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美 기업 "재무부 IRA 해석, 韓 배터리 업계에 유리" 반발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대한 재무부의 해석이 한국 등 전기차 배터리 부품 생산국에 유리해 미국 내 추가 투자를 저해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2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미국 배터리 업계와 정치권 일각에서 이 같은 주장이 나오고 있다.

앞서 재무부가 지난해 연말 내놓은 백서 내용이 발단이 됐다. 재무부는 백서에서 IRA상 전기차 배터리 부품·핵심광물과 관련한 세부지침의 방향을 밝혔다. 미국 정부의 세액공제 혜택을 받으려면 배터리는 올해부터 북미에서 제조 또는 조립한 부품의 50%, 배터리에 탑재되는 핵심광물의 경우 미국 또는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국가에서 채굴·가공한 비중이 40% 이상인 경우로 제한했다.


논란이 되는 부분은 배터리 핵심 소재인 양극재·음극재를 부품으로 간주할지, 광물로 분류할지다. 부품으로 간주하면 북미에서 제조·조립해야 보조금을 받지만, 광물로 분류하면 우리나라처럼 미국과 FTA를 체결한 국가에서 생산해도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미국과 FTA를 맺지 않은 국가에서 채굴한 광물을 FTA 체결국에서 가공한 경우에도 일정 조건을 갖추면 FTA 체결국에서 생산한 것으로 간주된다. 양극재·음극재를 어떻게 분류할지 등 구체적인 내용은 재무부가 다음주 발표하는 IRA 전기차 관련 세부지침에 담길 예정이다.


블룸버그는 미국 정부가 한국 등에 유리하게 배터리 부품, 핵심광물 정의를 바꾼 것이라는 업계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만약 백서 내용이 현행대로 유지될 경우 배터리 핵심 소재를 외국에 의존하는 현재 상황이 그대로 지속될 것이란 게 미국 업계의 주장이다. 미국 내 투자가 당초 예상보다 줄어들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음극재 개발 기업인 미트라켐의 비바스 쿠마르 최고경영자(CEO)는 미 재무부 백서와 관련해 "배터리 공급망의 가장 가치 있는 부분을 여전히 미국 이외 지역에 둘 수 있도록 허용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권해영 기자 roguehy@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슈 PICK

  • 카페서 '울컥'한 말년병장…컵에 쓰인 "나라를 지켜주셔서 감사합니다" 쓰러진 남성에게 콜라 먹인 경찰관…저혈당쇼크 위기 넘겨 ‘선정적 퍼포먼스 논란' 가수 화사 공연음란죄 무혐의

    #국내이슈

  • 페라리가 람보르기니 '쾅'…목숨마저 앗아간 슈퍼카 행사 "아이폰 나와" 구글 '픽셀 8' 공개…가격은 일단 비슷 뉴욕 센트럴파크 인기 잔디밭, 내년 4월까지 폐쇄

    #해외이슈

  • [포토]악수하는 한일 외교차관 "탕!" 소리에 아수라장…한국인BJ 방송 중 우연히 담긴 태국 총기참사 조민 "성형 한 군데도 안 했다…정치엔 관심 없어"

    #포토PICK

  • '27인치 통합형 디스플레이'..제네시스 GV80, 실내 싹 바뀐다 인도 딜러가 뽑은 '만족도 1위' 국산차 브랜드는? 현대차 "안드로이드 오토·애플 카플레이, 무선으로 즐기세요"

    #CAR라이프

  • [뉴스속 인물]한센병 환자들의 어머니 마가렛·마리안느 간호사 [뉴스속 용어]美 의회 뒤흔든 ‘프리덤 코커스’ [뉴스속 인물]美 역사상 처음으로 해임된 하원의장, 케빈 매카시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