뻔

    #해외이슈

  • [포토]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현충일 [이미지 다이어리] '예스키즈존도 어린이에겐 울타리' [포토] 시트지로 가린 창문 속 노인의 외침 '지금의 나는 미래의 너다'

    #포토PICK

  • 베일 벗은 지프 전기차…왜고니어S 첫 공개 3년간 팔린 택시 10대 중 3대 전기차…현대차 "전용 플랫폼 효과" 현대차, 中·인도·인니 배터리 전략 다르게…UAM은 수소전지로

    #CAR라이프

  • [뉴스속 용어]심상찮은 '판의 경계'‥아이슬란드서 또 화산 폭발 [뉴스속 용어]한-UAE 'CEPA' 체결, FTA와 차이점은? [뉴스속 용어]'거대언어모델(LLM)' 개발에 속도내는 엔씨소프트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