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사우디에 1.8만개 블랙웰 공급
AMD도 사우디 데이터센터 프로젝트 진행
머스크의 스타링크, 사우디 사용 승인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와 AMD가 나란히 사우디아라비아로부터 대규모 투자를 끌어냈다.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깜짝 '빅딜' 소식이 전해지자, 이들 기업 주가도 상승세를 탔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인공지능(AI)·반도체 수출 규제를 전면 개편함에 따라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중동 국가와의 AI 협력관계가 더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13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사우디·미국 투자 포럼'에서 현지 기업 '휴메인'(Humain)과 최신 AI 칩 공급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사우디아라비아 방문과 맞물려 이뤄졌다.
황 CEO는 이날 발표에서 자사의 최신 AI 칩 중 하나인 GB300 블랙웰 칩을 휴메인에 1만8000개 이상 판매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칩은 사우디 내에 건립되는 500㎿(메가와트)급 데이터센터에 탑재될 예정이다.
그는 "사우디는 에너지 자원이 풍부한 국가"라며 "이 에너지를 활용해 대규모 엔비디아 AI 슈퍼컴퓨터들을 통해 AI 공장 같은 시스템으로 전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휴메인은 사우디 국부펀드가 새롭게 설립한 AI 전문 기업으로, AI 인프라와 데이터센터 구축을 주도하고 있다. 타렉 아민 휴메인 CEO는 2030년까지 총 1.9GW 규모의 데이터센터를 설립할 것이라고 밝혔다.
AMD 역시 별도 성명을 통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미국에 이르는 데이터센터 구축 프로젝트에 자사 반도체 및 소프트웨어를 제공할 예정"이라며 프로젝트 규모는 약 100억달러(약 13조5000억원)에 달한다고 했다.
CNBC 방송은 "세계 각국이 챗GPT와 같은 첨단 AI 소프트웨어 학습과 운용을 위해 최신 칩을 경쟁적으로 확보하려는 가운데 엔비디아 칩이 트럼프 행정부의 외교적 협상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같은 날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도 사우디아라비아가 스타링크의 항공 및 해상 서비스 사용을 공식 승인했다는 소식을 전했다. 스타링크는 머스크 CEO가 운영하는 우주 항공 및 방위 기업 스페이스X(SpaceX)가 개발한 위성 인터넷 서비스다. 머스크 CEO는 이날 스타링크 외에도 자율주행 전기차인 테슬라 로보택시(Tesla Robotaxi)의 사우디 진출 계획을 언급하며 "왕국 내에 자율주행차를 도입하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라고 발언했다. 아울러 머스크 CEO는 자사가 개발 중인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Optimus)'를 트럼프 대통령과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에게 선보였다고 했다.
사우디아라비아로부터 날아든 호재성 소식에 엔비디아, AMD, 테슬라 주가는 나란히 상승 마감했다. 13일 뉴욕 증시에서 엔비디아는 전일 대비 5.6% 상승했으며 테슬라와 AMD는 각각 4.9%, 4.0% 올랐다.
개별 기업 투자 유치 외에도 사우디아라비아 측으로부터 미국 투자 6000억달러를 유치했으며, 1420억달러 규모의 무기 판매 계약도 체결했다고 백악관은 밝혔다.
향후 미국과 중동 국가 간 AI 관련 협력은 더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행정부가 바이든 행정부 시절 도입한 인공지능(AI) 반도체 수출 규제를 전면 폐기하고, 새로운 체계를 수립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이는 미국 기업들과 동맹국들의 강한 반발을 샀던 이른바 'AI 확산 규칙(AI Diffusion Rule)'을 폐지하는 조치로, 트럼프 행정부는 기존 중국 대상 규제는 유지하면서, 동맹국들과는 개별 협정을 체결하는 방향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향후 몇 달간 트럼프 행정부가 각국과 어떤 조건의 양자 협정을 맺느냐에 따라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과 기업 전략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블룸버그통신은 "트럼프 행정부의 이번 조치는 과거 미국의 규제 대상이었던 아랍에미리트(UAE)와 사우디아라비아와 같은 국가들에도 환영할 만한 소식"이라며 "이들 국가는 미국의 새로운 행정부와 더 나은 조건으로 협상할 기회를 얻게 됐다"고 분석했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