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100세시대, 남자가 사는법⑫]가능하면 입을 닫으세요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아무 때나 무엇에나 한마디 한다고 나서는 치명적 버릇에 걸리지 않게 하소서

"뭐하러 오셨어요. 올드보이의 귀환이네."
 "선배는 술자리나 많이 만드시죠."
 1년전 기재부 기자실에 들른 첫날, 날 알던 후배들이 던진 말이다. 올드보이란다. 15년만에 세상에 복귀한 올드보이 대수(최민식분)는 과거에 붙잡혀 결국 꼬꾸라졌었지. 알던 후배들은 불편해 한다. 나는 불길한 느낌이 든다.

 "최선배 그러면 안돼. 노땅들만 말하고 있어."
 기자 여섯명이 함께 점심식사를 하다가 다른 회사 후배가 한 말이다. 후배지만 쉰 살 먹은 부장이다. "밥값 내는 사람은 얘기해도 되잖아." 다들 깔깔 웃는다. 얼마전 일이다. 30대 초반에서 50대 초반까지 나이차가 20살에 달하는 동료기자들끼리 밥을 먹으면서 하는 농들이다.
 1년이 지났는데 살아 남았다. 그런데 주변을 보면 별로 특별한 일도 아니다. 기재부 기자실엔 부장급 고참 기자가 얼추 10명에 달한다. 장년과 청년이 함께 일을 하는 게 기자사회에서는 자연스러워지고 있다. 남들은 자연스럽게 잘하고 있다. 잘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나만 헛 힘쓰고 살았다는 생각도 든다.

 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는 동료 겸 후배도 여러 명 생겼다. '젊어지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It takes long time to be young)'는 피카소의 어록, 은퇴(retire)는 타이어를 바꿔끼는 시작의 의미라는 얘기도 다른 언론사 후배들에게 배웠다. 100세시대의 공동작업자들이다. 이들을 뭐라고 불러야 할까. 선후배, 동료기자, 친구. 동호인, 적당한 말이 없다. 나이차가 많이 나도 친구처럼 지내는 관계에 대한 어휘가 마땅치 않다.

 이런 관계를 '뜨게친구'로 불러보자. 우리말에 '뜨게부부'가 있다. 결혼하지 않고 동거하는 남녀를 말한다. 부부를 본떳다는 의미다. 나이 차이가 나지만 친구처럼 지내는 게 친구를 본뜬 것이니 뜨게친구라 부를만 하다. 세상은 변하지만 늦게 변하는 게 있다. 서구에서는 다 친구다. 헤이! 유! 라고 부른다. 우리말로 하면 야자다. 우리말엔 존댓말도 있고 장유유서의 전통도 남아 있어 아주 편한 친구처럼 지내기에는 불편할 수 있다. 남아있는 전통과 변화된 관계를 고려해 뜨게친구가 좋을 듯 하다.
 뜨게친구를 만들려면 나이로 대접 받으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남자들 틈만 나면 '민증(주민등록증)' 까자고 한다. 나이 따져 줄 세운다. 심지어 나이 속이면서 형 대접 받으려 했다. 세상이 변했다. '내가 나이가 얼만데', '예전에 어쨌는데'라는 과거집착은 "그래서, 뭐가 어떻다고"라는 대답만 들을 뿐이다. 외톨이가 될 가능성이 크다. 세종에 내려오기 전 선임기자가 많은 회사의 후배를 찾아가 자문을 구했다. "기사 열심히 발굴해 자신의 본분을 다하라"와 "후배들에게 부담주지 않으면서 잘 어울려라"는 충고를 받았다. 권위를 버리고 일로 다가서라는 얘기다.

 나이가 권위일까? 좋은 의미로 얘기해도 나이는 숫자일 뿐이다. '나이'가 '일'을 잘 하도록 만드는게 중요하다. 뇌과학자 이시형 박사는 "제조업에서 지식산업시대로 변하는 때 장년, 당신의 노하우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뒷방 늙은이로 대접 받으려 하지 말고 젊은이들에게는 없는 경험을 현장에서 창의적으로 발전시키라는 충고다.

 후배들에게 먼저 다가서기가 쉽지는 않다. 먼저 마음을 열고 다가와 준 다른 회사 후배들이 여러 명 있다. 매우 고맙다. 내 경험을 함께 나누고 현안에 대해서도 얘기하다 보니 가까와졌다. 객지생활의 고생을 함께 나누니 친해진다. 요즘엔 뜨게친구들이 저녁 약속자리에 초대하는 경우도 종종있다. 평소 자주 어울리는 다른 언론사 간부들이 부르는데 약속이 겹쳤다. "애들 노는데 가지 말고 이리와"라고 꼬신다. 나는 옛친구를 버리고 뜨게친구를 선택했다. "팔팔한 애들하고 놀지 냄새나는 노인들하고 왜 노냐"고 답했다.

 좀 친해지고 가까와진다 했더니 나쁜 버릇이 다시 나온다. 말이 많아지기 시작한다. "노땅들만 말하고 있잖아"라는 말은 경고다. 귀는 들으라고 항상 열려있고 입은 닫을 수 있게 돼 있는데 귀는 닫고 입은 항상 열려는 게 본성이다. 아니 나이가 들면서 드는 나쁜 버릇이다. 얘기한 사람을 따져보니 6명 중 3명만 얘기하고 나머지 젊은 후배들은 듣기만 했다. 노땅 3명이 입을 닫으니 그때야 모두 참여하는 대화가 시작된다.

 뜨게친구가 되려면 말을 아껴야 한다. 어느 17세기 수녀의 기도다. "말 많은 늙은이가 되지 않게 하시고 특히 아무 때나 무엇에나 한 마디 해야 한다고 나서는 치명적인 버릇에 걸리지 않게 하소서." "뱃속에 밥이 적어야 하고 입에 말이 적어야 하고 마음에 일이 적어야 한다"는 법정스님의 말씀도 되새겨 본다.
  




세종=최창환 대기자 choiasia@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이슈 PICK

  • 하이브-민희진 갈등에도…'컴백' 뉴진스 새 앨범 재킷 공개 6년 만에 솔로 데뷔…(여자)아이들 우기, 앨범 선주문 50만장 "편파방송으로 명예훼손" 어트랙트, SBS '그알' 제작진 고소

    #국내이슈

  • 때리고 던지고 휘두르고…난민 12명 뉴욕 한복판서 집단 난투극 美대학 ‘친팔 시위’ 격화…네타냐후 “반유대주의 폭동” "죽음이 아니라 자유 위한 것"…전신마비 변호사 페루서 첫 안락사

    #해외이슈

  • [포토] '벌써 여름?' [포토] 정교한 3D 프린팅의 세계 [포토] '그날의 기억'

    #포토PICK

  • 신형 GV70 내달 출시…부분변경 디자인 공개 제네시스, 中서 '고성능 G80 EV 콘셉트카' 세계 최초 공개 "쓰임새는 고객이 정한다" 현대차가 제시하는 미래 상용차 미리보니

    #CAR라이프

  • [뉴스속 인물]하이브에 반기 든 '뉴진스의 엄마' 민희진 [뉴스속 용어]뉴스페이스 신호탄, '초소형 군집위성' [뉴스속 용어]日 정치인 '야스쿠니신사' 집단 참배…한·중 항의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