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조은임 기자]"강남 집값의 바로미터인 잠실5단지와 압구정 현대 아파트가 1억~2억원씩 빠졌다. 당분간은 가격 조정기간을 거치겠지만 반등을 노리는 집주인들도 적지 않아 거래는 뜸해지지 않을까 한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값은 11ㆍ3 대책 발표 이전 한달간 0.76% 상승했지만 발표 이후 한달간에는 1.16% 하락했다. 재건축 투자가 그 어느곳보다 활발했던 잠실주공5단지의 실거래가격을 살펴보면 하락세가 더욱 눈에 띈다. 지난 10월4일 15억2200만원에 거래됐던 전용 103.54㎡는 11월29일 13억700만원으로 2억원 넘게 하락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등록된 거래건수도 9월 28건에 달했지만 규제 발표를 앞둔 10월 9건을 기록한 후 11월 2건으로 급격하게 줄었다.
강남권 재건축 시장의 하락세는 곧장 서울 아파트값에 영향을 미쳤다. 지난달 말 2년만에 하락세로 돌아선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에도 0.01% 떨어지면서 2주 연속 내렸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강남 재건축 단지 가운데 선발주자들이 약세를 보인 것"이라며 "1억~2억원씩 급락한 이후 추가하락은 없는 상태지만 후발주자들로 볼 수 있는 아파트단지에서 불안감이 확산되면 또 어떻게 될지 알 수 없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강남권에 악영향을 미칠 요소로 공급과잉을 꼽기도 했다. 하남마시지구나 강일지구 등 강남에 인접한 택지지구에서 대규모 입주를 앞두고 있어서 당분간은 전세를 비롯해 수요가 빠져나갈 것이란 설명이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하남미사지구, 강일지구에서 향후 2년간 약 10만가구가 입주를 앞두고 있다"며 "앞으로 2~3년은 강남 일대 아파트가 조정기에 들어간다고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내년으로 유예가 끝나는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에도 관심이 쏠린다. 재건축으로 얻는 개발이익이 조합원 1인당 평균 3000만원이 넘을 경우 이익금의 최고 50%를 세금으로 내도록 한 이 제도는 내년 말까지 한시적으로 유예된 상태다. 이 제도의 유예 여부가 시장에 추가 영향을 줄 사안이 될 전망이다. 강남의 재건축 조합 관계자는 "초과이익환수제가 시행되기 전에 사업을 밀어붙이려고 하지만 시장 상황이 좋지 않아 고민이 크다"며 "또 사업을 지체했다간 손해가 클 수 있어 초과이익 환수 유예 여부가 큰 관심사안"이라고 전했다.
조은임 기자 goodnim@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