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재벌 가족 상속 분쟁
경영권 분쟁으로 이어져
구광모
LG
LG
00355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88,400
전일대비
1,600
등락률
+1.84%
거래량
167,915
전일가
86,800
2023.06.02 15:30 장마감
관련기사
[클릭 e종목]"LG, 주가 저평가에 LG CNS IPO 기대감까지…목표주가 ↑""네이버 AI논문 채택, 구글 5%"삼성·구글 등 부산 총출동…상의, ‘비즈니스 리더 라운드 테이블’ 개최
close
그룹 회장 모친과 여동생이 상속재산을 다시 나눠 갖자는 소송을 제기하면서 과거 가족기업 경영권 분쟁 사례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LG그룹 상속분쟁이 경영권 다툼으로까지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과거 사례를 보면 상속 분쟁은 결국 경영권 분쟁으로 이어졌다.
구광모 LG그룹 회장./문호남 기자 munonam@
원본보기 아이콘
초기 가족 간 상속 분쟁으로 유명한 사건은 이맹희
CJ
CJ
00104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87,700
전일대비
1,400
등락률
+1.62%
거래량
52,870
전일가
86,300
2023.06.02 15:30 장마감
관련기사
CJ인베스트먼트, '글로벌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가동[클릭 e종목]"CJ, 올리브영 고성장에 주목…추가하락은 제한적"CJ인베스트먼트, 첫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 성료
close
그룹 명예회장이 동생 이건희 삼성 선대회장과 벌인 수조원대 소송 사례다. 이맹희 명예회장은 2012년 여동생 이숙희씨 등과 함께 이건희 선대회장 등을 상대로 4조원대 주식인도 청구 소송을 냈다.
아버지 이병철 삼성 창업회장이 물려준 재산을 동생에게 양보할 수 없다는 의지 표현이었다. 이맹희 명예회장이 1, 2심에서 지면서 상고를 포기했지만 이건희 선대회장이 패할 경우 그룹 지배구조를 흔들 수 있다는 이유로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이맹희 CJ그룹 명예회장(왼쪽), 이건희 삼성전자 선대회장.[사진=아시아경제 DB]
원본보기 아이콘
재판은 이건희 선대회장 경영권 승계 방식에도 영향을 미쳤다.
삼성전자
삼성전자
00593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72,200
전일대비
1,300
등락률
+1.83%
거래량
11,769,798
전일가
70,900
2023.06.02 15:30 장마감
관련기사
오늘 ‘상한가 종목’, 알고 보니 어제 추천받았네코스피, 1년만에 2600선 돌파…외인·기관 '사자'“주식카톡방 완전 무료 선언” 파격 결정
close
최대주주
삼성생명
삼성생명
03283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66,900
전일대비
1,000
등락률
+1.52%
거래량
135,922
전일가
65,900
2023.06.02 15:30 장마감
관련기사
기초체력 '튼튼'·車보험 손해율 선방…생·손보 격차 더 벌어질듯"세상 모든 질문에 답한다"…검색·추천 더한 AI '아숙업 서제스트' 출시보험사 실적 믿을 수 있나…IFRS17도입 '착시효과'
close
주식 중 이건희 선대회장 보유분 20.76%의 절반가량(10.38%)을 이재용 회장이 받았다. 또 이부진·서현 자매는 6.92%, 3.46%씩 차등 상속했다. 홍라희 여사는 상속 대상에서 빠졌다.
후계자에게 확실히 많은 지분을 주고 다른 형제, 자매들에게도 섭섭치 않은 지분을 주는 형태다.
정몽헌 현대그룹 선대회장.[사진=아시아경제 DB]
원본보기 아이콘
상속분쟁은 아니지만 경영권을 둘러싸고 가족끼리 노골적으로 다툰 사례도 있다. 현대그룹 왕자의 난과 롯데그룹 승계 다툼 등이다.
