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회 다양성·전문성·독립성 강화
최태원 회장 강조 '거버넌스 스토리' 성과
"지배구조 투명성을 시장에 증명"
SK 그룹 상장사들이 3월 주주총회에서 여성과 전문경영인 출신 사외이사를 대거 선임, 이사회 다양성과 전문성을 강화한다. 이사회 내 사외이사 비중도 한층 늘어난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년 전 지배구조 투명성을 위해 경영화두로 제시한 ‘거버넌스 스토리’를 적극적으로 추진해온 결과다.
SK그룹은 주요 상장 계열사 12곳이 이사회를 열어 총 12명의 사외이사 후보를 추천했고 이달말까지 주총에서 이들을 신규 선임할 계획이라고 21일 밝혔다. 후보 가운데 여성과 최고경영자(CEO) 출신은 각각 7명이다.
이로써 올해 SK그룹 주요 12개사 이사회 여성이사는 총 19명이 된다. 여성이사 비율은 21%로, 2년 새 1.6배 상승한다. 전·현직 기업인 출신도 총 14명(25%)으로 늘어나면서 사외이사에서 전문경영인이 차지하는 비율 역시 2년 전(14%)보다 1.8배 높아진다. 전체 사외이사 내 여성과 전문경영인 합산 비율로 따지면 2021년 대비 3.5배 오르는 셈이다.
SK㈜는 인수·합병(M&A) 전문가인 박현주 법무법인 세종 선임 외국변호사를 사외이사 후보로 추천했고, SK이노베이션은 김주연 전 P&G 한국·일본지역 부회장과 이복희 롬엔드하스전자재료씨엠피코리아 대표이사를 추천했다.
SK텔레콤 이 오혜연 KAIST 인공지능(AI) 연구원장, SK하이닉스가 김정원 전 한국 씨티은행 최고재무책임자(CFO) 부행장을 내정했다. SK네트웍스는 채수일 전 보스턴컨설팅그룹 아시아태평양 금융부문 총괄대표, SKC가 채은미 전 페덱스코리아 사장과 김정인 하이퍼라운지 대표를 사외이사 후보로 추했다.
사외이사 비중도 확대된다. 올해 사외이사는 총 56명으로 사외이사 비중이 지난해 60%에서 63%로 높아진다. 반면 사내이사는 22명으로 지난해 25%에서 22%로 축소된다.
SK 관계자는 “이달말 주총이 마무리되면 SK 주요관계사 이사회는 전문성·다양성·독립성을 한층 강화하게 된다”며 “이를 기반으로 이사회가 기업가치 창출을 선도해나갈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지난해 10월 서울 워커힐호텔에서 열린 ‘SK 디렉터스 서밋(Directors’ Summit) 2022’에서 강연하고 있다. [사진제공=SK]](https://cphoto.asiae.co.kr/listimglink/1/2023032109372360779_1679359043.jpg)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지난해 10월 서울 워커힐호텔에서 열린 ‘SK 디렉터스 서밋(Directors’ Summit) 2022’에서 강연하고 있다. [사진제공=SK]
원본보기 아이콘국내 주요 기업은 글로벌 기업과 비교해 여성이사 비율이 낮고, 기업인 출신 사외이사가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SK그룹은 2021년부터 최 회장이 경영화두로 제시한 거버넌스 스토리를 추진해왔다. 이는 '이사회 중심 경영'을 글로벌 스탠더드를 뛰어넘는 수준으로 강화하자는 것이다. 최 회장은 “지배구조 투명성을 시장에 증명해 장기적인 신뢰를 이끌어내는 게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 과정에서 SK 관계사 각 이사회는 2021년부터 CEO 평가와 보상까지 도맡는 등 역할과 책임이 막중해졌다. 이에 따라 SK 수펙스추구협의회는 ▲사외이사 후보추천 지원 ▲이사회 업무 포털 시스템 도입 ▲이사회 평가 플랫폼 구축 및 운영 ▲디렉터스 서밋(Director’s Summit) 개최 정례화 등 이사회 역량강화 및 운영 지원 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쳐왔다.
SK 관계자는 “앞으로도 이사회 중심 경영지원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각 관계사 이사회가 경영진 감시와 견제 기능을 넘어 기업가치 창출을 주도하는 최고 의사결정 기구가 되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최서윤 기자 sychoi@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