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r_progress
Dim영역

현대차·부산시민이 만든 엑스포 홍보영상, 엿새만에 1800만회 넘겨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현대차 그룹은 2030 세계박람회 유치를 돕기 위해 만든 부산 홍보 영상의 조회 수가 1800만회를 넘어섰다고 2일 전했다.


이번 영상은 박람회 개최지 선정을 주관하는 국제박람회기구(BIE) 실사단이 한국을 찾은 기간에 맞춰 지난달 26일 선보였다. ‘부산 시민이 초대합니다’라는 제목으로 총 17편이 올라와 1일 1800만회를 돌파했다.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리는 ‘2023 서울모빌리티쇼’ ’에 마련된 현대차 전시관 대형 LED 전광판에 현대차그룹이 부산 시민과 함께 만든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홍보 영상이 나오고 있다.<사진제공:현대차그룹>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리는 ‘2023 서울모빌리티쇼’ ’에 마련된 현대차 전시관 대형 LED 전광판에 현대차그룹이 부산 시민과 함께 만든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홍보 영상이 나오고 있다.<사진제공:현대차그룹>

AD
원본보기 아이콘

15개 BIE 회원국 언어가 모두 나오는 글로벌 통합영상 조회 수가 1330만회를 넘겼다. 총 조회 수 1800만회 가운데 해외 조회 수가 1120만회로 62%에 달한다. ‘좋아요’를 누른 개수가 1만500여개, 댓글은 1800여개 달렸다.


통합영상을 가장 많이 본 나라는 페루였으며 인도네시아, 튀르키예, 칠레, 세르비아, 파라과이에서도 많은 이가 봤다. 숏폼 영상은 리비아에서 44만회를 봐 가장 많이 봤다. 각 영상 댓글에서도 ‘리비아와 한국은 형제의 나라’ ‘친절한 사람이 너무 좋다’ ‘2030년 나는 부산에 간다’ 등의 응원 문구가 달렸다.


현대차그룹은 이 영상을 디지털 채널 외에 BIE 실사단이 방문할 광화문광장 유치기원행사와 고양 킨텍스에서 열리는 2023 서울모빌리티쇼에서도 선보였다. BIE 실사단은 후보국의 유치역량과 준비 수준 등을 평가해 실사 보고서를 작성하며 여러 평가 항목 가운데 유치 지원국의 국민 열기와 지지를 큰 비중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리고 있는 부산엑스포 유치 기원 행사 ‘광화에서 빛나이다’에 마련된 현대차그룹 전시관 대형 LED 전광판에 현대차그룹이 부산 시민과 함께 만든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홍보 영상이 나오고 있다.<사진제공:현대차그룹>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리고 있는 부산엑스포 유치 기원 행사 ‘광화에서 빛나이다’에 마련된 현대차그룹 전시관 대형 LED 전광판에 현대차그룹이 부산 시민과 함께 만든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홍보 영상이 나오고 있다.<사진제공:현대차그룹>

원본보기 아이콘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AD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이슈 PICK

  • "맞후임 강하게 키워요" 해병대 가혹행위 의혹 영상 확산 1년 후 중국 가는 아기판다 '푸바오'…에버랜드 판다월드 방문객 20% 증가 "주차장 입구에 누워있더라" 옷 벗고 女운전자 위협한 만취남

    #국내이슈

  • "텐트, 숟가락…본 것 중 가장 더럽다" '쓰레기 산' 된 에베레스트 투표소 앞에서 직접 '현금' 나눠주는 튀르키예 대통령 논란 "평생 광선검 사용금지"…법정에 선 다스베이더

    #해외이슈

  • [포토] 철거되는 임시선별검사소 "이게 4만원이라니" 남원 춘향제도 '축제 바가지' 논란 [포토] 혼란만 가중 시킨 경계경보 오발

    #포토PICK

  • "차량 내 디지털경험 확장" BMW코리아, 차량용 e심 선봬 기아, 유럽향 EV9 공개…"유럽서 9만3000대 판다" [타볼레오]외모에 안정성까지 풀체인지…새까만 과거는 잊어라

    #CAR라이프

  • [뉴스속 인물]'범죄도시3' 벌써 100만…메가폰 잡은 이상용 감독 [뉴스속 용어]7월초 화상 정상회의 여는 '상하이협력기구' [뉴스속 인물]지분가치 46조원 '가죽재킷 사나이'…엔비디아 CEO '젠슨 황'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한눈에 보는 뉴스&트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