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조선 수군의 동해안 요충지 사적 됐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1459년부터 운영, 울산 개운포 경상좌수영성
조선 초기 수군 만호진이 변화·발전 거듭해

조선 전기 수군 성의 축조방식을 보여주는 '울산 개운포 경상좌수영성(蔚山 開雲浦 慶尙左水營城)'이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으로 지정됐다. 국가유산청은 울산광역시와 함께 체계적 보존·관리 방안을 수립한다고 7일 전했다.


울산 개운포 경상좌수영성 남쪽 구간 체성(남성벽)

울산 개운포 경상좌수영성 남쪽 구간 체성(남성벽)

AD
원본보기 아이콘

세조 5년(1459)부터 중종 39년(1544)까지 경상좌도 수군 총 지휘부인 경상좌도 수군절도사영으로 운영된 성곽이다. 경상좌도는 조선 시대 낙동강 동쪽의 경상도 행정구역, 수군절도사영은 오늘날 해군사령부를 뜻한다.

개운포는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있던 동해안 포구다. 입지상 외부 침입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 조선 초기부터 수군 만호진(해안 요충지에 파견된 무관인 만호를 지휘관으로 하는 진)이 설치됐다. 경상좌수영으로 개편된 뒤에는 돌로 쌓은 석성이 축조돼 경상좌수영성으로 사용됐다.


이곳은 임진왜란 때 의병 활동 배후지로 활용됐다. 개운포 수군이 부산으로 진을 옮긴 조선 후기에는 울산도호부 읍전선(경상·전라·충청 군현에 배치한 군선)의 정박처인 선소(船所)로 사용됐다. 1895년 군사 제도가 폐지될 때까지 수군 기지로 남아있었다.


울산 개운포 경상좌수영성 전경

울산 개운포 경상좌수영성 전경

원본보기 아이콘

국가유산청은 이 같은 변천 과정에서 조선 시대 수군 체제의 변화와 발전 과정을 살필 수 있어 역사·학술적 가치가 높다고 봤다. 관계자는 "특히 성벽과 해자(방어용으로 성곽 둘레를 감싼 도랑), 성문지 등 성곽 시설과 봉수 등 연계 유적의 보존 상태가 상당히 양호하다"며 "조선 전기 축성된 수영성의 축조방식과 구조 연구에 매우 중요하다"고 평가했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