현대에선 정주영 명예회장 후계자 자리를 두고 정몽구
현대차
현대차
00538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199,500
전일대비
2,000
등락률
+1.01%
거래량
417,053
전일가
197,500
2023.06.02 15:30 장마감
관련기사
코스피, 1년만에 2600선 돌파…외인·기관 '사자'현대차, 팰리세이드 연식변경 모델 출시…3867만원부터외인·기관 '팔자'에 코스피 0.3% 하락…2560선으로 물러나
close
그룹 명예회장과 정몽헌 현대그룹 선대회장 간 분쟁이 붙었고 정몽구 회장이 자동차 사업 등을 들고 나가면서 한때 재계서열(공정자산총액 순위) 1위였던 현대그룹은 그 자리를 삼성에 내줘야 했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오른쪽)과 신동주 SDJ코퍼레이션 회장(전 일본 롯데홀딩스 부회장).[사진=아시아경제 DB]
원본보기 아이콘
롯데그룹의 경우 신격호 명예회장 둘째 아들 신동빈 회장이 형 신동주 SDJ코퍼레이션 회장(전 일본 롯데홀딩스 부회장)과 다투는 과정에서 국적 논란이 발생했다. 일본 롯데홀딩스와 광윤사가 그룹 지배구조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사실이 대대적으로 알려졌다. 현재 롯데지주 2대주주인 호텔롯데 최대주주는 일본 롯데홀딩스(19.07%)다. 일본 롯데홀딩스 최대주주는 광윤사(28.1%)다.
지금은 전기차 배터리(
롯데케미칼
롯데케미칼
01117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168,000
전일대비
1,500
등락률
+0.90%
거래량
61,926
전일가
166,500
2023.06.02 15:30 장마감
관련기사
부산에 쏠린 눈…세계 최초 기후산업국제박람회 개막"반도체·AI·방산, 함께 가자"…상의, 한-인도 기업인 투자포럼돈 쓸 곳 많은 삼성전자…올해 잉여현금흐름 '마이너스'
close
) 중심으로 사업 재편 속도를 높이고 있지만 과거 유통 계열사 매출 비중이 클 때는 '일본기업' 이미지를 씻어야 한다는 지적을 받았다.
LG는 사돈기업
GS
GS
07893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38,750
전일대비
550
등락률
+1.44%
거래량
129,404
전일가
38,200
2023.06.02 15:30 장마감
관련기사
전기차 충전기에서 돈냄새 맡았나…450조 시장 눈돌리는 대기업들GS, 1분기 영업익 1조625억…전년비 14%↓GS칼텍스 "직원 만보 걸으면 1000원씩…1억 모아 재활용 책상기부"
close
, 가족기업
LS
LS
00626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83,100
전일대비
1,700
등락률
+2.09%
거래량
201,599
전일가
81,400
2023.06.02 15:30 장마감
관련기사
전기차 충전기에서 돈냄새 맡았나…450조 시장 눈돌리는 대기업들LS전선, 세계 1위 오스테드와 아태 최대 해상풍력단지 해저케이블 공급계약[클릭 e종목]“LS, 투자 원년…내년 성장 가치 부각”
close
그룹과 '아름다운 이별'을 하면서까지 가족 간 분란을 일으키지 않으려 노력했다. 1999년 LG와 16억5000만달러(약 2조2000억원) 규모 합작사 LG필립스LCD를 세운 크리스털리 필립스 전 회장이 "LG그룹 구씨와 허씨가 50년 이상 동업자로서 아무 잡음 없이 경영하는 것을 보고 깊은 감명을 받았다"고 말할 정도였다.
LG는 가족끼리 싸우지 않으니 믿어도 된다고 판단했다는 얘기다. 하지만 이제 이야기가 좀 달라졌다.
구연경 LG복지재단 대표이사(왼쪽).[사진제공=LG]
원본보기 아이콘
이번 LG 상속회복청구 소송은 경영권 분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법원이 구 회장 모친 김영식 여사와 여동생 구연경 LG복지재단 대표·구연수씨 주장대로 상속지분을 조정하면 구 회장 지분 중 상당 부분이 세 모녀에게 넘어간다.
LG그룹은 이번 사태가 경영권 분쟁으로 이어지진 않을 것이라고 본다. 구 회장 ㈜LG 지분은 구 회장이 LG가를 대표해 의결권을 행사하는 수단이지 다른 가족 구성원이 임의로 처분할 수 있는 자산이 아니라는 것이다. LG 관계자는 "재산분할을 요구하며 LG 전통과 경영권 흔드는 것은 용인할 수 없는 일"이라고 했다.
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