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카드 공제 축소는 박근혜정부의 공약 이행에 소요되는 재원 조달을 위해 추진되는 세수증대책의 하나로 '마른 수건 짜기' 방식의 전형이다. 박 대통령이 '증세 없는 복지'를 밀고 나가자 기재부가 겉보기에 '증세'가 아닌 '감세 철회'의 방법을 구석구석 찾다가 그중 하나로 신용카드 소득공제율을 건드리기로 한 것이다. 정부가 지출을 늘려야 한다면 응능부담 원칙에 입각한 증세 조치로 세수 증대를 도모하는 것이 정부의 떳떳한 태도다. 신용카드 소득공제율에 손을 대 봉급생활자의 호주머니를 털어 내는 방식은 비겁하다.
신용카드 소득공제 제도의 도입 취지는 지하경제 양성화였다. 실제로 이 제도는 1999년 도입된 이래 상거래 과표 노출에 크게 기여했다. 그러나 주요 선진국들에 비하면 우리나라 지하경제는 여전히 규모가 큰 편이다. 특히 고소득 자영업자의 세금탈루율은 40%가 넘는다. 박근혜정부 스스로 지하경제 양성화를 주요 국정과제의 하나로 내세운 것도 이 때문이다. 그래 놓고는 그에 역행하는 신용카드 소득공제율 인하를 추진하는 것은 자가당착이다.
그동안 신용카드 소득공제는 계속 축소됐다. 더 이상의 축소는 부적절하다. 특히 폐지 문제는 다른 지하경제 양성화 대책의 효과를 보고 나서 종합적인 조세구조 개선 작업의 일환으로 따져 봐야 한다.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